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는 개인이나 종족, 민족 등의 집단이 원래 살던 지역을 떠나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여 정착해 사는 것이다. 새로운 정착지에서 1년 이상 장기적으로 거주해야 이주라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주 이야기라는 관점에서 한국신화의 양상과 의미를 전반적으로 검토해 보았다. 이에 해당하는 자료의 현황, 이주 서사의 양상, 이주 서사의 의미에 대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신화에는 이주 이야기를 다룬 사례가 많다. 이야기 전체가 이주 이야기인 것도 있고, 이야기 속의 일부가 이주 이야기인 것도 있다. 세상의 기원을 설명한 신화 중에서는 <창세가>, <천지왕본풀이>가 있고, 인간의 기원을 설명한 신화 중에서는 <홍수신화>, <나무도령>이 있다. 그리고 문화의 기원을 설명한 신화 중에서는 <제석본풀이>, <바리공주>, <성조무가>, <이공본풀이>, <삼공본풀이>, <세경본풀이>, <궤네깃당본풀이>, <서홍리본향당본풀이>가 있다. 나라의 기원을 설명한 건국 신화 중에서는 <단군신화>, <주몽신화>, <혁거세신화>, <석탈해신화>, <김알지신화>, <김수로왕신화>, <삼성신화>, <작제건신화>, <연오랑세오녀> 등이 있다.
둘째, 한국신화에 나타난 이주의 양상은 네 가지 유형으로 나타난다. 그것은 1) 천상과 지상 사이의 이주, 2) 서로 다른 땅과 땅 사이의 이주, 3) 바다 건너 육지로의 이주, 4) 이승과 저승 사이의 이주이다. 1) 천상과 지상 사이의 이주에서는, 지상에서 천상으로 이주하는 이야기와 천상에서 지상으로 이주하는 이야기가 있다. 천상에서 지상으로 이주하는 것으로는 환웅, 해모수, 박혁거세, 김수로왕, 대별왕ㆍ소별왕, 문도령 이야기가 있다. 지상에서 천상으로 이주하는 것으로는 천지왕, 대별왕, 소별왕, 황우양씨가 이야기의 중간에 그러한 사례를 보여준다. 2) 서로 다른 땅과 땅 사이에서 이주하는 것으로는 당금애기와 세 아들, 감은장아기, 단군, 주몽, 유리, 비류와 온조 등의 이야기가 있다. 3) 바다 건너 육지로 이주하는 이야기로는 남매, 나무 도령, 바리공주, 동해 용왕의 딸(삼승할망본풀이), 백주또와 궤네깃또, 바람운, 석탈해, 허황옥, 세 처녀(삼성신화), 연오랑과 세오녀 이야기가 있다. 4) 이승과 저승 사이를 오가는 신성으로는 <창세가>와 <천지왕본풀이>에 등장하는 석가와 미륵, 대별왕과 소별왕 외에도, 원강도령, 원강아미, 할락궁이, 바리공주, 자청비, 강림도령이 있다.
셋째, 한국신화에 나타난 이주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1) 토착 세력과 이주 세력이 경쟁하거나 화합하면서 신화적 질서를 새롭게 만들어가는 이야기이다. 토착 세력(토착인)과 이주 세력(이주인)이 경쟁하고 화합하면서 새로운 질서를 만들어가는 이야기는 우리 이주 신화의 일반적인 서사 문법이다. 2) 이주에 일정한 지향성이 나타난다. 천상보다는 지상이 중시되고, 우리가 살고 있는 해동 조선국 땅이 신성하고 소중한 공간으로 중시되고, 바다 건너 저쪽보다 이쪽 해동 조선국이 중시되며, 저승보다 이승을 중시하는 경향을 보인다. 3) 건국신화에서 이주자와 토착자의 관계 질서는 주로 상하 관계로 나타난다. 이주자가 상위에, 토착자가 하위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다. 4) 이주의 주체로서 인간과 신의 관계가 친근하여 활발하게 이주하고 교섭한다. 신들은 인간을 돕고 보살피는 것을 좋아하고 그런 일을 소중하게 생각한다. 5) 이주 이야기는 공간 이야기와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다. 차후 우리 신화의 세계관과 공간관을 정리하여 그 공간지도를 입체적, 종합적으로 구성하는 작업이 깊이 있게 진행되어야 한다.
영어초록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tory of migration, I reviewed the aspects and meanings of Korean mythology as a whole. The current status of the data, aspects of the migration narrative, and meaning of the migration narrative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have been many cases of migration in Korean mythology. In some cases, the entire story is a migration narrative; in others, only part of the story is a migration narrative. Among the myths that explained the origin of the world were <Changsega> and <Cheonji Wangbonpuri>, and among the myths that explained the origin of humans were <Flood Myth> and <Tree Doryeong>. Further, among the myths that explained the origin of the culture were <Jeseokbonpuri>, <Princess Bari>, <Sungjo Muga>, <Igongbonpuri>, <Sekyeongbonpuri>, <Gwenegitdangbonpuri>, and <Seohongri Bonhyangdangpuri>. Among the founding myths that explained the origin of the country were <Dangun Myth>, <Jumong Myth>, <Hyukgeose Myth>, <Seoktalhae Myth>, <Kim Al-ji Myth>, <King Kim Su-ro Myth>, <Samsung Myth>, <Jakjegoen Myth>, and <Yeonorang and Seonyeo>.
