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도일록'에 나타난 유배체험의 서술 양상과 그 의미 (Describing the Exile Experience and its Meaning in Sindoilrok)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9.02
41P 미리보기
'신도일록'에 나타난 유배체험의 서술 양상과 그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고전문학과 교육 / 40호 / 149 ~ 189페이지
    · 저자명 : 이승복

    초록

    이 글에서는 19세기 이세보가 지은 <신도일록>을 대상으로 작품에 나타난 유배체험의 서술 양상과 그 의미를 검토하였다. 이세보는 당시 세도가인 김좌근과 김문근을 공적인 자리에서 비판하다가 신지도에 위리안치 되었는데 작자는 고통스런 내면 토로에 초점을 맞춰 자기의 유배체험을 서술하였다.
    유배 여정의 서술에서는 매일의 날짜와 여정, 숙박한 장소, 그날 있었던 일과 감회 등을 자세히 제시하면서 질병과 추위, 부모와의 이별로 인한 아픔 등을 토로하고 있는데 자기의 유배가 부당하다는 생각, 그리고 과거와 대비되는 현재의 초라한 처지에 대한 인식은 그러한 고통을 한층 견디기 어렵게 만들었다.
    유배 생활은 날짜를 밝히지 않고 유배지에서 겪은 일이나 느낀 감회를 시간적인 순서에 따라 서술하고 있는데 유배지에 도착한 이듬해 여름까지만 다루고, 그 뒤에는 유배 생활 중에 느낀 감회를 92수의 시조에 담아 제시하고 있다. 앞부분에서는 고립감과 외로움, 더욱 간절해지는 부모에 대한 그리움과 같은 심리적 고통, 그리고 병을 비롯하여 유배지의 열악한 환경에서 오는 육체적 고통 등을 토로하면서 해배에 대한 간절한 희망을 드러내고 있다. 시조 작품들에서도 마찬가지의 고통을 토로하고 있는데 한 가지 고통을 여러 작품으로 연작하여 형상화함으로써 그 심각성을 유배 생활의 일상과 관련지어 다양하게 구체화하고 있다.
    이 작품은 빈번하게 시가를 삽입하는 방식을 동원하면서 작자의 고통스런 내면 토로를 중심으로 유배체험을 서술하고 있는데 이는 작자가 스스로를 위로하는 하나의 방법이었다고 할 수 있다. 작자는 자기의 유배가 억울하다고 거듭 해명하고, 마음속의 고통을 남김없이 드러내어 흐느끼듯, 넋두리하듯 쏟아냄으로써 고통을 가라앉히고자 하였다. 또 몸과 마음을 닦으면서 해배를 기다리겠다고 하여 해배를 갈망하던 조바심을 비롯한 고통을 달래려고도 하였다.
    요컨대 이 작품이 스스로를 해명하면서 고통스런 내면을 토로하는 방식으로 유배체험을 서술하고 있는 것은 이러한 자기위로의 측면과 관련지어 이해할 필요가 있다. 또 마음의 고통을 흐느끼듯, 넋두리하듯 입에서 나오는 대로 풀어내기 위해서는 한문보다 국문이 더 적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 작품이 국문으로 창작된 이유를 찾을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escription of the exile experience and its meaning in Sindoilrok, written by Sebo Lee in the 19th century during the Choseon Dynasty. The author was banished to a remote island because he criticized influential men of the time.
    Focusing on exposing his internal agony, he described his journey in exile, recounting the illnesses and cold, and anguish caused by parting from his parents. His thought that his exile was unfair, and recognition of the present circumstances, which were miserable, as compared to the past, made it difficult for him to bear the agony. He described his life in exile by narrating his psychological agony, and physical and material pain, as well as his earnest hope for his exile to be withdrawn. Including the works of Sijo at the end of this work, he clarified how painful the exiled life was by relating it to his daily life.
    Through the frequent insertion of poems and songs, the author described his exile experience while expressing his internal agony. This could be considered one way that he could comfort himself. The author tried to find relief by counting to explain that his exile was due to a false charge, by pursuing catharsis while fully expressing his internal agony, and by cultivating his inner peace. In short, the characteristics of this work should be understood as relating to self-comforting.
    I anticipate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is work and other literary works related to exi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전문학과 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