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호남지역 고려 분묘 출토 유물로 본 소비양상 (The Honam Area Usage Pattern the Artifacts Excavated from the Tombs in the Goryeo Dynasty)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22.12
38P 미리보기
호남지역 고려 분묘 출토 유물로 본 소비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세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중세고고학 / 12호 / 91 ~ 128페이지
    · 저자명 : 남진주

    초록

    본 글은 호남지역 45개 유적에서 발굴 조사된 석곽묘 95기, 토광묘 329기의 출토 유물을 대상으로 소비 유형을 살펴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출토된 유물은 청자, 도기, 청동기, 철기, 목기 등 다양한 재질의 구성을 보인다. 각각의 유물은 재질과 상관없이 기능적인 부분에서 서로 보완관계에 있고, 시기별로 선호되거나 소비된 기종, 재질의 빈도 차이를 보인다.
    출토된 청자는 일부 기종을 제외하면 매우 조질이다. 생산지는 강진과 부안 이외의 고창, 진안, 해남, 나주, 함평 등 호남지역 곳곳에 분포한다. 따라서 출토된 청자의 대부분은 근거리 가마에서 제작된 것으로 판단된다.
    출토유물은 생활용기(반상기), 다기, 주기, 저장용기, 착장용품 등의 소비유형이 보인다. 이들은 시기별로 그 구성의 차이를 보이는데 가장 많이 출토된 청자완, 발, 대접, 접시 등 주요 기종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전기에는 완의 비율이 가장 높고, 중기로 가면서 완의 비율이 줄고, 발이 증가하며, 대접이 조금씩 출토되기 시작한다. 후기에는 접시와 대접의 비율이 증가하여 반상기의 기본 구성을 이룬다. 이러한 변화는 음식의 변화로 청동숟가락과 젓가락의 증가와도 맞물려 있다.
    그리고 시기별로 부장된 재질의 차이도 보이는데 전기 분묘에서는 청자, 도기, 청동기의 출토 비율이 비슷하고, 중기 분묘에서는 청자의 비율이 급격히 증가한다. 후기 분묘에서는 청동기가 50% 이상을 점유하고 있다. 중기 청자의 증가는 청자공예의 절정을 이루는 시기로 제작양이 많았을 뿐 아니라 강진과 부안이라는 최고의 가마가 위치한 지역이라는 입지가 가장 큰 원인일 것이다. 후기에 금속기의 비율이 높아지는 원인은 고려후기 청자는 대형화 되는 등 질적인 하락을 가져왔고, 이에 비해 고급기종인 청동기의 선호가 지속된다. 또한 고려후기 지배층의 매장지가 경기가 아닌 다른 지방에 묘지를 정하는 경향이 점차 심화되어 향리 출신 뿐 아니라 중앙귀족 출신 계층 가운데에도 은퇴 후 낙향하여 사망하고 그곳에서 매장되는 현상이 보편화 되는데 이 또한 다소의 영향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호남지역 분묘 출토 유물은 생활용기가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지만 그 외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 것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s the usage patterns of the excavated artifacts of ninety-five Sukgwak-myo and three hundred and twenty-nine Togwang-myo groups excavated from forty-five ruins in the Honam area.
    The excavated artifacts include various materials, celadon, earthenware, bronze artifacts, ironware, wooden. Each artifact is functionally complementary regardless of material and shows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preferred or used ware types and materials based on period.
    The excavated celadons are significantly low-grade, excluding a few ware types. Besides Gangjin and Buan, the production areas are distributed throughout Gochang, Jinan, Haenam, Naju, and Hampyeong Honam. Therefore, it has been determined that most of the excavated celadons were made using kilns in close vicinities.
    The excavated artifacts were used as household items, tools for tea ceremonies, drinking utensils, storage containers, dressing supplies, and more. They show differences in their composition by period. The examination focused on the main types of celadon wares excavated most frequently, including narrow bowls, wide bowls, soup bowls, and plates. For the former period, narrow bowls comprise. Regarding the mid-period, there was a narrow bowls and an increase in wide bowls, and soup bowls began to be found. Regarding the latter period, there was an increase plates and soup bowls, which comprised the basic composition of tableware. Such changes are also related to the increase bronze spoons and chopsticks due to food changes.
    There is also a difference in the buried materials based on period. The proportions of excavated celadon, earthenware, and bronze artifacts have been similar in the former-period tombs, while celadon increases significantly in mid-period tombs. bronze artifacts makes up more than fifty in the latter period tombs. It is assumed that the proportion of celadon increased in the mid-period not only because this period saw the peak of celadon craft, thus leading to an increased production volume, but also because these tombs were in the vicinities of the Gangjin and Buan areas, where the best kilns are located. The increase of metalware in the latter period is due to the quality deterioration of celadon as it became larger in size, while bronze artifacts was favored as a premium ware type because of its higher quality.
    The artifacts excavated from the Honam area tombs were mostly household items, but there were with other usages as wel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