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선로의 명칭 및 유래 재고(再考)와 근대적 변화 (Reconsideration of the Appellation and Origin of Sinseollo and Modernization)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22.07
35P 미리보기
신선로의 명칭 및 유래 재고(再考)와 근대적 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근현대미술사학(구 한국근대미술사학) / 43호 / 231 ~ 265페이지
    · 저자명 : 정지희

    초록

    신선로(神仙爐)는 한국의 대표적 전통요리이자 그릇을 통칭하는 명칭으로 조선 고유의 식기라는 점이 비판적 사고와 검증 없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선행연구가 기준으로 삼은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이전의 문헌으로 고찰대상을 확대하고, 중국 및 일본 자료와 비교한 결과 조선시대에는 음식은 열구자탕, 그릇은 신선로로 명칭이 구분되어 사용되었다. 『동국세시기』를 기점으로 19세기 중후반부터 열구자탕은 그릇명이었던 신선로로 통칭되기 시작하였으며, 1930년대 후반에 ‘열구자 同요리’로서 조선표준어로 공식화되었다. 신선로의 용도도 처음에는 열구자탕 그릇, 술 또는 차를 데우는 난주기, 난다기로 사용되다 18세기 전반 『소문사설(謏聞事說)』에서 열구자탕을 끓이는 별도의 조리기, 즉 전용식기로 언급된 후 19세기 중반 명칭의 변화와 함께 신선로탕의 전용식기로 정착되었다.
    신선로의 유래는 조선 고유의 전통성이 강조되고 있지만, 조선시대부터 이미 조선고유설, 중국유래설, 일본유래설 등 여러 설이 있었다. 면밀한 유래 검증을 위해 중국 훠궈(火鍋)와 비교분석을 시도하였는데, 화통과 투공이 있는 굽을 가진 신선로의 형태가 중국의 천심식훠궈(穿心式火鍋)와 동일함이 확인되었다. 다만 중국은 신선로라는 명칭이 없어 명칭의 형성은 조선 중기 정희량(鄭希良)의 고사와 근접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시대에 다양한 기능을 가졌던 신선로는 근대기에 근대관광과 잡지, 신문, 조리서 등 인쇄매체의 발달로 대중화되었으며, 일본인 관광객을 중심으로 독특한 조선요리기로 인식되었다. 대중화된 신선로는 일제강점기 내내 인기품목으로써 혼례품, 관광기념품, 일반기념품으로 소비되었다. 높아진 대중 인기를 발판으로 신선로는 전통적으로 제작되던 은제, 백동제, 유제뿐만 아니라 니켈합금제, 양은과 은을 사용한 새로운 합금방식이 도입되고, 대량생산체제 하에서 조선 명승고적의 문양을 채택하는 등 생산방식의 변화로 상품화가 가속화되었다.
    그러므로 근대는 근대관광과 관광기념품의 성행, 조선요리옥과 대중적 인쇄매체를 통한 저변 확대, 기계를 도입한 대량생산과 제작방식의 변화로 신선로가 역사상 가장 각광을 받았던 시기였다. 따라서 신선로는 사회적 변화에 따른 산업화, 새로운 제작 및 생산방식, 소비 제고를 위한 다변화 등을 거치며 근대적 변화에 순응한 대표적 물질문화로 시대를 관통하였다.

    영어초록

    Sinseollo(神仙爐) is known as a Korean traditional cuisine and pot. However, the historical materials before Dongguksesigi(東國歲時記, 1849) which most previous studies based on, and Chinese and Japanese data, indicated that divided appellation had used as food name of Yeolgujatang(悅口子湯) and pot name of Sinseollo in the Joseon era. After Dongguksesigi published, Yeolgujatang renamed as Sinseollo and was formalized as the Joseon standard language in the late 1930s. Initially this pot was used for cooking Yeolgujatang, liquor or tea-heating. However, it was settled as a special cookware for Sinseollo(food) in the mid-19th century since mentioned as a exclusive pot for Yeolgujatang in the Somunsaseol(謏聞事說) in the 18th century.
    The origin of Sinseollo has been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in the Joseon era: Joseon, Chinese, and Japanese origin. As a result of comparing it with Chinese hot pot(火鍋) for investigating it’s origin, it was confirmed that the shape of Sinseollo with a funnel and a penetration hole is identical to that of ring-shaped hot pot(穿心式火鍋) in China. But China does not have the term of Sinseollo. Therefore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appellation of Sinseollo is related with Jeong Hui-ryang(鄭希良)’s episode in the mid-Joseon era.
    Sinseollo(food) was popularized in modern era due to the development of modern tourism, Joseon cuisine houses and printing media such as magazines, newspapers, and cooking books and was recognized as a unique Joseon cuisine by Japanese tourists. Accordingly Sinseollo(pot) was also caught popularity and consumed as wedding gifts, tourist souvenirs, and general souvenirs throughout Japanese colonial era. Increased popularity brought accelerated commercialization and changes of production methods, such as new alloy with nickel, nickel silver and silver, and the adoption of patterns of scenic spots and historic places in Joseon.
    Consequently, Sinseollo(pot) was the most popular in history in modern times and manufactured in mass production and distribution method of machinery. Therefore, Sinseollo(pot) became a representative material culture that adapted to modern changes through industrialization according to social changes, new production methods, and diversification to enhance consump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근현대미술사학(구 한국근대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