•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변록 중용』의 양명학적 양상 고찰 - 『중용』 수장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Yangmingistic Aspects of Sabyeonrok Zhong-yong- Focusing on the First Chapter of Zhong-yong -)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0.05
28P 미리보기
『사변록 중용』의 양명학적 양상 고찰 - 『중용』 수장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유학연구 / 51권 / 27 ~ 54페이지
    · 저자명 : 황인옥

    초록

    본 연구는 서계의 『사변록 중용』 주석에 나타난 양명학적 양상을 고찰하는 연구이다. 서계는 유교뿐만 아니라 불교와 도교 등 다양한 학문에 관심을 가진 개방적 학문관을 소유한 학자이다. 그는 양명학이 조선에 유입되기 시작한 초기에 살면서 최명길 등 양명학자들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교유하였고, 양명학에 호의적인 태도를 보였다.
    서계의 『중용』 주석에서는 양명학적 양상이 나타난다. 먼저 성(性)․도(道)․교(敎)의 주석에서 마음이 중요하게 작용한다. 인간의 성이란 마음의 밝음이 받은 천리로서 사람에게 갖추어진 것이다. 천리(天理)의 본연은 성의 덕이 되어 내 마음속에 갖추어져 있어서 사람은 마음에 보존된 천리를 실현하기 위하여 노력해야 한다. 이것이 도(道)이고, 교(敎)이다. 또한 사려가 싹트지 않는 미발(未發)을 인정하지 않았고, 사려가 있다면 그것은 이발(已發)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계구(戒懼)와 신독(愼獨)은 하나의 공부가 된다. 중화(中和)에서는 중을 근본으로 삼았고, 화는 근본에 따르는 작용이 된다고 하였다. 치중화(致中和)는 치중(致中)을 본체로, 치화(致和)를 작용으로 인식하였고, 체와 용은 일원으로 분리할 수 없다고 하였다.
    서계의 양명학적 『중용』 주석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 첫째, 주자학적 풍토에서 양명학을 수용하여 경전해석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고, 이후의 사상적 발전에 기여하였다. 둘째, 보편적이며 원리적인 세계관을 부정하고 인간 주체를 강조하였고, 인간의 마음을 심명(心明)으로 인식하여 인간을 활동의 주체로 인식하였다. 셋째, 인성과 물성을 구분하여 객관적 세계와 주관적 가치체계를 구분하였고, 어려운 경전 속에서 인간이 실천할 점을 찾아내어 실천력을 강조하였다. 그의 『중용』 주석에서 양명학적 견해를 살펴보는 일은 초기 양명학의 학문적 경향을 파악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후기의 실학연구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aims at examining the Yangmingistic aspects of Seogye's Sabyeonrok Zhong-yong (中庸). Seogye was a scholar with an open view of studies who was interested not only in Confucianism but also in diverse studies including Buddhism and Taoism. He lived at the early stage of the introduction of Yangmingism into Joseon. He also interacted with Yangming scholars, such as Choi Myeong-gil, directly or indirectly, and had a favorable attitude toward Yangmingism.
    Seogye's interpretation of Zhong-yong showed the aspects of Yangmingism. First, mind worked importantly in the interpretation of Seong (性), Do (道), Kyo (敎). Humans' Seong referred to Cheonli (天理) that the brightness of mind had received, and a person was endowed with it. The nature of Cheonli had become the virtue of Seong and was equipped in one's mind. Therefore, when a person tried to realize Cheonli in one's mind, it became Do and Kyo. Moreover, he didn't acknowledge Mibal (未發) that consideration didn't spring up, and if there was consideration, he called it Yibal (已發). Accordingly, the examination on Kyeku (戒懼) and Sindok (愼獨) became a kind of study. In addition, regarding Junghwa (中和), he considered Jung as the foundation, and Hwa (和) as the function following the basis. As for Chijunghwa (致中和), he understood Chijung (致中) as the essence and Chihwa (致和) as the function, and said that Che (體) and Yong (用) were one and couldn't be separated.
    Seogye's Yangmingistic interpretation of Zhong-yong had the following meanings. First, he accepted Yangmingism in the Neo-Confucian climate and suggested a new direction for the interpretation of the scriptures, and contributed to the ideological development since then. Second, he rejected a universal and theoretical world view and emphasized humans as the main agents. He also recognized human mind as Simmyeong (心明), and opened a new viewpoint of humans. Third, he classified the properties of humans from those of things, so divided the objective world and the subjective value system. Moreover, he found what humans needed to practice from difficult scriptures, and stressed the power of execution. The investigation into his Yangmingistic opinions in his interpretation of Zhong-yong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examination of the academic tendency of the early Yangmingism. Furthermore, it will be of help to the study on Silhak (實學) at the latter half of Jose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