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고자료로 본 소가야의 권역과 변천 (A Study on transformation of Sogaya in the 5th and 6th century through oriented artifacts)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18.12
40P 미리보기
고고자료로 본 소가야의 권역과 변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대사연구 / 92호 / 85 ~ 124페이지
    · 저자명 : 김규운

    초록

    소가야양식토기의 분포 양상을 통해 5세기 전반을 시작으로 6세기 중반까지 소가야의 권역에 대해 추정하였다. 먼저 5세기 전반에는 고성을 중심으로 경남 서남부지역을 비롯해 남원 아영지역, 전남 동남부지역까지 세력을 넓히게 된다. 5세기 중반에는 합천 서부지역과 남원 아영지역이 권역에서 벗어나는 반면 마산·창원·김해·칠원지역에 영향을 끼치게 된다. 그리고 5세기 후반에는 기존의 권역을 유지하는 가운데 5세기 중반이후 대가야에 의해 호남 동부의 제지역이 모두 권역에서 벗어나게 된다. 이후 6세기에는 소가야의 권역이 급격하게 축소하게 되고, 소가야 내의 제지역 집단의 결속력 또한 완화되는 등의 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상정하였다.
    이러한 권역의 변화를 토대로 소가야의 성립과 전개, 그리고 멸망에 이르기까지의 동향에 대해 검토하였다. 소가야의 중심지이면서 소가야 성립 이전의 고자국으로 비정되는 고성지역의 동외동 유적의 경우 기왕에 알려진 패총뿐만 아니라 3~4세기대에는 철생산, 생활, 의례 등으로 공간을 구획하여 이용했던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가운데 크고 작은 수혈을 중복으로 배치하고 그 안에 조문청동기, 토기 등을 매납하는 의례행위를 엿볼 수 있었으며 이러한 의례행위는 비단 3~4세기대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라 삼국시대까지 이어진다. 더욱이 진주 무촌유적에서도 같은 형태의 의례행위를 한 것으로, 동일한 토기 양식을 보이는 점과 더불어 같은 권역 내의 집단임을 확인하였다.
    이 시기 소가야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것으로 포상팔국전쟁 기사가 있다. 이 기사는 그 시기와 공격대상, 내용, 포상팔국의 위치 등에 대해 여러 견해가 있지만 3세기 후반 해상교류를 바탕으로 성장한 고자국을 중심으로 내륙의 안정적인 농업기반을 확보하기 위해 안라국을 공격하였다는 견해를 수용하는 입장에서 검토하였다. 그리고 결국 전쟁에서 패한 고자국 등은 함안양식 토기 문화의 영향을 받게 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후 400년 고구려 남정으로 기존 세력이 약화되면서 소가야가 활발한 교역활동을 통해 성립·발전하게 된다. 그리고 호남 동부지역과 마산·창원·진례·칠원 등지에까지 영향을 끼치고 신라, 아라가야와 접경을 이룰 만큼 5세기 후반까지 넓은 권역을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6세기 들어 섬진강 하구의 교역로를 상실하게 된 대가야가 소가야 권역 내 제지역 집단과의 교섭, 또는 창원지역, 사천만으로의 진출 등의 움직임을 보임에 따라 소가야 권역 내의 결속력은 약화된다. 신라 역시 대가야와 같은 맥락으로 김해지역을 교두보로 남해안을 통해 제지역 집단과 교섭하게 된다. 이러한 이해관계의 결과로 6세기 이후 고성지역에는 수장묘역인 송학동고분군뿐만 아니라 내산리고분군 등에서도 대가야 문물과 신라 문물, 그리고 왜계문물과 영산강유역의 문물까지 이입되는 것이다. 따라서 그 행위의 능동성이 얼마나 큰지가 관건이 되겠지만 이 시기 소가야가 대외교류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 것은 분명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영어초록

    In summing up the overall changing process of Sogaya, Goseong area, a center of Sogaya, grows through external trade given relics in Dongwoidong in the 3rd and 4th centuries. Literary documents which illustrate movements of Sogaya in this period are about ‘seashore 8 states’ war’. In regard to ‘seashore 8 states’ war’, there are many different opinions about its exact time, its target of attack, its details, and the location of seashore 8 states, but this writer accepted and examined a hypothesis that small city states led by Gozaguk which had grown based upon seaborne trade attacked Anlaguk to secure a stable agricultural foundation. In a consequence of losing the war, earlier regions of Sogaya are inferred to have been under the influence of Haman type pottery culture.
    As this period of the 3rd and 4th centuries pass and the 5th century begins, Sogaya witnesses formation and development stages. The reason is that Sogaya expanded its territory with active trade activities after Goguryeo‘s expeditionary campaign of southern part of the peninsula. After that, Sogaya advanced into eastern part of Jeolla Province, exercised its influence upon areas of Masan, Changwon, Jinryae, Chilwon, etc. and maintained a wide territory up to the mid 5th century, though it lost some of its territory because of movements of Daegaya beginning with the mid 5th century. But with the beginning of the 6th century, Daegaya, which lost a trade route at the mouth of the Seomjin River, took actions of negotiating with regional groups within Sogaya territory and movements of advancing into Changwon area and Sacheon Bay, and so the solidarity of Sogaya became weakened. With the same intention as Daegaya, Silla also took movements of negotiating with each regional group of Sogaya via the Southern Sea by establishing Kimhae as a bridgehea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