Second, Korean mythology described four types of migration. It is 1) migration between Heaven and Earth, 2) migration between different lands and lands, 3) migration across the sea to land, and 4) migration between the world and the netherworld.
1) During the migration between Heaven and Earth, there were stories of migration from Earth to Heaven and from Heaven to Earth. Deities that migrated from Heaven to Earth included Hwanwoong, Haemosu, Park-Hyeokgeose, King Kim-Suro, King Cheonji, and Mundoryeong, and those that migrated from Earth to Heaven included King Cheonji, King Daebyeol, King Sobyeol, Hwangwooyang, and Jacheongbi. 2) There were stories of deities migrating between different lands, including Danggeumaegi and her three sons, Gameunjang-agi, Dangun, Jumong, Yuri, Biryu, and Onjo. 3) The deities that migrated across the sea to land were brother and sister, Namu Doryeong, Princess Bari, the daughter of the Dragon King of the East Sea (Samseunghalmangbonpuri), Baekjutto and Gwenegitto, Baramun, Seoktalhae, Heo Hwang-ok, three maidens (Samseong myth), Yeonorang, and Seonyeo. 4) The deities that migrated between this world and the netherworld included Sakyamuni, Maitreya, Daebyeolwang, Sobyeolwang, Wongang Doryeong, Wongangami, Hallakgungi, Princess Bari, Jacheongbi, and Gangrimdoryeong.
Third, the meaning of migration in Korean mythology is as follows.
1) This creates a new mythical order in which indigenous and migrant forces compete or unite. The story of indigenous forces (indigenous people) and migrant forces (migrants) competing and harmonizing to create a new order is the general narrative grammar of Korean migration myths. 2) There is a certain orientation toward migration. Earth is more important than Heaven, and Haedong Joseon’s land is more important as a sacred and precious space. Haedong Joseon is more important than the other sides of the sea and tends to value this world over the netherworld. 3) The order of relations between migrants and indigenous people mainly appears as a top-down or equal relationship. 4) As subjects of migr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gods is friendly. Therefore, they actively migrate and negotiate. Gods like to help and care for humans and they value such things.
Subsequently, the work of organizing the worldview and spatial view of mythology and constructing a spatial map must be conducted in depth.
해피캠퍼스에서는 자료의 구매 및 판매 기타 사이트 이용과 관련된 서비스는 제공되지만, 자료내용과 관련된 구체적인 정보는 안내가 어렵습니다.
자료에 대해 궁금한 내용은 판매자에게 직접 게시판을 통해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1. [내계정→마이페이지→내자료→구매자료] 에서 [자료문의]
2. 자료 상세페이지 [자료문의]
자료문의는 공개/비공개로 설정하여 접수가 가능하며 접수됨과 동시에 자료 판매자에게 이메일과 알림톡으로 전송 됩니다.
판매자가 문의내용을 확인하여 답변을 작성하기까지 시간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 휴대폰번호 또는 이메일과 같은 개인정보 입력은 자제해 주세요.
※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 등 서비스 불편사항은 고객센터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찾으시는 자료는 이미 작성이 완료된 상태로 판매 중에 있으며 검색기능을 이용하여 자료를 직접 검색해야 합니다.
1. 자료 검색 시에는 전체 문장을 입력하여 먼저 확인하시고
검색결과에 자료가 나오지 않는다면 핵심 검색어만 입력해 보세요.
연관성 있는 더 많은 자료를 검색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검색결과가 너무 많다면? 카테고리, 기간, 파일형식 등을 선택하여 검색결과를 한 번 더 정리해 보세요.
2. 검색결과의 제목을 클릭하면 자료의 상세페이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썸네일(자료구성), 페이지수, 저작일, 가격 등 자료의 상세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으며 소개글, 목차, 본문내용, 참고문헌도 미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검색기능을 잘 활용하여 원하시는 자료를 다운로드 하세요
자료는 저작권이 본인에게 있고 저작권에 문제가 없는 자료라면 판매가 가능합니다.
해피캠퍼스 메인 우측상단 [내계정]→[마이페이지]→[내자료]→[자료 개별등록] 버튼을 클릭해 주세요.
◎ 자료등록 순서는?
자료 등록 1단계 : 판매자 본인인증
자료 등록 2단계 : 서약서 및 저작권 규정 동의
서약서와 저작권 규정에 동의하신 후 일괄 혹은 개별 등록 버튼을 눌러 자료등록을 시작합니다.
①[일괄 등록] : 여러 개의 파일을 올리실 때 편리합니다.
②[개별 등록] : 1건의 자료를 올리실 때 이용하며, 직접 목차와 본문을 입력하실 때 유용합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