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사견문록〉의 군왕 형상화 양상 (Representation of King in Gongsagyeonmunrok)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4.05
48P 미리보기
〈공사견문록〉의 군왕 형상화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문화연구 / 97호 / 39 ~ 86페이지
    · 저자명 : 김민혁

    초록

    〈공사견문록(公私見聞錄)〉은 효종의 부마 정재륜(鄭載崙)이 선조부터 현종 시기의 궁궐 일을 집중적으로 서술한 필기, 야사집이다. 작품은 전ㆍ후집으로 나뉘어 전집에는 군왕과 궁궐의 사건들을, 후집에서는 사대부와 민간에서 일어난 일들을 서술하였다. 또한 문헌 자료는 보조적으로만 인용하고, 정재륜이 보고 들은 견문을 토대로 작성되고 출처를 세밀하게 남겨두어 기록적 성격이 강하다.
    전집은 시기별로 구분되어 한 군왕을 집중적으로 다루기에 후집에 비해 한 군왕의 성격이 분명하게 만들어지는 경향이 있다. 선조는 검약하고 부지런하여 현명한 정치를 시행한 것으로 그려지며, 이러한 모습은 인조에게도 똑같이 반복되어 조선 왕실의 정통성과 함께 문화와 교화 역시 계승되는 것처럼 말한다. 광해군에 대해서는 다른 기록들처럼 부정적으로 대하지만 비판의 수위를 낮추고, 책임을 다른 인물에게 전가하며, 광해의 훌륭한 점을 함께 언급하여 옹호적인 모습을 보인다. 효종은 선조와 인조처럼 훌륭한 임금이라 평가한다. 또한 소현세자에 대해 암시적으로 단점을 말하고, 그와 반대되는 봉림대군 시절 효종의 모습을 묘사하여 은근한 우위화를 만들어 낸다.
    작품에서는 조선 왕실의 교화가 이루어진 것처럼 말하지만 정작 정재륜을 비롯한 효종의 공주와 부마들은 백성들을 수탈하고, 사치스런 집을 지어 조사와 탄핵을 받았다. 또한 본래 북인 출신이며, 증고모할머니가 광해군의 장모였던 정재륜의 집안은 광해군에게 옹호적 태도를 보일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조선 왕실과 군왕에 대한 묘사는 정재륜의 세심한 배치와 검열을 통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Gongsagyeonmunrok is an essay by King Hyojong’s son-in-law, Jeong Jaeryun. The work is divided into the first and second volumes. And the events of the king and the palace are described in the frist volume and the second volume describes the events of the nobility and the private sector.
    King Seonjo is depicted in a frugal, diligent, and wise manner, and this aspect is repeated equally to King Injo, as if culture and edification are inherited along with the legitimacy of the Joseon royal family. Gwanghaegun, like other records, is treated critically, but Jung lowers the level of criticism, passes the responsibility to other people, and mentions the great points of the Gwanghaegun to be supported. Hyojong is evaluated as a great king like Seonjo and Injo. In addition, Jung implicitly talks about the shortcomings of Prince Sohyeon and depicts the opposite image of Hyojong, creating a subtle superiority of Hyojong.
    In the work, it is said as if the edification of the Joseon royal family was accomplished, but in fact, Hyojong’s Princesses and her husband, including Jeong Jae-ryun, stole the people’s property and built luxury houses to be investigated and impeached. In addition, the family of Jeong Jae-ryun, who was originally from Bukin(北人) and whose great-grandmother was the mother-in-law of Gwanghaegun, had no choice but to show a supportive attitude toward Gwanghaegun.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description of the Joseon royal family and the kings is through the careful arrangement and censorship of Jeong Jae-ryu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