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智異山 遊覽錄으로 본 崔致遠 (A Study on Choi Chi-won in Travel Journals of Mt. Jiri)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1.12
37P 미리보기
智異山 遊覽錄으로 본 崔致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漢文學報 / 25권 / 173 ~ 209페이지
    · 저자명 : 강정화

    초록

    조선시대 士人들의 지리산 유람록은 현재 100여 편 이상 발굴되었고, 작품 속에 가장 많이 등장하는 인물은 단연 최치원이다. 작품 속 최치원 관련 유적은 주로 하동 쌍계사와 三神洞 방면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중 최치원의 글씨로 알려진 ‘雙磎石門’ 石刻, 眞鑑禪師大功塔碑에 가장 많은 기록이 나타난다.
    지리산 유람록에 나타난 조선조 士들의 최치원에 대한 인식은 4가지로 집약할 수 있다. 조선초기 士人에게서 보이는 최치원의 불우한 삶에 대한 연민이 그 첫 번째 인식이고, 임진란을 전후한 시기에 그의 서체에 대한 칭송과, 하동 청학동에 형성된 최치원 관련 신선 의식이 그 두 번째와 세 번째이고, 마지막으로 조선 말기에 이르면 그의 불가 및 仙趣 성향에 대한 혹독한 비판의식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네 가지는 강약의 차이가 있으나, 조선시대 전 시기 동안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인식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정 시기에 시대적 조류나 집단성에 의해 어떤 성향이 보다 장시간 그리고 더 강하게 나타나는 성향을 중심으로 분류해 보면, 시대성을 반영한 의식들이 은연 중 드러나는 것 또한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이는 지리산 유람록 속 인식들이 인식 대상인 ‘최치원’이란 인물 자체보다는 조선조 士人의 시각에 초점을 두고 있음을 일컫는다. 곧 최치원에 대한 인식을 그 시대 그의 입장에서 바라본 것이 아니라, 모두 조선시대 士人의 관점에서 가늠하였던 것이다. 때문에 최치원은 천 여 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회자되는 인물 중 한 사람이 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영어초록

    There are over 100 travel journals left by Joseon scholars that took a trip to Mt. Jiri, and the most frequently appearing figure in those travel journals is undoubtedly Choi Chi-won. In those travel journals, the relics related to Choi are concentrated in Ssanggye Buddhist Temple of Hadong and Samshindong. The Bijingamseonsadaegongtapbi with “Ssanggyeseokmun” stone carved by Choi holds the most records. This study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Joseon scholars' perceptions of Choi based on his records in the travel journals of Mt. Jiri.
    The perceptions of Choi found in the travel journals of Mt. Jiri can be divided into four groups; the first category presents the scholars' compassion for the miserable life of Choi reflected in their own lives in early Joseon; the second one concerns their praises for Choi's handwriting around Japanese Invasion of Joseon in 1592; the third one is related to the Taoist hermit consciousness concerning him formed in Cheonghak-dong of Hadong; and the final one is their fierce criticism of his tendencies regarding Buddhist community and Seonchui in late Joseon.
    Those four categories of perceptions of Choi appeared in various combinations with differences in intensity throughout Joseon. However, it cannot be denied that those perceptions subtly reflect the perceptions of the times as they can be categorized according to certain inclinations that were manifested in stronger and longer ways by the trends or collectivity of certain periods.
    It is thus understood that the scholars' perceptions in their travel journals after a trip to Mt. Jiri focus on the views of Joseon scholars rather than the object of their perceptions, namely "Choi Chi-won." In other words, they viewed him in the perspective of Joseon scholars instead of his perspective in his days. Thus Choi remains as one of the figures that are frequently talked about among people even after a thousand yea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文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