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승정원일기』와『일성록』의 조선후기 측우기록 분석 및 <한양우량표>(1770-1907)와 <서울 250년간 우량표> 개발 연구 (A Study of Chukwookee Rainfall Historical Meteorology Through Consolidated Records of Diary of the Sungjungwon & the Ilsung-rok and Newly Developed Hanyang Rainfall Chart (1770-1907) & Modern Seoul Ra)

9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3.11
98P 미리보기
『승정원일기』와『일성록』의 조선후기 측우기록 분석 및 &lt;한양우량표&gt;(1770-1907)와 &lt;서울 250년간 우량표&gt; 개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탐라문화 / 74호 / 339 ~ 436페이지
    · 저자명 : 김일권

    초록

    이 연구는 『승정원일기』와 『일성록』이라는 양대 측우기록의 사료적 검증을 통한 측우기 기록 복원에 초점을 두었고, 그 결과로서 양대 사료 통합의 138년간 <한양우량표>(1770-1907)를 국내 처음으로 개발했다. 측우기가 지닌 기상학적가치에 비해 그 측우기록의 사료적 검증에는 소홀하여, 와다유지가 처음 제시했던<경정우량표>(1914)가 실제 사료와는 크게 어긋남에도 불구하고 해방 이후 중앙관상대와 기상학계가 그대로 습용함에 따라 측우자료의 원전성을 알 수가 없었다.
    이에 본고는 와다의 1차 측우사료 추출물인 <경성우량표>가 실제 사료와 큰 오차로 부합하지 않고, 또 와다의 <경정우량표>가 『승정원일기』와『일성록』에 비해각기 141.2%, 152.9% 과다 계상된 잘못된 측우 자료물임을 밝혔다.
    국내학계에서는 양대 사료의 측우기록 현황에 대한 기초 분석 자체가 없었는데, 본고를 통해 처음으로 구체적 수치로 제시되었다. 주축 측우자료물인『승정원일기』는 138년간(1770-1907) 총 8,820건의 측우기록과 총 7,141일(연평균 51.7 일)의 측우일 및 총우량 155,310㎜(연평균 1,125.4㎜)로 집계되었다. 보완 검증역할의 보조 자료물인『일성록』은 132년간(1776-1907) 총 6,702건의 측우기록과 총 측우일 6,649일(연평균 51.9일) 및 총 우량 143,496㎜(연평균 1,121.1㎜) 로 추출되었다. 내용상 『승정원일기』가 측우시각별 기록을 자세히 수록한 반면, 『일성록』은 1일 합산 형태로 1건씩 수록하여 『승정원일기』의 측우기록을 검증하는 역할 및 누락 자료에 대한 보충 교감 역할을 지녔다. 이에 양자의 측우기록을대조하여 통합한 <한양우량표>를 처음 수립했고, 138년간(1770-1907) 총 9,312 건의 측우기록과 총 7,587일(연평균 55.0일)의 측우일 및 총 우량값 165,824㎜ (연평균 1,201.6㎜)를 최종 도출했다.
    이 새로운 우량표를 갖고 조선 후기 한양의 강우 기상을 분석했으며, 월별 강우추이가 근대기록과 거의 오차 범위 내로 일치함을 확인하여 측우사료 신뢰성을 높여 주었다. 이때 양자 사이의 연우량 편차 3.7%는 강설량 간섭치로 추론되었고, 강설이관련된 과우기간(12-3월)으로 대비하여도 같은 4% 편차를 보여 주어 유의미한 비율로 주목되었다. 하기 우량값에서 근대의 8월이 2.5% 줄어든 변화를 보였다.
    강우의 경년 변화로 고찰할 때 연우량 등락이 최대 3년 연속성의 주기를 보였고, 또한 3년+2년 형태의 5년 주기성이 대다수인 119개년(87.5%)에서 나타나가장 두드러진 주기 패턴으로 파악되었으며, 그중 제5년차 예측형이 72%의 확률성을 보였다.
    가장 흥미로운 분석으로 한양 138년간 윤월년(윤달이 든 해)의 평균 연우량이 평년에 비해 9% 증가된 수치임을 밝혀 윤월년의 강우 기상 특이성 문제를 처음으로 제기했다. 이 점을 근대 112년(1908-2019)으로 교차 검증하면 윤월년이 평년 대비 5% 증가량을 보여 역시 윤월년의 강우 특이성을 나타내었다. 이에 서울 250년(1770-2019)으로 종합하면, 윤월년의 강우 특이성은 평년 대비 7%의 상승 특이성으로 정리되고, 전년이 익년보다 더 큰 폭의 감소량을 보였다(익년 -6.6%, 전년 -8.8%).
    측우기록의 자료 신뢰성이 확인됨에 따라 근대와 직접 연계한 <서울 250년간우량표>(1770-2019)를 추가 개발하여 최장의 250년 기간을 대상으로 강우 변동측면을 고찰했다. 10년 단위 변동에서 연간 우량과 하기 우량이 M자형 분포로비례적 변화하는 형태를 보여 주었고, 50년 단위 변동으로는 두 날개를 펼쳐 활공하는 형세를 하여, ① 18C 말 제1차 과우기, ② 19C 전반기 제1차 습윤기, ③ 후반기 하향 감소, ④ 20C 전반기에 더욱 감소된 제2차 과우기를 보이다가, ⑤ 20C 후반기에는 대폭의 상승 추세이고, ⑥ 21C초는 하기 평균의 급등 영향으로그 상승이 더욱 커지는 추세에 놓여 현재의 이상기후 변화와의 연관성을 시사했다.
    연간 366일간(윤일 포함)의 누적 일우량 변동으로 장마기간을 도출하면, 제1차장마 30일 구간(6.25-7.24), 제2차 우기 16일 구간(7.27-8.11) 및 제3차 우기21일 구간(8.16-9.05)으로 구성되는 전체 하추 73일간(6.25-9.05) 지속의 한국형 우기 현상이 두드러짐을 밝혔다. 그외 138년간 단 1회도 비가 기록되지 않은‘비가 없는 날’이 1월 3일, 2월 3일 등으로 꼽혔고, 연중 비가 가장 빈번하고 많았던 7월 16일은 ‘비의 날’로 주목되었다. 본고 개발의 새로운 최장기 우량표가 측우기의 우수성을 더욱 알리고, 더욱 다양하고 심도있는 강우의 역사기상 연구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focuses on the recovery of the authentic records of Chukwookee rainfall sourced from the two historical material: Diary of the Royal Secretariat (Sungjungwon) and Court Chronicle (Ilsung-rok). The unprecedented development of Hanyang Rainfall Chart (1770-1907) for the 238 years of late Joseon dynasty (1392-1910) came out along with this study.
    Despite the significant value of the pluviometer (Chukwookee) and its daily in meteorological studies, verification works for the historical records have remained long ignored. Thus, till today lacking the authenticity of real records, Wada Yuji’s Gyeong Jeong Rainfall Chart (1914) has been used as is. Both the Central Meteorological Service and the academia meteorology are depending on Wada’s chart costing the demise of the knowledge about the true historical records of rainfall.
    This study came to prove that Wada’s chart is largely discrepant from the real records and thus error-stricken. Wada’s miscalculated measures exceed by 141.2% and 152.9% respectively the real numbers shown in the Diary of the Royal Secretariat and Court Chronicle. By introducing the detailed information on rainfall from the two classic material, it came to shed light on the dearth of fundamental research in the academia of Korea.
