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헌자료로 본 사비시기의 익산 (A study on Iksan in the period of Sabi through the analysis of documents)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15.06
39P 미리보기
문헌자료로 본 사비시기의 익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대사연구 / 78호 / 57 ~ 95페이지
    · 저자명 : 김영심

    초록

    『삼국사기』 지리지에서 『大東地志』에 이르기까지의 ‘地理志’ 기록은 익산에 대한 고찰에서 핵심적인 자료는 아니지만, 기록의 계보와 인식의 변화를 엿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먼저 지리지 기록을 검토함으로써 익산지역에 대한 그동안의 인식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를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인식은 실제와 부합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는 것 또한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기록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사료비판을 전제로 한 문헌적 고찰과 함께 고고자료의 활용도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익산에 관한 그간의 연구는 모두 이러한 노력의 소산이었다.
    익산 개발이 무왕대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위덕왕대 후기 내지 말기, 법왕대까지 올라간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 왕궁리 유적이다. 미륵사 또한 3院 형식의 대규모의 사찰로서 오랜 기간에 걸쳐 조성된, 익산의 개발 내지 경영을 대표하는 공간이었다. 무왕대에는 왕궁성이 소재한 왕궁면과 미륵사가 소재한 금마면이 중심이 되어 수도 사비에 버금가는 別都로서 기능했을 가능성도 있다.
    그러나 益山 遷都 여부를 결정짓기 위해서는 자료의 蘊蓄이 더욱 필요하다. 익산으로의 천도가 이루어졌다면 수도 사비를 대신할 만한 도성의 구조가 확인되어야 한다. 아직 도성이 갖추어야 할 도로시설이나 관아, 거주지 유구가 온전히 드러나지 않는 상황에서 익산의 위상에 대한 결론을 내리기보다는 발굴조사와 연구가 더 체계적으로 꼼꼼히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영어초록

    Though documents in the geographical description from Samguksagi and Daedongjiji(大東地志) are not core evidences for the analysis of Iksan, they can show us the bird’s eye view of historical documents and the change of understanding on the history of Iksan. This study shows the panoramic evolution of perception on the history of Iksan through the study of documents in the geographical description. However, we need to he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rception and the reality. This is the reasoning for supplementary studies based on the archaeological evidences to overcome the limit of documents analysis, being the study on historical documents fundamental. All the studies on Iksan were the results of this kind of research efforts.
    Remains in Wanggung-Ri show us that development of Iksan as a hub city can be traced back to the late or end era of king Wideok and the era of king Bub. Mireuk-Sa, three won(院, 1 stupa and 1 church) type large temple, also inform us the long period of construction and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Iksan. In the era of king Mu, Wanggung-Myon where the Wanggung-Castle located and Geumma-Myon where the Mireuk-Sa located might have the role of secondary capital city alternating the Sabi city as a capital.
    Confirming the transfer of Baekje’s capital city to Iksan, however, we need enough amount of evidences. First of all, those evidences should include the structure of capital city which can substitute the Sabi’s infrastructure. Up to now, we could not identify the remnants of roads, office buildings and residence facilities around Wanggung-Ri. We need to intensify the archaeological survey and research before the conclusion on the status of Iksan as a capital c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대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