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임진록> 역사계열과 역사계열(변)의 초월성 연구 (A Study on Transcendence in ’s historical series and historical series (variations))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4.09
30P 미리보기
&lt;임진록&gt; 역사계열과 역사계열(변)의 초월성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고대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고대학 / 35호 / 153 ~ 182페이지
    · 저자명 : 황병홍

    초록

    이 논문은 역사소설 <임진록> 중 역사계열과 역사계열(변)에 해당하는 작품들을 대상으로 초월성의 기능과 의미를 考究한 것이다.
    문학작품에서 환상성과 초월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90년대 이후 상당히 진척되었으나 역사소설만은 장르의 속성 때문에 의도적으로 제외되어 왔다. 그러나 필자의 연구 결과 역사소설은 ‘역사’가 아닌 ‘소설’이 중심이므로 미메시스와 더불어 환상성이 결부되어 있다. 특히 역사소설에서 환상성을 유발하는 초월성은 우리 고소설에서 빈번히 표출되어 더 이상 역사적 사건을 다룬다는 이유로 환상성과 초월성을 기반으로 분석하는 것을 꺼릴 필요는 없다고 본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환상성과 초월성이라는 용어가 연구자들에 의해 개별적 의미로 사용되어 혼란을 불러왔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두 용어들을 변별적으로 사용하고자 노력하였다. 우선 초월성은 현실계를 넘어선 공간, 흔히 異界로 지칭되는 공간에 속한 존재들로 인해 발생하는 성격으로 규정하고, 이러한 초월성이 현실계에 발현될 때 서술자, 인물, (내포)독자들이 느끼는 인식의 성격을 환상성으로 보았다. 이는 기존의 서양에서 출발한 환상성에 대한 규정을 기반으로 하지만 동양적 상황을 고려하여 차이성을 둔 것이다. 이렇게 본다면 초월성은 공간과 존재의 개념으로, 환상성은 심리적으로 발생하는 인식의 문제로 분화되어 작품을 분석할 때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임진록>은 이본의 수가 매우 많아 60종에 이른다. 게다가 작품의 내용 및 성격이 판이한 경우가 다수여서 이를 같은 작품으로 보기 위해서는 기준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임진록> 이본군 전체에 나타나는 성격이 초월성인 점에 착안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고는 <임진록> 중에서도 초월적 성격이 약하고 역사적 성격이 강해 연구자들에 의해 역사소설로 인정받은 이본들을 선별하였는데, 역사계열과 역사계열(변)이 바로 이에 해당된다. 검토 결과 역사계열은 천문과 이변, 신이한 존재의 도움이라는 초월성이 주로 표출되었고, 역사계열(변)은 그에 더해 영웅성의 표출과 관련된 초월성이 추가되었다.
    이렇게 역사소설에서도 초월성은 서사의 진행에 필수 불가결한 요소로 작용되는데, 그렇다고 해서 초월성이 역사성 자체를 무화시키지는 않는다. 초월성은 서사에 개입하여 인물들을 도와 통쾌한 승리를 이끌어내지만 어디까지나 임진왜란 전체의 사건 내에서 작용할 뿐이다. 이처럼 초월성은 허구를 통해 서사를 한계까지 밀어붙여 현실을 심문하고 전복시키지만 역설적으로 현실을 완전히 전복하지는 못한다. 이것이 역사소설의 성격을 무화시키지 않는 서사적 한계지점이기 때문이다.
    요컨대 <임진록>은 초월성이라는 소설적 상상력을 통해 위로와 위안을 추구하면서 동시에 역사소설에서 상상력의 한계점을 보여주었다는 데서도 의의가 있는 작품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considers the function and meaning of transcendence in the works corresponding to historical series and historical series (variations) in the different variations of the historical novel Imjinrok.
    Research that deals with fantasy and transcendence in literary works has been actively conducted since the 1990s, but historical novels have been excluded due to certain characteristics of the genre. However, according to our analysis, historical novels are more “novel” than “history,” and thus relate to both mimesis and fantasy. Besides, we can find a similar type of transcendence, in the form of fantasy, in both historical and classic novels. Thus, given their depiction of actual historic events, we should no longer be reluctant to analyze the ways in which historical novels transcend the reality of their subject matter and make use of supernatural embellishments.
    In advanced research, the terms fantasy and transcendence have often caused confusion, as researchers have used them arbitrarily. To avoid this confusion, we attempt to use them discriminately. First of all, transcendence can be defined as something produced by beings from a space often referred to as another world beyond this one. On the other hand, fantasy is seen as the awareness thatthe narrator, characters, and (implied) readers have when such transcendence is manifested in the real world.This is based on the Western definition of fantasy, but is quite different from its consideration in the East. In this sense, transcendence isthe concept of space and existence, while fantasy is divided into the matter of recognition that occurs psychologically; thus, they can be used discriminately in analyzing works.
    There are as many as 60 different versions of Imjinrok, many of which differ greatly in terms of content and character. Thus, we must establish the criteria by which they can be seen as the same work. This study proceeds by observing that all editions of Imjinrok share the element of transcendence.
    Among the different editions of Imjinrok, this study looks at those that researchers have recognized as historical novels, since they display more historical elements than fictitious ones, understood as both historical series and historical series (variations). According to this analysis, historical series express transcendence mainly in the form of astronomical and extraordinary events or superhuman beings, while historical series (variations) add transcendence related with the expression of heroism.
    In such a manner, transcendence is an essential factor for developing the narratives of historical novels. However, this does not mean that transcendence overrules historicity. Although it intervenes within the narration and leads to a thrilling victory for the protagonists, it is confined to the Imjinwaeran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is means that transcendence pushes the narration into fiction, interrogating and overturning reality, but paradoxically does not completely overturn reality. This is the limit at which the novels can remain historical.
    In fact, Imjinrokis meaningful in that it pursues comfort and consolation through the fictitious imagination of transcendence, and at the same time exhibits the limitation of the imagination in historical nove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고대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