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3~14세기 歸化人의 유형과 고려로 이주 (The Type and Migration of the Guihuaren(歸化人) to Koryo in the 13th and 14th Centuries)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17.03
37P 미리보기
13~14세기 歸化人의 유형과 고려로 이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학보 / 233호 / 1 ~ 37페이지
    · 저자명 : 배숙희

    초록

    중국에서 한반도로 이주해 온 귀화인들을 보통 사료에서는 향화, 투화라고 쓰고 있고 번역할 때 귀화라고 하였으며 이미 습관적으로 사용하는 용어로 고정되었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귀화라는 용어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賜姓되었던 사람, 고려로 온 후 이름을 고친 사람, 賜姓名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貫鄕을 받는 것도 봉록. 채지, 임직지, 처향, 출신지 등이 있으며 貫鄕을 후손들이 스스로 취하는 경우도 있었다.
    제국공주를 陪從하여 들어온 케링구나 陪臣은 서하인, 고려인, 南人, 몽골인, 위구르인, 무슬림, 한인으로 종족이 다양함을 알 수 있었다. 반면, 노국공주의 陪臣들의 공통점은 한인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몽원정권의 통치와 관련이 있다. 제국공주가 고려로 下嫁할 당시는 몽골제국의 통치가 초보적인 단계였으므로 여러 종족이 정권에 참여 하였으며 한인은 소수에 불과했다. 그러나 노국공주가 下嫁할 시기는 원나라 말기였으므로 이미 한화되었으며 관원들도 한인이 위주였으며 원나라의 중국 통치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최고 통치권내에 한인이 점차 많아져 중요한 종족이 되었기 때문이다. 제국공주의 陪從으로 온 케링구는 본인대에는 권력을 누렸지만 지속적으로 가문을 영속시키는 것이 쉽지 않았으며(덕수장씨는 다소 예외) 민간사회로 융합되어 고유민족의 요소를 찾아볼 수 없다.
    그러나 원나라의 동란을 피해서 개별적으로 이주해 온 귀화인은 몽골족이나 위구르족이라 할지라도 그 선조는 중국에서 장기간 생활하여 한화된 엘리트 계층이었다. 대체로 중국의 과거에 급제하였으며 전란을 피해 안정적인 생활을 위해 인접국이자 문화가 비슷한 고려로 이주하여 지적인 재능을 이용하여 관계로 진출하고 사인들과 교류하였다.
    원명교체기에 원나라 반란세력의 영수의 후손인 명승과 진리 등은 명 태조 주원장에 의해 한반도로 이주되어졌다. 진우량의 아들 진리는 중국에서 결혼하여 고려로 와서 인지 이 가문은 그다지 동화되지 않았으며 진리의 아들이나 딸은 통혼이 이루어졌지만 과거급제자를 낸다거나 공을 세운 기록을 찾아볼 수 없다. 명승은 진리와 함께 고려로 온 명옥진의 아들로 파평 윤씨를 배필로 삼았다. 모친 팽황후도 같이 왔는데 궁중 복식을 잘 알고 있어 조선문화에 영향을 주었다. 명승의 후손은 과거에도 응시하고 부역을 부담하는 등 조선사회의 구성원으로 살아갔음을 알 수 있다.
    고려시대부터 조선 초까지 귀화인 중 鄕貫이 확실한 13개 성씨의 원류를 사료에서 찾을 수 있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씨족(성씨)의 원류도 이주해 온 당사자가 되는 경우도 있고, 선조나 후손이 되기도 했다. 그러므로 원나라부터 명나라 초까지 귀화인들은 다양한 면모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것처럼, 賜姓이나 鄕貫을 받고 족보를 가졌던 성공한 가문도 있지만 족보를 가질 수 없는 이주민도 많았으리라 생각된다. 어찌되었건 이들은 한반도에 정착하여 오늘날 한민족의 일부로 동화되었다.

    영어초록

    Chinese immigration to the korean peninsula in the Koryo period was generally described as Touxia or Xianghua in the original traditional documents, but this was translated as Guihua in recent usage.
    According to this study, the names of these immigrants were altered largely through various processes. Some immigrants acquired bestowed surnames, while others kept their original surnames while changing their first names only after arriving in Koryo. Furthermore, the immigrant's bestowed places of origin were decided for diverse reasons, and were related to certain regions to satisfy social, political, economic and geographical justifications. Some places of origin were associated with places like Bonglu and Caici, where the immigrant was granted the right to collect taxes and grain to support himself. In some cases, the place where the wife of an immigrant came from was bestowed as the place of origin.
    Among the immigrants from the time of Koryo to the early period of Joseon. The origins and past family history of 14 families, along with their authentic original ancestral homes were able to be identifi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