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修辭를 통한 詠史樂府 분석과 詩題로 본 創作意圖 고찰 (Study on the motive of creation through rhetorical analyzation of “Youngsa-Yuefu” and tenses)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16.06
24P 미리보기
修辭를 통한 詠史樂府 분석과 詩題로 본 創作意圖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語文硏究) / 44권 / 2호 / 341 ~ 364페이지
    · 저자명 : 신장섭

    초록

    『시경』의 각 시편들이 생동적인 언어로써 興․賦․比의 修辭를 활용하여 사물의 특징을 정확하게 묘사하고 있듯이, 우리의 영사악부도 작가들이 比喩와 强調라는 수사법을 이용하여 작품성을 돋보이게 하고 있다. 이 점을 중시하여 본고에서도 신라의 김후직과 김제상의 설화를 시화한 영사악부를 중심으로, 의미의 전이를 위한 비유와 형식의 변화를 통한 강조라는 수사적 관점에서 분석하였고 詩題를 통해서는 작가들의 作風과 창작의도도 살펴보았다. 의미의 轉移를 위해 李瀷은 ‘桃茢․饅頭․息壤’ 등의 어휘를 사용함으로써 충신의 참모습을, 吳光運은 김제상을 ‘鳥’에, 눌지왕의 두 동생을 ‘紫荊花’에 비유하여 신하의 爲國忠節과 兄弟一氣의 형제애를 극대화하고 있다. 반면 林昌澤․李匡師․李學逵․金壽民․沈光世 등은 문답과 對句의 구성, 시어의 반복과 장단구의 변화, 점층적인 수법 등으로 작품의 미적 효과를 발휘하면서 신하의 충정심을 강조하였다.

    영어초록

    As each poems in “Sigyeong” accurately depi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objects with vivid language utilizing rhetorical devices of 흥, 부, 비, the authors of our “Young-Yuefu” shows its literary value through using rhetorical devices, such as figure of speech and emphasis. With the emphasis on this point, the paper focuses on “Youngsa-Yuefu” which made tales of “Kim Hujik” and “Kim Jesang” from Shilla into a poem. The “Youngsa-Yuefu” was rhetorically analyzed in that emphasis through figure of speech and the change in forms was intended to spread the underlying meaning. Through tenses, the paper analyzes the motive of creation and the style of writing of the authors. In order for the spread of the underlying meaning, Lee Ik used dictions, such as “Doyoel, Mandoo, Sikyang” showing the true figure of the loyal servant. Oh Kwangwoon compares Kim Jesang to “Jo” and the two brothers of King Nulji to “Jahyeonghwa,” maximizing the fidelity and loyalty of a servant and the brotherhood in brother`s diary. On the other hand, Lim Changtaek, Lee Gwangsa, Lee Hakgyu, Kim Soomin, Sim Gwangse and others emphasized the loyalty of a servant demonstrating the beauty of language, utilizing dialogue and rhyming couplet, repetition of idiom of poem and change of rhythmic phrase, gradual method, etc. Not only them, but also certain number of authors proposed the motive and purpose of creation using the proposition of the po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연구(語文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