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세기말 戶籍表로 본 平安南道 順川郡 戶의 구성 (The household constitution at Suncheon-gun County of Pyeongannam-do Province as seen by the family register prepared in the end of 19th century)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15.01
29P 미리보기
19세기말 戶籍表로 본 平安南道 順川郡 戶의 구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史叢(사총) / 84호 / 1 ~ 29페이지
    · 저자명 : 이정주

    초록

    1945년 분단 이후 한국사학계의 지방사 연구는 대개 남한 지역 위주로 진행되었다. 이 글은 그동안 소홀히 취급되었던 북한 지역의 인구, 가족, 지리, 경제적 특성의 일단을 정리하려는 목적으로 작성한 것이다. 이를 위해 19세기 말 함경남도 순천군의 鳳峀面, 龍浦面, 院下面에 거주하던 호구를 정리한 호적표에 주목하였다.
    이 호적표는 1897년에 작성된 것이었는데, 20세기 초부터 급격한 행정구역 개편이 수차례 진행되었고 자연지명 또한 대거 바뀌어 대상 지역의 정확한 위치조차 파악하기 힘들었다. 게다가 19세기말 호적이 지니는 호구의 누락 현상까지 겹쳐 19세기 순천군의 인구 규모를 추산하는 것조차 불가능했다. 하지만 1897년 당시 순천군의 가족 구성, 산업과 직업, 가옥의 규모 등은 밝힐 수 있었다.
    19세기말 순천군의 가족은 母系나 妻系가 철저히 배제된 父系 위주로 구성되었고, 직계가 아닌 傍系 가족도 4%에 불과했다. 순천군에서 보이는 ‘父系直系’ 위주의 가족 구성 원리는 당시 한반도 북부 지역에서는 일반적인 경향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일부 대도시를 제외하고 지방에 국한한다면 순천군 주민들의 경제적 수준은 높은 수준이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추정은 경제력과 비례하는 1인당 가옥 규모를 통해 가능했다. 순천군 주민 직업의 특징으로는 상업 종사자가 11.8%에 달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들 상인들은 농업 종사자보다 평균적으로 1.19칸 넓은 가옥을 소유하고 있었다. 순천군에 상인이 많았던 것은 그곳이 교통의 요지이자 물자의 집산지였기 때문이었다. 상업 인구가 많고 교통이 발달한 곳이어서인지, 당시 한반도에 넓게 퍼져 있었던 동족촌락은 1곳에 불과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on the family register of Suncheon-gun County of Pyeongannam-do Province prepared in year 1897. Yongpo-myeon(township), Bongsoo-myeon and Wonha-myeon were the analysis object of this study; however, it is not possible to know their exact geographical locations now. The reason is that the administrative zones were greatly changed and there were many changes in the physical placenames within 10 years from the preparation of the family register. However, it was possible to carefully estimate by 2~3 placenames in different time spans that the object area of the Suncheon-gun County family register was located along the west riverside of Daedong-gang River, where Wonha-myeon, Yongpo-myeon, Bongsoo-myeon were located in sequence from south to north.
    The number of household and population recorded on the 1897 family register of Suncheon-gun County are 503 households and 1,471 persons. However, these figures are much less than actual numbers. According to the family register of Suncheon-gun County, there were 2.92 persons per household at the time; while there were 4.62~5.35 persons per household in the precision census in 1925. It is believed that about 2 persons per household were left out in the 1897 census. The gender ratio in the family register of Suncheon-gun County is 117.6. The reason is that 231 sons were recorded but only 4 daughters were recorded.
    The family register of Suncheon-gun County has many weak points in its basic parts such as number of household and average age. However, it is essential and useful information in recreating the scene of Suncheon-gun County in 1897; though it has some limitations in certain numbers. In 1897, there were a household-head group consisting of 106 family names and a married female group consisting of 183 family names in Wonha-myeon, Yongpo-myeon and Bongsoo-myeon. There were diverse family names, not mainly consisting of specific family names. Among the 19 villages in Suncheon-gun County with family register, only 1 village was single family name village. Considering that about one third of Korean village was same surname village at the time, Suncheon-gun County was very exceptional. The reason is that Wonha-myeon, Yongpo-myeon and Bongsoo-myeon were mostly flat and the area was a major traffic point; therefore, there was large floating population and the area had open propensity.
    More than 95% of the households in Suncheon-gun County consisted of direct line family members such as a household head, his wife, son, daughter-in-law and mother. 86% of local residents were farmers; while 11.8% were merchants. A house of a merchant was bigger than a house of a farmer by 1.2 rooms. There were 3 Confucian scholars, 4 physicians, 1 local government employee and 2 scholars. These upper class had houses which had average 6 or more roo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史叢(사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