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종이접기로 만든 신위(神位), 지방과 지의 (Sinwi(神位) made of paper-foldi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19.10
25P 미리보기
종이접기로 만든 신위(神位), 지방과 지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불교미술사학 / 28권 / 679 ~ 703페이지
    · 저자명 : 구미래

    초록

    초월적 존재를 나타내는 신위(神位)에는 ‘이름을 써서 위명(位名)을 밝히는 유형’과 ‘상징적인 물체로 존재를 나타내는 유형’이 있다. 특히 종이를 접어 만든 신위는 오랜 세월에 걸쳐 신성한 세계를 구상화해온 인간의 상상력과 사유가 담겨 있을 뿐만 아니라, 생활 속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단순함과 간편함이 토대가 되고 있다.
    이에 종이를 접어서 만든 두 유형의 대표적인 사례로 ‘지방(紙榜)’과 ‘지의(紙衣)’에 주목하여 신령한 세계와 교감해온 한국인의 종교적 삶과 문화를 조명하였다. 지방은 봉사대상의 이름을 적어 텍스트가 중심이 되는 신위라면, 지의는 옷으로써 존재를 상징하는 형상 중심의 신위이다. 두 신위의 공통점은 종이로 조성하되 ‘오리기’에서 한 단계 발전된 ‘접기’의 과정을 거쳐 신위를 조성한다는 점과, 다른 사례에 비해 구체적인 역사기록을 지녔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지방(紙榜)은 종이로 만드는 지물 가운데 가장 신성한 것으로 종이접기의 원초적 모습을 유추할 수 있다. 평면의 종이를 그저 목패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데 그치지 않고, 신주와 감실을 통합한 형상으로 접어 만듦으로써 신주와 감실에 부여된 세계관과 생사관을 종이신위에 그대로 담고자 했다. 접어서 만든 지방은 적어도 17세기 무렵부터 발달한 것으로 추정되며, 오늘날까지 민가와 사찰에서 활발하게 전승되고 있어 우리의 독자적인 신위로 주목받고 있다.
    지의(紙衣)는 종이로 바지저고리를 접어 만든 상징적 신위로, 이른 시기부터 수륙재(水陸齋)의 관욕에서 사용해왔다. 수륙재를 전파한 중국에서는 관욕을 행할 때 천이나 종이로 실제 옷을 만들어 사용하는데 비해, 우리나라에서는 17세기부터 종이를 접어 만든 상징적 지의를 사용하여 오늘날에도 수륙재나 사십구재를 행할 때 당시 의식집의 설명에 따르고 있다. 나라마다 전승양상의 특성을 지니고 있어 중국에서는 실제 옷과 같은 지의를 만들어 사용한 반면, 우리의 경우는 구상화된 지의를 사용해온 것이라 하겠다.

    영어초록

    Made by folding paper, Sinwi(神位) contains thoughts that humans have conceived about the sacred world for a long time and is simple as it is easy to get paper anywhere. This study focused on two representative cases of paper-folding, Jibang(紙榜) and Jiui(紙衣, paper clothes), to investigate the religious life and culture of Koreans who have communicated with the sacred world.
    Jibang(紙榜) is Sinwi(神位) centering on text, while Jiui(紙衣) is Sinwi(神位) focusing on shapes expressed with clothes. The two are made with paper by ‘folding,’ which is the next level of ‘cutting,’ and have significance in holding specific historic records.
    Jibang(紙榜), as the most sacred one among paper goods, let you infer the basic form of paper-folding. Going beyond attaching paper to a board, it is made by folding into a shape where Sinju(神主) and Gamsil(龕室) are combined to reflect the worldview and the view of life and death given to Sinju(神主) and Gamsil(龕室). Made by folding, Jibang(紙榜) is considered to have been developed since the 14th century and has been actively practiced in today’s private houses and temples, gaining attention as Korean unique Sinwi(神位).
    As a symbolic Sinwi(神位) made by folding paper into traditional Korean pants-outfit for men, Jiui(紙衣) was used at Gwanyok(灌浴) of Suryukjae(水陸 齋) from early times. In China that spread Suryukjae(水陸齋), cloth or paper is used to make actual clothes for Gwanyok(灌浴). On the other hand, Korea has used symbolic Jiui(紙衣) made by folding paper since the14th century. Since each country has its own characteristics of patterns of transmission, while China has made Jiui(紙衣) like actual clothes, Korea has used exteriorized Jiui(紙衣).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