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명 변화로 본 서울 동북지역의 성격 (The characteristic of Seoul East-North province according to the change of place names)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11.02
45P 미리보기
지명 변화로 본 서울 동북지역의 성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과학연구 / 15호 / 49 ~ 93페이지
    · 저자명 : 이도남

    초록

    지역사는 한국사의 질적인 내용을 보다 심화시키고 그 기반을 확고히 할 수 있는 중요한연구 영역이다. 특히 지역사 연구는 보편적 역사 인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과제라고 할수 있다. 서울 동북지역에 대한 연구 또한 이러한 의미에서 매우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서울 동북지역은 원래 양주 지역에 소속된 곳이었다. 처음 서울 동북지역을 지배하였던백제인들은 이곳을 하북위례성이라 부르다가 고구려의 침략을 받은 이후 고구려로 지배권이넘어가게 된다. 고구려인들은 이 지역을 매초성 혹은 매성군, 창화군으로 불렀고, 나중에 이곳을 점령한 신라인들은 북한산군의 남평양성 혹은 평양성이라고 칭하였다. 그 후 고려시대에 들어와 양주라는 명칭을 사용하여 이곳을 표시하였으며, 조선시대와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서울 동북지역은 양주의 역사성과 문화적 특성을 고스란히 간직한 채 해방을 맞이하게된다. 물론 서울과 인접한 특수한 상황 때문에 일부 성저십리 지역에 포함된 곳도 있었지만,대체로 양주 지역에 소속되어 조선시대 양주목사와 고종이후 양주군수의 영향력 하에서 삶을 영위해 왔던 곳이다(양주 지역과 한성부의 접경지대였기 때문에 겪게 되었던 여러 가지사정들은 추후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급격한 산업화가 진행되었던 1960년대 이후 무작정 상경으로 인한 인구의 서울 집중 현상이 벌어지면서 옛 양주 지역에 속하였던 서울 동북 지역은 지금의 서울특별시로 편입될 수밖에 없었다. 서울시에 편입된 서울 동북지역은 성북구, 도봉구, 노원구라는 이름으로 변하기는 하였지만 원래 그러한 지명의 출발은 모두 양주지역에 포함되어 있을 때부터지니고 있었던 이름이었다. 즉 서울 동북 지역의 지역 명칭과 그 안의 마을 지명에는 양주지역의 문화적 정체성과 역사성이 그대로 간직되어 있는 것다. 그러한 사실은 이들 지역에남아있는 마을 지명이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서울 동북지역의 역사적 성격은 양주지역과는 떼려야 뗄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그러하기에 서울 동북지역에 대한 보다 심도 깊은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양주 지역과의 연계성 속에서 종합적이고 포괄적이며체계적인 조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history of province has been mostly recognized as a subcategory of Korean history in theacademic field. The history of province, however, has been recently coming up to one of theimportant parts that would be able to enhance the quality and confirm the basis of Koreanhistory. The study on Seoul East-North province is one of the important parts too.
    Seoul East-North province was originally belonged to Yang-Ju province. People from Bakje whoruled Seoul East-North province for the first time, called it Habuk-Wiryesung. After invasionsfrom Kogurye, the dominance of this place was turned over to Kogurye. People from Koguryecalled this place Mae-Cho-Sung, Mae-Sung-Gun, or Chang-Hwa-Gun, and people from Silla wholater ruled there, called Nam-Pyong-Yang-Sung, or Pyong-Yang-Sung of Buk-Han-San-Gun. Afterthat, the place was marked under the name of Yang-Ju during Korye era, and till ChosonDynasty and modern era, Seoul East-North province was liberated with remaining the historicityand cultural features of Yang-Ju as it was. Although some parts of Yang-Ju province used to beincluded in Sungjeosimni province due to the special circumstance that it was very adjacent toSeoul, it was the place mostly belonged to Yang-Ju province, and lived an ordinary life underthe rule of Master of Yang-Ju-Mok during Choson Dynasty and Master of Yang-Ju-Gun afterKo-Jong period. (A diversity of situations which took place because it was the borderlandbetween Yang-Ju province and Hang-Sung-Bu, seems another part needed further research.)However, after the mid-1960s, the period of rapid industrialization, people aimlessly went up toSeoul and this caused the population concentration in the Seoul area, Seoul East-North province,once belonged to Yang-Ju province, cannot help incorporating into the contemporary SeoulMetropolis. Although the names of Seoul East-North province which was newly incorporated,changed Sung-Buk-Gu, Dobong-Gu, and Nowon-Gu, the origin of them can be found from theperiod when Seoul East-North province was belonged to Yang-Ju province. In other words, itseems there must be closed relationship between the names of Seoul East-North provinceincluding villages and Yang-Ju province especially in terms of cultural identification andhistoricity. The remaining names of these villages prove these facts very well. Thus, thehistorical characteristic of Seoul East-North province is an inseparable relation with Yang-Juprovince. For these reasons, comprehensive, expansive, and methodical research has to bepreceded under the relationship with Yang-Ju province for more intensive research on SeoulEast-North provi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7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