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당대 자료로 본 훈독법의 생성 시기 고찰 (A Genesis period Study of Hundok Reading System Based on Historical Materials of the present age)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20.08
46P 미리보기
당대 자료로 본 훈독법의 생성 시기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구결학회
    · 수록지 정보 : 구결연구 / 45호 / 17 ~ 62페이지
    · 저자명 : 백두현

    초록

    훈독법은 음독법과 음가법을 뛰어넘어 고유어를 표기하기 위해 창안한 차자법이다. 훈독법의 생성 시기를 밝히는 연구는 차자법 발달사에서 의미 있는 일이다. 이 글은 금석문과 목간 등 당대 자료를 중심으로 하고, 역사서에서 당대적 성격이 뚜렷한 사료를 이용하여 훈독법의 생성 시기를 나라별, 자료별로 나누어 고찰한 것이다.
    고구려의 당대 자료에서는 훈독법의 증거를 찾기 어렵다. 이두 성격이 비교적 뚜렷한 중원고구려비에서 훈독법의 존재 가능성을 엿볼 수 있으나 확정적 증거는 아니다. 고구려 지명의 2차 자료인 『삼국사기』 권37의 압록강 이북의 성 이름에 ‘鉛:乃勿’ 및 ‘忽:城’의 대응이 존재한다. 이를 근거로 7세기 이전의 고구려에 훈독법이 존재했다고 추정한다. 고구려인이 ‘淵蓋蘇文’이라 표기한 인명을 『일본서기』에서 ‘伊梨柯須彌’(iri kasumi)로 음차 표기한 것은 연개소문이 활동했던 7세기 전기에 고구려에 훈독법이 존재했음을 의미한다. 4세기 초기에 광개토왕릉비문과 같은 뛰어난 한문을 구사한 것으로 보아 고구려에서 훈독법은 이미 이 시기에 존재했을 듯하나 당대 자료에서 명백한 증거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백제의 당대 자료로서 훈독법의 존재를 암시하는 것은 6세기 전기 이전 자료로 추정된 부여 능산리사지목간의 인명 표기자 ‘猪耳’이다. ‘猪耳’는 백제 고유어 ‘돗귀/돝귀’를 훈역한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6세기 전기의 백제에 훈독법이 존재했다고 추정한다. 백제의 2차 자료 『일본서기』는 백제 사서 『百濟新撰』을 인용하여, 무령왕(462~523)의 이름 ‘斯麻’(sima)를 한자어 ‘嶋君’이라 표기해 놓았다. 한자어 ‘嶋’와 백제어 ‘斯麻’(sima)의 대응 관계에서 훈역을 엿볼 수 있다. 이 예는 무령왕 시대(6세기 전후)에 훈역과 함께 훈독도 존재했음을 암시한다.
    신라의 당대 자료로서 훈독법의 존재를 암시하는 것은 6세기 금석문 울주천전리추명(539)과 을축명(545) 그리고 단양적성비(540)에 나타난 ‘波珎’[*patɔr](海)이다. 여기에 쓰인 ‘珍’은 ‘*돌’로 훈독된 것이다. 백제 지명에 ‘石:珍:突’의 대응관계가 나타나는 사실은 ‘珍’의 훈을 ‘*돌’로 보는 증거가 되어 왔다. ‘珍’을 ‘돌~’로 읽은 것은 분명하지만 ‘돌~’을 ‘珍’의 훈독으로 확정하기 위한 근거가 더 필요하다. 대구 무술오작비의 ‘文作人’은 ‘글 지은 사람’, 남산신성비의 ‘文尺’은 ‘글자(ㅎ)’로 훈독되었을 가능성이 있지만 단정하기 어렵다. 8세기 자료인 황복사석탑 금동사리함명(706)의 ‘韓舍’와 ‘韓奈麻’, 화엄경사경조성기(755)에 공존하는 ‘大舍’와 ‘韓舍’는 ‘大’를 ‘한’으로 훈독한 명백한 증거이다. 따라서 8세기 초기 혹은 직전 시기의 신라에 훈독법이 존재했음은 확실하다. 울주천전리원명(525)의 ‘大舍’와 창녕진흥왕척경비(561)의 ‘大奈末’의 ‘大’도 ‘한’으로 훈독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7세기 자료 월성해자목간 149호의 ‘白’은 훈독되었을 가능성은 있으나 이 한자의 본뜻(사뢰다)으로 보아도 무방하다. 이 자료의 ‘在’(겨-)는 이두자로 쓰인 것이어서 훈독자로 볼 수 있다. 2차 자료이기는 하지만 『삼국유사』에서 ‘當時人’이 모두 ‘원효’의 이름을 鄕言으로 ‘始旦’이라 칭했다는 기록에서 원효 시대(617~686)인 7세기 중엽의 신라에 훈독법이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plores the historical genesis of the Hundok reading system(訓讀法), which consists of reading the meaning of Chinese characters in vernacular Korean, based on historical materials, in particular epitaphs, epigraphs and wooden tablets, from each of the Three Kingdoms of Ancient Korea.
