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성의 자기구성과 독일관념론의 출발 -칸트에서 피히테로 (Die Selbst-Konstruktion der Vernunft und der Anfang des deutschen Idealismus)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08.06
32P 미리보기
이성의 자기구성과 독일관념론의 출발 -칸트에서 피히테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헤겔학회
    · 수록지 정보 : 헤겔연구 / 23호 / 241 ~ 272페이지
    · 저자명 : 이광모

    초록

    비판주의와 과학주의로 불리는 계몽주의는 18세기 들어서면서 난관에 부딪치게
    된다. 왜냐하면 비판주의로서 계몽주의가 모든 것을 비판하려는 한에서는 회의론
    으로 귀결되고, 과학주의로서의 계몽주의는 경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만을 증
    거로 삼으려는 한에서는 인간 자유의 가능성을 부정하는 물리주의(Materialism)로
    귀결되기 때문이다. 계몽주의가 지니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던 철학자는 칸트
    이다. 그는 이성의 한계를 구분지음으로써 회의주의를 배제한 비판주의와 물리주
    의를 배제한 과학주의를 건설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칸트철학은 결과적으로 건설적인 그 의도와는 다르게 또 다른 문제를 낳
    게 된다. 왜냐하면 첫째, 이성의 능력과 한계를 비판하려는 한에서 이성의 자기인식
    의 가능성이 설명되지 않고 있으며, 둘째, 비판주의와 과학주의를 화해시키기 위해
    인식의 영역을 구분한 한에서, 이성의 서로 다른 영역이 통일적으로 설명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독일관념론은 칸트에게 미완으로 남겨져 있던 바로 이러한 문제들, 즉 이성은 어떻게 스스로를 정당화할 수 있으며 그 사용은 하나의 체계를 이룰 수 있는가 라는
    물음과 더불어 시작된다. 사실 이성의 자기 정당화와 그 사용에 대한 원리적 통일의
    문제는 내적으로 밀접한 연관을 갖는다. 왜냐하면 이성이 자기를 정당화한다는 것
    은 스스로를 증명의 근거와 증명의 대상으로 구분하면서 동시에 매개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그 사용이 원리적으로 통일된다는 것은 이성이 스스로를 계기로 구분하
    면서 동시에 하나의 체계로 결합한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두 문제
    는 근본적으로 하나인 이성의‘자기매개’(Selbst—vermittlung) 혹은‘자기구성’의 문
    제로 환원된다. 이렇게 볼 때, 독일관념론의 근본 물음은‘이성의 자기구성의 가능
    성’에 관한 물음으로 이해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성의 자기구성문제가 어떻게 독일관념론의 출발점에 놓이게 되
    는지가 구체적으로 고찰된다. 특히 이러한 고찰은 칸트와 셸링철학을 중심으로 고
    찰되고, 다음으로 더 나아가 셸링의 의해 지적된 칸트의 문제를 피히테는 어떻게 받
    아들이며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길을 가게 되는지를『전체 학문론의 기초』
    를 통해 고찰된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결론적으로 독일관념론의 출발점에 놓여 있
    던 근본적인 문제는 이성의 자기정당화라는 점이 제시된다.

    영어초록

    Die als Kritizismus und Skientizismus genannte Aufklärung stoßt am Anfang
    des 18 Jahrhunderts auf die Schwierigkeiten. Denn sie kommt insofern zum
    Skeptizismus, als sie als Kritizismus alles zu kritizieren versucht, und insofern
    zum menschliche Freiheit negierenden Materialismus, als sie nur empirisch
    Bestätigbares für Wahres hält. Wer das Dilemma der Aufklärung auflösen
    wollte, der war Kant. Er wollte durch die Bestimmung der Grenze der Vernunft
    den Kritizismus ohne Skeptizismus und den Skientizismus ohne Materialismus
    aufbauen.
    Aber die kantische philosophie legt schließlich noch unerwarteten anderen
    Problemen vor, weil erstens, die Möglichkeit der Selbst—erkenntnis der Vernunft
    für die Kritik nicht erklärt, und zweitens, die verschiedenen Bereiche des
    Vermögens der Vernunft zu Einem System nicht vereingt werden konnte.
    Der deutsche idealimus fängt mit der Auseinandersetzung der Problemen an,
    die bei Kant unvollendet übrig sind, wie sich selbst die Vernunft begründen und
    ihre verschiedenen Verwendungen zu Einem System gebracht werden kann.
    Die Selbst—Begründung der Vernunft und die prinzipielle Einhiet ihrer
    Verwendungen sind ein und dasselbe Problem. Denn die Vernunft sollte sich,
    um sich selbst zu begründen, zum Grund und Gegenstand des Bweises
    machen, und zugleich die als Gegenstand und Grund Unterschiedenen zur
    Vermittlung bringen. Aus diesem Punkt läßt sich sagen, daß die Selbst—Begründung der Vernunft und die prinzipielle Einhiet ihrer Verwendungen zur
    ‘Selbst—vermittlung’oder‘Selbst—konstruktion’der Vernunft zurückgeführt
    wird. Es kommt bei dem deutschen Idealismus schließlich auf die Selbst—
    konstruktionsmöglichkeit an.
    Es handelt sich bei der vorliegenden Arbeit darum, wie der deutsche
    Idealismus mit der Selbst konstruktion der Vernunf anfängt. Der Schwerpunkt
    liegt dabei in der Kantischen und Schellingschen Philosophie. Und dann wird
    betrachtet, wie Fichte das von Schelling vorgelegte Kantische Problem in
    seinem Werke, Die Grundlage der gesammten Wissenschaftslehre auflöst. Aus
    dieser Betrachtung kommt heraus, daß das grundsätzliche Aufgabe des
    deutschen Idealismus die Vernunft selbst rechtfertig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헤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