    The main material Diary of the Royal Secretariat contains 8,820 articles and 7,141 days (annual average 51.7 days) of rainfall records and a total 155,310mm (annual average 1,125mm) of rainfall during the 138 years (1770-1907). The supplementary material Court Chronicle contains 6,702 articles and 6,649 days (annual average 51.9 days) and total 143,496㎜ (annual average 1,121.1㎜) during the 132 years (1776-1907).
    The Diary of the Royal Secretariat provides hour-based records in detail, and Court Chronicle provides accumulated daily records. The second book thus plays an important role to fill in some missing parts of the main material. The consolidation of the two books resulted in a new development of Hanyang Rainfall Chart. The new data appeared with a total 9,312 rainfalls, 7,587 (annual average 55) rainy days, and a total 165,824㎜ (annual average 1,201.6 ㎜) rainfall during the 138 years (1770-1907).
    Thanks to the new chart, a meteorological analysis of rainfall in Hanyang in the late Joseon period is completed. This chart displays the monthly rainfall tendency of that period in parallel with the modern period. Thus further it proves the credibility of the historical meteorological records of Joseon dynasty.
    One of the most intriguing revelations is that the year with double leap months shows a 9% increase of annual average rainfall compared with normal years. This is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peculiar meteorological phenomena of rainfall.
    When this issue was cross examined against the modern period (1908-2019) the same type of peculiarity appeared with a 5% increase in the year with double leap months compared with normal years. A comprehensive study is conducted on this issue of peculiarity on the 250 years (1770-2019) of Seoul history. The outcome was 7% increase. Concerning the decrease, the previous year (-8.8%) appeared greater than the following year (-6.6%).
    With the confirmation of credibility of the historical records, another development of extended chart is designed to be connected and continuous to modern period. Thus the 250 Years of Seoul Rainfall Chart (1770-2019) came to exist as to become the longest period data for further discovery of various aspects of rainfall.
    According to the ten-year-interval diagram the annual rainfall and the summer rainfall go in parallel in M shape. The 50-year-interval diagram displays two open-wing shapes, which include 1)the first drought in the late 18C, 2)the first wet climate in the first half 19C, 3)the decrease of rain in the second half 19C, 4)the second and more serious drought in the first half 20C, 5)the second and more wet climate in the second half 20C, and 6)sharply increased summer rain in the early 21C and the tendency to continue to increase. These variations clearly show their connection to the present abnormal climate changes.
    The rainy season out of the 366 days including the leap day is drawn by the accumulated daily rainfalls as follows: First, the 30 days of rainy season (6.25∼7.24). Second, the 16 days of wet climate (7.27∼8.11). Third, the 21 rainy days of wet climate (8.16∼9.05). The whole 73 days of summer and autumn (6.25∼9.05) show the features of Korean style rainfall.
    It is also noted that during the 138 years some days were marked as the Day of No Rain, which included January 3rd and February 3rd. The day with the heaviest rain of the year was marked as the Day of Rain on July 16th.
    Having developed a rainfall chart of the longest period,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inform the world the excellence of the pleviometer and contribute to the enrichment of rainfall studies in historical meteorolog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탐라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