    Regarding Goguryeo, there is little evidence of Hundok in the materials of the time. The Jungwon Goguryeo Stele(중원고구려비), which is relatively more characteristic of the Idu writing system, offers a glimpse of the potential existence of the Hundok reading system without nonetheless providing any conclusive evidence. The passage on Goguryeo’s place names in the Volume 37 of secondary source Samguk sagi gives two equivalent names, ‘鉛 (lead): 乃勿 [na-mɨl]’ and ‘城 (castle): 忽 [hol]’, for the castle situated on the north bank of Amnokgang(Yalu river). On the basis of this equivalence, it can be conjectured that the Hundok reading system existed in Goguryeo prior to the 7th century. General Yeon Gaesomun, written ‘淵蓋蘇文’ in Hanja, is transliterated by ‘伊梨柯須彌’ [iri kasumi] in Nihon Shoki. This means that the Hundok reading system was used in 7th-century Goguryeo, which was then marked by the activities of General Yeon Gaesomun. However, the inscription on the Gwanggaeto Stele(광개토대왕비문) shows a good command of Chinese characters as early as the beginning of the 4th century, which seems to suggest that the Hundok system might have already existed in Goguryeo at that time. Nonetheless, clear evidence has yet to be found in the materials of that period.
    Based on the historical data on Baekje, the existence of the Hundok reading system is suggested by the name ‘猪耳’ (pig’s ears) inscribed on a wooden tablet excavated from the Buyeo Neungsanri Temple site(부여능산리사지목간), which is estimated to date back to early 6th century. From the native Baekje translation of ‘猪耳’, that is, [toskui/tothkui] (돗귀/돝귀), it can be supposed that the Hundok reading system existed in early 6th-century Baekje. Citing Baekje Sinchan (百濟新撰), which is a book on the history of Baekje, secondary source Nihon Shoki mentions that King Muryeong(462~523) was named ‘斯麻’[sima] because he was born on an island and ‘斯麻’ could be written ‘嶋君’(island-born man) in Hanja. The equivalence between the Hanja character ‘嶋’(island) and the Baekje word ‘斯麻’ shows evidence for the use of Hundok. It can be concluded from this example that the Hundok reading system existed from King Muryeong’s reign (i.e. 6th century) onwards.
    Among the historical data for Silla, we can mention ‘波珎’[*patɔr](海) inscribed on the 6th-century epigraphs of the Uljoo Cheonjeon-ri Second Inscription(울주천전리추명, 525) and the Danyang Jeokseong Stele(단양적성비, 540), wherein the character ‘珍’ can be read as [tɔr](*돌). The equivalence between ‘石(stone): 珍[tɔr]: 突[tor]’ which appears in Baekje’s place names also proves that ‘珍’ was read as [tɔr]. While it is certain that ‘珍’ was read as [tɔr/tʌr](돌/ᄃᆞᆯ), more evidence is required to prove that it is indeed a Hundok reading. The inscriptions ‘文作人’ and ‘文尺’ on the Tag-Gu Musul Ojak Stele(대구무술오작비) and the Namsan Sinseong Stele(남산신성비) respectively might have been read as [kɨlja(h)](글자(ㅎ)), but this remains inconclusive. However, the coexistence of the inscriptions ‘韓舍’ [hansa] and ‘韓奈麻’ [hannama] on the 8th-century Gilt Bronze Reliquary of the Hwangboksa Pagoda(황복사석탑금동사리함명, 706), as well as that of ‘大舍’[dɛsa] and ‘韓舍’ [hansa] on the Hwaeom-gyeong Copy(화엄경사경조성기, 755) constitute compelling evidence that ‘大’ was read [han] (한). Thu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Hundok system had existed in Silla from early 8th century or just before it. The character ‘白’ from the 7th-century Wooden Tablet no.149 of Wolseong Moat(월성해자목간149호) may have been read according to the Hundok reading system but it is also correct to understand it according to the original meaning of this Hanja, i.e. [saroida](사뢰다, to tell honorific). The character ‘在’ [kjə], however, was written according to the Idu script and, therefore, can be seen as a Hundok character. Although SamgukYusa remains a secondary source material, it is recorded that Won-hyo(617~686) was designated by his contemporaries with the Silla name ‘始旦’(seol 설), which shows that the Hundok reading system existed in mid-7th-century Sill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