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메타버스 시대의 라이프로깅: 기술적 과제와 사회적 이슈 (Lifelogging in the Age of Metaverse: Technical Challenges and Social Issues)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22.02
10P 미리보기
메타버스 시대의 라이프로깅: 기술적 과제와 사회적 이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7권 / 1호 / 155 ~ 164페이지
    · 저자명 : 정혜균, 김현석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인터넷의 광범위한 사용으로 인해 2021년 현재 메타버스 시대의 초입에 진입한 것으로 여겨진다. 개인의 활동과 경험을 기록하는 라이프로깅은 메타버스의 핵심요소로서, 본격적인 메타버스 시대에는 현실세계와 가상세계에서의 모든 주요 활동이 통합적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는 퍼베이시브 라이프로깅의 단계로 진입할 것으로 예측된다. 본 연구에서는 퍼베이시브 라이프로깅의 특성, 이를 위해 필요한 기술적 진보, 그리고 향후 예상되는 사회적 이슈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메타버스와 라이프로깅의 특성과 전망에 관해서는 기존에 발표된 연구 내용과 SNS 플랫폼을 조사하였다. 더불어 현실세계의 라이프로깅 현황 사례로 '애플와치', 그리고 가상세계 라이프로깅 현황 사례로 온라인 플랫폼인 '동물의 숲' 사례를 살펴보았다. (결과) 현재 현실세계의 라이프로깅은 가상세계의 라이프로깅에 비해 내용이 제한적이다. 퍼베이시브 라이프로깅을 위해서는 현실세계의 개인의 경험 전체에 대한 통합적 디지털 기록을 포착하고 저장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멀티모달 디지털 센서 기술, 그리고 의미 있는 기록을 선별하고 추출하는 데이터 필터링 및 데이터 마이닝 기술의 발전이 요구된다. 또한 이렇게 획득된 현실세계의 디지털 기록과 가상세계의 디지털 기록을 동기화하고 통합적으로 저장 관리하는 플랫폼 개발이 필요하다. 한편 이러한 기술적 문제와는 별도로 통합된 현실-가상세계에서 복수의 아바타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어떻게 조율할 것인가가 쟁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더불어 권력의 개인 통제와 관련해 기존의 '생명관리정치'가 논의의 중심에서 멀어지고, 대신 거대 메타버스 플랫폼 기업이 개인의 행위를 관리하는 '행위관리정치'가 논의의 중심에 설 것으로 예측된다. (결론) 미래에는 현실세계와 가상세계가 통합된 메타버스 세상에서 우리의 모든 활동이 자동으로 기록되는 퍼베이시브 라이프로깅 시대가 도래할 것으로 예측되며, 이는 현재의 메타버스가 최종적 단계의 메타버스로 발전하기 위해 필수적인 요소일 것이다. 그러나 퍼베이시브 라이프로깅이 확산됨에 따라 복수의 아바타 사이의 관계 정립, 개인의 행위통제 문제와 같은 쟁점들이 등장할 것이다. 따라서 향후 멀티모달 센서, 데이터 마이닝과 같이 라이프로깅을 용이하게 해주는 기술의 개발과 더불어 이러한 쟁점들을 어떤 방향으로 해결해 나갈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해 보인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As of 2021, we are stepping into an age of the metaverse owing to advances in digital technologies and the widespread use of the Internet. Lifelogging―keeping track of one’s activities and experiences―is an essential component of the metaverse. “Pervasive lifelogging,” which refers to the process of recording all major aspects of our experiences in the real and virtual worlds in a unified framework, is expected to be prevalent in the metaverse age. This research deal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pervasive lifelogging, the technological advances required to realize it, and the potential social issues associated with it. (Method) The viewpoint and framework of metaverse and lifelogging were derived from existing literature and SNS platforms. We also examined the device “Apple Watch” as a sample of lifelogging in the real world, and the online game “Animal Crossing” as a sample of lifelogging in the virtual world. (Results) Currently, lifelogging in the real world is quite limited compared with that in the virtual world. For pervasive lifelogging to be possible, the totality of one’s experiences not only in the virtual world but also in the real world must be captured and stored in a digital format. This requires advances in the technologies associated with multimodal digital sensors, data filtering, and data mining. In addition, a unified platform that synchronizes and integrates digital data collected from the real and virtual world must be developed. In addition to these technological issues, pervasive lifelogging is expected to cause various social issues. Multiple avatars may not be independent, and may influence each other via one’s activities and experiences in the real world in the age of pervasive lifelogging. Therefore, coordinating the interactions among multiple avatars that embody multiple personas may become important. Moreover, with respect to the issue of controlling and manipulating individuals by authority, “behavior-politics” exercised by giant multinational enterprises may take the place of “bio-politics” exercised by nations. (Conclusions) Pervasive lifelogging, which is a critical element for realizing the ultimate form of the metaverse in the future, records the totality of one’s activities and experiences in the real and virtual worlds. However, pervasive lifelogging entails issues such as coordinating relationships among multiple avatars and the abuse of power to control and manipulate individual behaviors. Thus, in addition to achieving technological advances, we need to tackle how to handle social issues associated with pervasive lifelogging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