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민족문화연구』 누적 100호로 본 한국 고전문학 연구 경향과 과제 (KOREAN CULTURAL STUDIES Trends and tasks in the study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n the 100th cumulative issue)

5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3.11
56P 미리보기
『민족문화연구』 누적 100호로 본 한국 고전문학 연구 경향과 과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연구 / 101호 / 13 ~ 68페이지
    · 저자명 : 김준형

    초록

    『민족문화연구』 누적 100호를 통해 한국 고전문학의 연구 경향을 살피고,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한 고민하였다. 누적 100호에 수록된 1,200여 편 내외의 논문 중 고전문학 관련 논문은 대략 440여 편 정도다. 전체의 35%다.
    『민족문화연구』에는 특집 섹션이 총 63개인데, 여기에는 크게 세 가지 요소에 주목했다. 첫째, 특집호의 흐름이 ①인문학 위주에서 다른 분야까지 포섭했다. ②동일한 기획 주제가 반복되었다. ③기관의 역할을 위한 특집이 적지 않다는 점 등이 세 양상으로 나타났다는 것이 그러하다. 둘째, 특집호에는 한국문학과 다른 분야 학문과의 협업 양상에 변화를 보였다는 점이다. 초기에는 국학을 중심에 두고 다른 분야의 학문을 포용하는 방식이었다면, 후기에는 국학을 넘어 동아시아 보편 질서 안에서 한국문학의 위상을 찾는 방식으로 이동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특집호에는 한국문학의 독자적인 방향성을 설정했다는 점이다. 근대와 민족이라는 거대담론에 기초한 한국문학 연구는 2000년 이후로 소시민의 일상에 초점을 맞춘 생활사 위주의 미시담론으로 변환하였다. 이런 도정에서 ‘나’라는 개인의 존재에 대한 물음이 연구의 중심에 놓인 것도 당연한 결과였다.
    특집호가 아닌 일반 논문들도 흐름은 크게 다르지 않다. 초기 『민족문화연구』에 수록된 논문은 국학을 중심에 둔 민속학이나 민족정신의 흐름이 간단없이 이어졌음을 입증하기 위한 고전시가에 초점을 맞췄다. 하지만 2000년 이후로 언어 인식에 따른 문화적 이질성 문제가 더 이상의 장애 요인으로 작동하지 않으면서, 한문학 연구가 활발해졌다. 또한 국제적인 보편성 아래에서 한국문학의 특수성을 읽어내려는 경향이 강해졌다. 또한 중심보다 주변에 관심을 보인 것도 같은 맥락에 놓인다. 권력자 중심이 아닌 익명화된 소수자에 관심을 보인 것도, 그리고 여성과 문화가 한국문학의 중심에 놓인 것도, 음악과 미술 등과 교섭하는 연구 성과들이 강조된 것도 같은 흐름에서 파생된 결과다.
    한국문학의 소멸까지 이야기되는 시점에서 새로운 과제를 나열하는 것은 염치없는 일이다. 차라리 중세에서 근대로 이행하던 시기의 고민을 엿보아, 그에 기초하여 오늘날 한국문학 연구의 방향성을 고민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첫째, 문학 연구의 목적성. 둘째, 학문 간 연대 및 공동 작업의 필요성. 셋째, 자료 공유 및 정리 작업의 필요성 등은 거기서 생산된 물음이다. 이를 통해 한국문학 연구의 구심점을 마련해야 한다는 점, 학문 간 연구 및 공동 작업에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자율성이 필요하다는 점. 그리고 자료와 공유 및 정리 작업은 한국문학 연구의 기초인데, 그 모범적 사례를 고려대 해외한국학자료센터에서 찾을 수 있다는 점을 방향성으로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Through the cumulative 100th issue of KOREAN CULTURAL STUDIES, I looked at the research trend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d thought about future research directions. Of the approximately 1,200 papers included in the 100th issue, approximately 440 are related to classical literature. It is 35% of the total.
    KOREAN CULTURAL STUDIES has a total of 63 special sections. Looking at the special issue, it is noteworthy in three major respects. First, looking at the flow of the special issue, three aspects are revealed. ① It focused on the humanities and included other fields. ②The same planning theme was repeated. ③This includes the fact that there are quite a few special features for the role of the institution. Second, the special issue showed a change in the pattern of collaboration between Korean literature and other academic fields. In the beginning, it was a method of embracing studies in other fields based on Korean Studies, but in the later period, it was seen that it moved beyond Korean Studies to a method of finding the status of Korean literature within the East Asian universal order. Third, the special issue also showed an aspect of setting an independent direction for Korean literature. Since 2000, research on Korean literature based on the macro-discourse of homeland and nation has shifted its focus on the daily lives of small-scale citizens to micro-discourse centered on life history. In this journey, it was a natural result that the question of the existence of the individual ‘I’ was placed at the center of the research.
    General papers that are not part of a special issue are not much different from the flow of a special issue. The early papers included in National Culture Studies focused on folklore centered on national studies and classical poetry to show that the flow of national spirit progressed and developed in a linear manner. However, since 2000, Chinese literature has shown significant progress as the problem of cultural heterogeneity due to language recognition no longer acts as an obstacle. The tendency to read the specificity of Korean literature under international universality has become stronger. Also, the increased interest in the periphery rather than the center can be explained in the same context. This is why the focus is on anonymous minorities rather than those in power. The same result is that women and culture are placed at the center of Korean literature, and research results that negotiate music and art are emphasized.
    After reviewing this, I also thought about the tasks of Korean literature research. Rather than raising a special task at a time when we are talking about the disappearance of Korean literature, it is more meaningful to translate Kim Chun-dong’s concerns from the period of transition from the Middle Ages to the modern era into today's problems. Through this, three issues were raised. First, the purpose of literary research. Second, the need for interdisciplinary solidarity and collaboration. Third, there is the need for data sharing and organization. Through this, a central point for Korean literature research must be established and autonomy to demonstrate creativity in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collaboration is needed. He also suggested that sharing and organizing data is the basis of Korean literature research, and that exemplary examples can be found at Center for Overseas Resource on Korean Stud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