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陳暘 『樂書』로 본 북송 아무(雅舞) 고찰 (Consideration of Amu of Northern Song in Akseo by Jinya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16.06
28P 미리보기
陳暘 『樂書』로 본 북송 아무(雅舞)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무용역사기록학회
    · 수록지 정보 : 무용역사기록학 / 41권 / 27 ~ 54페이지
    · 저자명 : 이종숙

    초록

    본 연구는 진양(陳暘)의 『악서(樂書)』에 기록된 아무(雅舞)의 종목과 춤의 쓰임 및 구성적 양상을 살피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에서는 진양이 『악서』에서 선(先代)의 아무를 어떻게 수용했는가를 살폈다. 두 번째는 아무의 구성 양식과 무구(舞具)의 사용 의미를 정리하다. 끝으로 북송의 교묘(郊 廟)와 조회(朝會)에서 사용되던 아무의 종목의 변화 양상을 살폈다. 아무는 사방(四方) 구성의 행렬을 이루어 줄춤[佾舞]을 추는 것이다. 진양은 아무 8일, 6일, 4일, 2일 등은 천자(天子), 제후(諸侯), 경부(卿大夫), 사(士) 등의 계급을 구분한 것 뿐 아니라, 제사의 규모에 따라서도 다른 등급의 줄춤[佾舞]이 적용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진양은 춤의 행렬이 갖는 의미를 통 치자가 천도를 계승하고, 이를 표현하는 방법으로 인식했다. 무구는 덕(德)과 공(功)을 형용하는 상징의 기물인데, 통치자의 덕과 공과에 따라 분수에 맞는 기물에 차등이 있어야 한다고 보았다. 아무는 유교(儒敎)식 길례(吉禮)의 제사나 국가적 규모의 회례연(會禮宴)과 같은 성한 의례 때에 연행되는 춤이다. 그리고 아악(雅樂)이 연주될 때 추는 춤을 이른다. 아무는 줄 춤[佾舞] 형식이며, 문무 (文舞)와 무무(武舞)의 양립 구조로서 예식 순서에 따라서 연행된다. 송 교사(郊祀)의 문무(文武) 춤곡의 표 명칭은 <문덕지무(文德之舞)>와 <무공지무(武功之舞)>이 다. 조회용 일무(佾舞)는 처음엔 <문덕>과 <무공>으로 문무와 무무를 삼았지만, 다시 <성덕승문(盛徳升 聞)>, <천하정(天下大定)>으로 고쳤고, <화성천하(化成天下)>, <위가해내(威加海內)>로 고치는 일이 반복되었다. 지금까지 한국 무용계에서 주목하지 않았던 아악 분야에 연구 동참함으로써 무용학의 외연을 넓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했다. 또 중국 의례문화와 연관된 조선의 제례 악무에 한 이해에 기초 자료로 활 용될 수 있기를 기해 본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ypes, use, and characteristics of Amu (雅舞), as recorded in Akseo (『樂書』, Book on Music) written by Jinyang (陳暘). We focused on how Jinyang accepted Amu of the previous generations in his Akseo, investigated how Amu was divided into several types used in Gyomyo (郊廟) and Johoe (朝會 a morning assembly) in Northern Song, and then presented constructional patterns of Amu and significance of using dancing tools. Amu is a dance performed in grand rituals such as memorial services in Confucian congratulatory ceremonies or National New Year’s fests, indicating a type of dance performed to Aak music. As a form of Ilmu (佾舞, line dance), Amu has a coexistence of civil and military dance and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order of a ceremony. The representative titles for pieces of civil <Munmu (文舞)> and military <Mumu (武舞)> dance music in Gyosa (郊祀 Border Sacrifice) in Song Dynasty are <Mundeokjimu (文德之 舞)> and <Mukongjimu (무공지무)>. In Ilmu for Johoe, Mundeok and Mukong were selected as civil and military dance but were changed by <Sungdukseungmun (盛徳升聞)> and <Cheonhadaejeong (天下大定)>, and again by <Hwaseongcheonha (化成天下)> and <Wigahaenae (威加海內)>. Amu indicates a type of Ilmu by standing in lines of four sides. Jinyang argued that two, four, six, and eight days of Amu were for dividing classes such as emperor, lords, nobility, and scholar, while thinking that different grades of Ilmu should be applied on the basis of scales of memorial services. Jinyang perceived that the lines of the dance were a method of expressing succession of the way of Heaven by a ruler. According to him, the dancing tools were objects describing and symbolizing virtues and contribution, and there should be Abstract 54 제41호grades in the tools based on the virtues and contribution of a ruler.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pave the way to expand denotation of dance studies by researching Aak music, a music that has not been much studied in Korean dance field.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serve as basic data for understanding Akmu performed in ritual ceremonies in Joseon related to ceremony culture of Ancient Chin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무용역사기록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