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시대별로 살펴본 체육 정의적 관점의 개념 (The Concept of Physical Education Defined by Each Er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06.09
18P 미리보기
시대별로 살펴본 체육 정의적 관점의 개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체육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 14권 / 3호 / 1 ~ 18페이지
    · 저자명 : 권욱동, 임승현, 남경완

    초록

    현대 한국 체육학의 개념 정립에 대한 체육 인문학적 연구와 고민이 미흡하였던 것이 사실이며, 이는 특히 한국적 체육학의 개념이 현대사회의 특징과 흐름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결과 학교체육의 부실화와 체육학의 실제적인 교육 패러다임의 형성에 상당한 한계점을 수반하여왔던 것이 사실이다. 체육학의 개념의 변천과 현대적 흐름에 부합하는 새로운 체육학의 개념의 정립에 대한 논의가 분명히 필요하다. 따라서 체육 개념의 현대적 요구와 시대적 흐름을 반영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한국적 체육학 개념의 재검토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시대별로 학자 및 각 시대별로 문헌을 중심으로 체육학의 개념 변화를 문헌고찰학적으로 연구하였다. 첫째, 일반적으로 현대 체육에 대한 시대적인 성격은 1900년 이전의 체육은 신체를 위한 교육의 색채를 갖고 있으며, 1900년 이후의 체육은 교육으로서의 체육을 강조하였다. 우리나라 체육의 시대적인 정의는 1970년대는 체육이란 일반적으로 신체를 통한 교육 또는 신체에 의한 교육이라는 생각이 주를 이루는 시대라고 할 수 있다. 둘째, 1980년대의 체육에 대한 정의는 교육적인 체육과 경험이 강조된 체육의 정의가 팽배한 시기라 할 수 있다. 셋째, 1990년대에는 신체활동에 의한 교육이라고 하는 개념만으로 파악 되지 않고 신체를 위한 교육, 신체 활동을 수단으로 한 교육 및 스포츠 내지 운동이라고 하는 세 개념으로 정의 할 수 있다. 넷째, 2000년대의 체육에 대한 정의는 첫째, 스포츠를 포함한 신체활동 둘째, 운동생리, 인체역학, 운동학습 등의 이론과목 셋째, 전문적 성격을 지닌 체육실기지도 등을 포함하여 이러한 것이 체육이란 이름으로 행하여지고 있는 체육을 신체활동을 통해 인간을 형성시키는 교육이라고 정의 할 수 있다. 따라서 체육은 사회적인 역할을 이루기 위한 체육의 목적에 부합되는 신체의 활동과 신체에 의한 교육을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역사적으로 체육의 정의에 대한 변천과정의 반성적 의미와 미래의 비전제시를 통해 발전적인 체육의 의미가 부여되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It is true that there had been a lack of cultural research toward establishing the concept of physical education. The fact is that physical education in schools were becoming insufficient accompanied by considerable limitations in forming the actual education paradigm of physical education as a result of Korean physical education concepts not being abie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and trend of modern society. Therefore, an argument on establishing the new concept of physical education which corresponds to the transition in the concepts of physical education and the modern trend would be clearly required. The purpose of research is at the reexamination of Korean physical education of new paradigm which reflects the requirement and trend of modern times in the concept of physical education. First, for the chronic characteristics toward modern physical education in general, the physical education before 1900 has the color of body training and the physical education after 1900 began to emphasize on physical training as an education. In terms of chronic definition of our country's physical education, it could be said that 1970's was the times in which the physical education was generally conceived as education through the body or the education using the body. Second, for the definition of physical education in 2000's, the activities being performed in the name of physical education including first, the physical activity including sports, second, academic subjects such as sports physiology, physical dynamics, etc and third, the practical P. E education which possesses the specialized characteristics, were defined as a physical education to form a human character. A developmental significance of physical education would have to be granted by the signification of reconsiderations in the transition process toward the definition of physical education in history and presentation of future vision. In other words, it would have to be developed into the definition including the integrated significance in sports and leisure activities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healt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