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착고와로 본 고구려 묘상 건축물의 성격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Buildings Builton the Tombs of Goguryeo by chakgo-tile)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23.04
28P 미리보기
착고와로 본 고구려 묘상 건축물의 성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논총 / 83호 / 59 ~ 86페이지
    · 저자명 : 주홍규

    초록

    고구려는 중국 동북지역에서 한반도의 중부지역에 이르기까지 넓은 영역을 가진 고대국가로서, 중원제국의 영역에 인접해 역사적으로도 깊은 관계를 유지했다. 이러한 고구려는 적석총과 같이 주변 국가들과는 다른 특징의 묘제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여기에는 당시 사람들의 사생관(死生觀)이 반영되어 있다. 그러나 고구려의 무덤 조영에 관련된 문헌기록이 적어서 묘제의 특징이나 고구려인들의 죽음에 관한 관념에 대해 얻을 수 있는 정보는 매우 한정적이다. 근년, 고구려의 유적에 관한 발굴조사가 진전됨에 따라 고구려의 무덤에서는 다양한 고고유물들이 발견되었다. 그 중에는 기년명(紀年銘)이 확인되는 기와류도 발견되어 실년대(實年代)를 부여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에, 고구려 무덤의 조영시기를 판단하는 자료로서 중요시되고 있다. 이처럼 고구려 무덤에서 출토된 기와류에 관한 연구는 거의 편년연구에 입각해 무덤의 피장자를 밝히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하고 있는 반면, 무덤에서 출토된 기와류의 용도에 관한 규명에는 인색했다.
    본 연구에서는 집안지역에 소재하는 적석총에서 출토된 착고와를 중심으로 무덤에 사용된 기와의 용도 및 고구려 묘상 건축물의 양태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연구 대상으로 삼은 착고와는 지붕을 올린 건축물 이외의 용도를 생각하기 어렵다. 따라서 고구려의 무덤에서 착고와가 출토되는 것은 묘상 건축물의 존재를 입증해 준다. 문헌기록만으로는 고구려 묘상 건축물에 관한 당시의 양상을 파악하기 어렵지만, 무덤에서 출토된 착고와의 용도를 통해 고구려 당시의 묘제에 관한 변화 양상까지도 유추할 수 있었다. 즉 고구려에서 묘상 건축물이 축조되기 시작한 것은 대략 3세기 이후부터 5세기까지로, 6세기에는 더 이상 고구려에서는 묘상 건축물이 축조되지 않았고, 망자에 대한 사후 의식이 지상에서 무덤 내부로 옮겨지는 고구려 묘제의 새로운 변화양상을 추정할 수 있다.

    영어초록

    Goguryeo was an ancient country with a wide area from northeast China to the centr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Goguryeo is known to have traditional tombs with characteristics different from those of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tombs, and the tombs of Goguryeo reflect the people's views on life at the time. However, as there are few documentary records on the tombs of Goguryeo, the information that can be obtained through textual material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tombs and the view of the life of the Goguryeo people is very limited. Recently, with the progress of excavation research on the ruins of Goguryeo, various archaeological relics have been discovered in Goguryeo tombs. It is regarded as important as a data to judge the time of the construction of the Goguryeo Tombs. However, research on tiles unearthed from Goguryeo tombs has been largely based on historical research, and the main purpose is to reveal the buried tombs, whereas the investigation of the use of tiles excavated from tombs has been stingy.
    This study was to clarify archaeologically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f tomb structures in Goguryeo tombs and the reasons for the excavation of roof tiles from Goguryeo tombs, focusing on the chakgowa (착고와) excavated from the giant Jeokseokchong(적석총) of Goguryeo. The chaggowa(착고와) was used for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with tiled roofs. Among the tombs excavated roof tiles from Jeokseokchong(적석총) in Goguryeo today are Usanha(우산하)3319, Seodaechong(서대총), and Cheonchuchong(천추총).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aspects of the buildings built on the tombs of Goguryeo at the time only from the literatures. However, through the purpose of using the chakgowa(착고와) excavated from these tombs, even the changing aspects of the tomb system in the Goguryeo era can be inferred. Therefore, the excavation of chakgowa(착고와) from Goguryeo tombs proves the existence of structures built on tombs.
    It is understood that structures built on these tombs began to be built in Goguryeo from about the 3rd century to the 5th century, and no more tombsang structures were built in the 6th century. This is most likely the result of changes in the tomb system introduced in Goguryeo society. and it was possible to estimate a new change in the Goguryeo tomb system in which consciousness of the dead was transferred from the ground to the inside of the tomb.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