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仁과 義로 판단해본 直躬의 直 (Truthfulness of Zhigong based on Benevolence and Justic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20.09
26P 미리보기
仁과 義로 판단해본 直躬의 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철학연구 / 97호 / 55 ~ 80페이지
    · 저자명 : 김학용

    초록

    양을 훔친 아버지를 고발한 직궁 이야기는 사회윤리와 가족윤리의 충돌을 불러일으키며 딜레마에 빠지게 만든다. 그러나 이 문제는 유가(儒家)의 논리로 보면 딜레마가 아닐 수 있다. 직궁 문제의 본질을 캐보면 인(仁)과 의(義)가 충돌하는 문제로 보이는데 이 경우 仁의 도덕적 가치가 義보다 우위에 있기 때문에 궁극적인 딜레마는 아니다.
    직궁 이야기는 아들이 자기 아버지를 고발한 점에서 ‘仁의 문제’임이 분명하다. 아버지에 대한 고발은 효(孝)의 문제를 낳고, 孝는 仁을 행하는 근본이라는 점에서 직궁의 문제는 ‘仁의 문제’가 된다. 그러면서도 이 문제는 ‘義의 문제’이기도 하다. 직궁의 직(直)에는 義의 의미가 내포돼 있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전통적으로 직궁의 直을 義와 연관시키는 해석은 거의 없기 때문에 그 근거를 찾아보는 게 본고의 실질적 목표다.
    필자는 사전적 의미와 고발 사건의 측면에서 直과 義의 상관성을 확인해 봤다. 그러나 상관성의 가장 유력한 근거는 『춘추좌씨전』(노소공 14년)이다. 진(晉)나라 대부 숙향(叔向)이 자기 동생의 죄를 숨기지 않고 공정하게 처리한 데 대해, 공자(孔子)가 “義롭구다! 直이라 이를 만하다”고 평하는 내용이 나온다. ‘直과 義의 상관성’을 말해주는 표현이다. 공자(孔子) 자신의 언급이라는 점에서 더 주목할 만하다.
    ‘직궁의 딜레마’는 仁과 義의 사이에도 갈등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상징적 사건으로 볼 수 있다. 유교의 가장 중요한 두 도덕 가치가 충돌할 수 있다는 사실은 선뜻 수긍하기 어려울 수 있으나 유교이론으로 보면 그게 오히려 정상이다. 직궁 이야기는 유교에서 義보다 仁을 왜 우위에 두고 있는지 알 수 있게 해준다. 仁과 義의 어떤 차이점이 직궁의 딜레마를 해소시켜 줄 수 있는지 확인해 볼 것이다.
    직궁의 문제는 ‘仁의 문제’인 동시에 ‘義의 문제’다. 仁과 義가 충돌하는 문제다. 직궁은 義의 편만 들다가 우(愚)를 범했다. 부모에 대한 고발은 아니더라도 仁을 소홀히하고 義만 너무 앞세우면 ‘직궁의 愚’를 범하는 것이다. 『논어』 직궁 이야기가 전하는 메시지라고 본다.

    영어초록

    The Zhigong[直躬] anecdote tells a story of a father being reported to the authorities by his son for stealing a sheep, and this story puts readers in a dilemma, causing a clash between social ethics and family ethics. This issue may not, however, be a dilemma according to Confucian logic. When one delves into the essence of the Zhigong issue, he or she would consider it as a clash between benevolence and justice. In such a case, the moral value of benevolence is superior to that of justice, which means that it is no ultimate dilemma.
    Zhigong's story clearly raises an "issue of benevolence" in that the son reported his father. When the son reported his father, it raised an issue of filial duty, which is the root of conducting benevolence. The issue of Zhigong is thus an "issue of benevolence." It is, at the same time, an "issue of justice" as the Zhi (truthfulness) of his name Zhigong seems to connote the meaning of justice. Since there had been few traditional interpretations connecting the truthfulness of Zhigong to justice, this study set a practical goal of finding those grounds.
    The investigator examined correlations between truthfulness and justice in the aspects of meanings in the dictionary and the reporting event, and found the strongest grounds for their correlations in『Chunqiu Zuoshizhuan(春秋左氏傳)』(14th year of Duke Zhao's reign in Lu). Shu Xiang[叔向], a grandee in Qin Dynasty who refused to cover up his brother's crime and handled it fairly, was praised by Confucius who said, "He is truthful! His action deserves the word meaning just and honest." This expression shows "correlations between truthfulness and justice." This deserves further attention as it was personally mentioned by Confucius.
    "Zhigong's dilemma" is a symbolic event showing that there are conflicts between benevolence and justice, as well. One may have a difficult time accepting the fact that the two most important values of Confucianism can clash, but it is rather normal from the viewpoint of Confucian theory. Zhigong's story shows why benevolence is superior to justice in Confucianism. The present study examined which of the differences between benevolence and justice would help to resolve Zhigong's dilemma.
    Zhigong's issue is both an "issue of benevolence" and "that of justice." It is a clash between benevolence and justice. Zhigong made a foolish mistake, siding only with justice. One can make "Zhigong's foolish mistake" by putting justice too much ahead while neglecting benevolence, even if he or she does not go as far as reporting his or her parent. This is the message of Zhigong's story in 『Analects of Confucius 』.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