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㫃을 根源聲符로 한 형성자 考 (Research on the Chinese Meaning-Sound Connected Letter Showing ‘en(㫃)’ as Sound)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16.06
28P 미리보기
㫃을 根源聲符로 한 형성자 考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漢文古典硏究 / 32권 / 1호 / 349 ~ 376페이지
    · 저자명 : 한연석

    초록

    㫃(깃발 언)은 갑골문에서 ‘’으로 썼다. 깃발이 펄럭이고 있는 모습을 그려 本義 ‘깃발’을 나타내었다. ‘㫃’을 根源聲符로 한 形聲字는 거의 대부분 자형 ‘㫃’ 대신 (韓), 翰, 斡, 雗, 鶾, 幹 등처럼 1차 형성자 倝의 자형으로 구현되고 있다.
    㫃은 갑골에서 해서까지 ‘ - - - - - 㫃’와 같이 演變 되었다. ‘()’의 左上 깃봉 ‘’는 ‘ - - - - - ’로 演變 되고, 깃대 장식 ‘’는 상부 필획은 方(㫃)의 일부인 ‘’으로, 하부 필획은 㫃의 오른쪽 필획 ‘人’으로 연변 되었다.
    㫃의 ‘方’으로의 연변은, 의 하부 의 竪劃 ‘’를 왼쪽으로 彎曲되게 ‘’으로 쓰고, 의 상부 ‘’를 ‘’으로 연변 시켜 ‘’와 결합하여 ‘力’으로 쓰고, 여기에 깃봉 ‘’를 結合 書寫한 것이 ‘方’이다. 그리고 ‘’의 하부 ‘’를 ‘方’의 오른쪽에 독립 서사한 것이 ‘㫃’이다.
    倝은 旦이 義符, 㫃이 聲符로 ‘빛나다’가 본의이다. 금문에 으로 썼는데, 자형미를 위해 의 성부 (㫃. 갑골문은 ‘’)의 중앙 竪劃 ‘丨’을 하부로 이동 시켜 ‘’으로 쓰고, 벌어진 틈에 의부 ‘(旦)’을 書寫한 것이다.
    의 倝으로의 자형연변은 을 ‘’과 ‘’으로 분리 서사한 것이다. 은 현재 ‘’로 쓴다. 에서 ()의 상부 ‘’는 ‘’로, 旦의 하부 ‘一’은 깃대를 나타낸 ‘丨’와 결합하여 ‘’로 서사하고, 日을 독립 서사 한 것이(十 + 日 + 十) 곧 ‘’이다. 여기에 깃대장식 ‘人()’을 오른쪽에 서사한 것이 倝이다.
    (韓), 翰, 斡, 雗, 鶾 등은 聲符가 倝의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韓)은 金文 단계에서는 倝으로 쓰다가 소전 단계에서 ()으로 분화되어 古隸 단계까지 ()의 형태를 유지하였지만 今隸 단계에서 倝의 오른쪽 필획을 생략하고 韓()으로 썼다.
    韓( )은 倝이 성부, 韋가 義符인 형성자인데 자원이 명확치 않다. 『說文』은 본의가 ‘井橋’라고 하였는데, ‘井橋’의 ‘橋’에 대해 ‘두레박,’ ‘두레박을 걸어놓은 가로막대,’ ‘우물에 흙이 무너지지 않도록 댄 나무’ 등 釋讀이 분분하다.
    段玉裁는 ‘井橋’는 우물에 둘러쳐진 나무(井 )에 ‘가로로 댄 횡목’을 가리킨다고 하였다. 이 횡목은 양쪽 기둥에 구멍을 뚫고 거기에 끼워서 돌아가게 만든 것이라고 한다. 현재 우물은 도르래를 횡목에 달아놓고 쓰는데(횡목은 고정), 고대에는 따로 도르래를 설치한 것이 아니라 양쪽 기둥 구멍에 끼운 횡목이 돌아가게 하였다.

    영어초록

    en(㫃) was written ‘’ in gabgormun(甲骨文) as it displays feature of flags flapping . From gabgormun(甲骨文) to haeseo(楷書), en(㫃) have been changed in the order of ‘ - - - - - 㫃’. gan(倝) which is divided into two parts - 旦(definition) and 㫃(sound) means ‘shine’. For more beautiful shape of the letters, they moved ‘丨’ which is middle of a down a little (), and wrote ‘(旦)’ that represents ‘definition’ in a blank. That is (倝).
    gan(倝) of han(韓. ), han(翰), al(斡), han(雗), han(鶾) represents sound. Of these letters, han( . 韓) was written as gan(倝) at kyummun(金文) stage. Next it was written as han( . ) at sojen(小篆) stage, and finally written as han(韓. ) at kyumye(今隸) stage. han(韓. ) which is consist of two parts - wuy(韋. definition) and gan(倝. sound) is the chinese meaning-sound connected letters(形聲字) It means ‘bucket,’ ‘a stick that hang a bucket’ and ‘an added tree to prevent a well from collaps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文古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