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알레고리로 읽는 ‘탐욕과 수신’의 <변강쇠가> (Byeongangsoi-ga of ‘Greed’ and ‘Moral Training’ based on the Allegorical Inference)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19.02
35P 미리보기
알레고리로 읽는 ‘탐욕과 수신’의 &lt;변강쇠가&gt;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실천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실천민속학 연구 / 33권 / 119 ~ 153페이지
    · 저자명 : 김미경희, 민윤숙

    초록

    판소리 ‘변강쇠가’는 19세기 유랑민의 서사, 혹은 유랑민과 마을 공동체간의 대립, 가부장적 질곡을 감내한 하층녀의 의식, 괴기미의 추구 등 다양하게 해석되어 왔다. 또한 작품에 나타난 민중성, 과도한 성 표현, 실전 이유 등도 상이하게 해석되어 작품의 의미와 창작의도를 되묻게 한다. 우리는 중세의 관념 체계를 잘 전달하는 수사 양식인 알레고리에 착목하여 변강쇠가를 새롭게 해석해 보았다. 욕망(옹녀), 탐욕(변강쇠), 앎과 얕은 대응(뎁득이), 수신(修身, 갈이질)과 같은 추상적인 개념들을 알레고리화한 작품으로 ‘변강쇠가’를 읽었을 때, 이 작품의 주제는 ‘수신’이다. ‘민중’과 ‘수신’은 얼핏 낯설게 느껴지나, 이는 개인적 수신이 사회적 의제가 되었던 시기에 변강쇠가가 형성되고 향유되었으리란 추론을 가능케 한다. 한편 변강쇠가의 알레고리칼한 해석을 가능케 한 것은 ‘수신’을 주제로 한 천군류 소설이다. 그중 심성철학의 의인화소설인 정태제의 <천군연의>가 ‘변강쇠가’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그 가운데서도 욕씨(옹녀), 욕생(변강쇠), 월백(색)을 중심으로 재구성된 것이 ‘변강쇠가’라고 보았다. 결론적으로 변강쇠가는 16세기 이후 지식인들의 유가적 교화에 대한 민중을 포함한 대중들의 응답이라고 추론하였다. 이 논문이 민중의 연희가 정말 오롯이 민중적인가에 대한 물음에 작은 답변이 되길 바란다.

    영어초록

    Large variation for the understanding of Pansori, Byeongangsoi-ga exists such as epic of normadic people in 19 century, conflict between nomadic people and village community, rituals of lower class woman against patriarchal brutality or even pursuance of mysteries. Also different interpretation on the forlklore, exaggerated sexual expression and background of disappearance of this Pansori also recall the intention and the motif for this production. Based on the allegorical inference which is known as appropriate methodology for translating middle age ideology system, we tried to interpretate Byeongangsoi-ga, in another perspective. When analyzed from the abstract system of lust (Ong-nyeo), greed (Byeongangsoi), knowledge and shallow response (Daep-deuki), and moral culture, the main theme of the Byeongangsoi-ga become moral culture. Even though moral culture and folk are not quite related, this Pansori is believed to be written in the age when the personal moral culture were becoming social thesse, reflecting highly social engagement from the folk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실천민속학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