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황의 양명학 비판 양상과 그 영향 - 『전습록논변』을 중심으로 - (The Patterns and Influences of Yi Hwang's Criticism of Yangming Studies: focused on “Chonsumnoknonbyon(『傳習錄論辯』)”)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3.12
27P 미리보기
이황의 양명학 비판 양상과 그 영향 - 『전습록논변』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유교학회
    · 수록지 정보 : 유교사상문화연구 / 94호 / 7 ~ 33페이지
    · 저자명 : 이해임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정치사적 측면과 함께 철학사적 맥락에서 조선 사림학파 내 양명학 비판 양상을 연구하는 데 핵심 자료가 『전습록논변』임을 밝히는 데 있다. 1520년 전후로 김세필이 『전습록』 상권을 유입한 이후부터 이황의 『전습록논변』이 출간되기 전까지 조선 사림학파 내에서 육왕학 수용과 함께 비판이 혼재하는 양상을 띠고 있었다. 예컨대 당시 조선 사림파의 핵심 인물인 김안국이 정치적 탄압에서 주륙화회론을 지지했다. 이는 명대 학풍을 수용한다는 명분과 함께 사림학파의 명맥을 이어갈 수 있는 정치적 토대를 마련했다. 또 노수신, 남언경, 그리고 홍인우 등은 학문적 차원에서 육왕학을 계승하려는 의지를 보였다. 이황은 사림학파 내에서 이와 같은 모순적 상황이 발생한 까닭이 주자학의 올바른 이해가 부족한 탓이라고 진단했다. 이로 인해 그는 주자 문헌 전체를 탐독함으로써 그 정수를 정리했을 뿐만 아니라 이를 제자들에게 가르침으로써 주자학의 정통성과 함께 양명학을 배격하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이로부터 이황은 1566년 『전습록논변』을 출간한다. 이 글의 대강은 이후 퇴계학파뿐만 아니라 율곡학파도 받아들임으로써 양명학 비판의 그 깊이와 함께 폭을 넓혀 준다. 따라서 『전습록논변』은 조선 사림학파의 양명학 비판을 탐구하는 데에 핵심 자료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at the key data is “Chonsumnoknonbyon(『傳習錄論辯』)” to study the criticism of Yangming Studies(陽明學) in the Joseon Sarim School(士林派) in the context of philosophical history along with the political history aspect. Since Kim Se-pil introduced Chonsumnok(『傳習錄』) vol.1 around 1520, until the publication of Yi Hwang's “Chonsumnoknonbyon”, the Joseon Sarim School had a mixed pattern of criticism with the acceptance of LuWang Studies(陸王學). For example, Kim An-guk, a key figure in the Joseon Sarim school at the time, supported ZhuLuhexuelun(朱陸和會論) in political oppression. This laid the political foundation for continuing the legacy of the Sarim School along with the justification of accepting the Ming dynasty’s scholar style. In addition, Noh Su-sin, Nam Eon-gyeong, and Hong In-woo showed a willingness to inherit LuWang Studies at the academic level. Yi Hwang argued that this contradictory situation occurred within the Sarim school because of a lack of correct understanding of Zhuzi Studies(朱子學). For this reason, he not only sorted out the whole number by devouring the entire Zhuzi’s books, but also laid the foundation for rejecting Yangming Studies along with the legitimacy of Zhuzi School by teaching it to his disciples. From this point on, Yi Hwang published “Chonsumnoknonbyon” in 1566. The outline of “Chonsumnoknonbyon” expands the depth and breadth of the criticism of Yangming Studies by accepting not only the Toegye School(退溪學派) but also the Yulgok School(栗谷學派). Therefore, “Chonsumnoknonbyon” can be said to be a key material for exploring the criticism of Yangming Studies of the Joseon Sarim Schoo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교사상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