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도사닛키(土左日記)』를 근거로 한『가게로닛키(蜻蛉日記)』와『사라시나닛키(更級日記)』의 메타픽션 (Metaphiction of KAGERONIKKI and SARASINANIKKI based on TOSANIKKI)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24.12
18P 미리보기
『도사닛키(土左日記)』를 근거로 한『가게로닛키(蜻蛉日記)』와『사라시나닛키(更級日記)』의 메타픽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본어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日本語敎育 / 110권 / 151 ~ 168페이지
    · 저자명 : 박윤호

    초록

    本稿では、『土佐日記』、『蜻蛉日記』、『更級日記』の記筆部と物語の段を中心に、ジャンル混合、現実と虚構の曖昧性、自己反映性に関連したメタフィクションの特性を考察した。三つのテキストの中には、各作者がテキスト製作過程自体を露出する共通性が見られ、自分のテキストに対する自意識を強く表出し実際ではなく虚構であることを喚起させる方式が類似してパロディされている。これは以前のテキストの批評を通じて新しいテキストを創造しようとする自意識的傾向として把握できる。
    10世紀の『土佐日記』は假名の発達により旧世代を代表した漢文的世界観がこれ以上有効でないという認識を土台に始まった。そのような脈絡から『土佐日記』の序文と阿部仲麻呂の逸話の段は、慣習的な男性による漢文日記や漢詩に対する遊戯の形で表れれた。既存のテキストをパロディしたり、作者が人称を変えて作中の人物と混同させる特徴を見せている。 『土佐日記』に見られるメタフィクションの特徴は、『蜻蛉日記』と『更級日記』ではさらに果敢に変化して、テキストの起筆部では読者に対する意識が強く、作者自身に対する反映と個性、自律性が明確である。自分のテキストが形成された過程を指摘し、登場人物が作者自身の話を書く方法で始まる。テキストの後半部には、物語の構成を帯びた「養女迎え」や「春秋優劣論」という記事が、いわゆる劇中劇の形で出ている。二つの段は、物語との境界消滅と混合をもたらした一例と考えられる。二つの日記文学の場合、このような現象は以前のテキストでは考えられなかった表現方法であり、作者たちは必要に応じて既存のジャンルからイメージを借りてきたりパロディしてテキストを構成したと考えられる。結果的にテキストの種類が多様になり、読者層を増やす、身近な作品が登場したのである。
    『土佐日記』、『影路日記』、『更級日記』はジャンルと主題の境界が消滅した、事実と虚構、小説と批評、歴史と自叙伝の区別を解体したファンタジー的な要素が強く表れたテキストである。一つの創作物であると同時に、既存のジャンルを批評する行為であるパロディの属性が表れ、自我を省察するメタフィクションの属性を示している。テキストの中にもう一つのテキストについて語る作者を登場させ、テキストの内部で先行作品を引用して批評を行い、テキストの登場人物を実在の人物や作者とつなげたり、あるいは作者自身を登場人物の一人としてテキストの中に登場させている。メタフィクションの傾向や機能は潜在的にはすべてのテキストに多かれ少なかれ存在すると言えるが、三つのテキストは古典文学におけるその典型的な一例である。

    영어초록

    This paper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metafiction in the context of genre blending, ambiguity between reality and fiction, and self-reflection, focusing on the written elements in『Tosa Nikki』, 『Kagero Nikki』, 『Sarashina Nikki』. A common thread across these texts is the authors’ deliberate exposure of the writing process, along with their strong self-awareness of their work as fiction rather than reality. This self-conscious narrative approach often manifests as parody, functioning as a critique of previous texts while simultaneously generating new ones.
    In the case of『Tosa Nikki』 in the 10th century, this text reflects the perception that the rise of KANA is causing the loss of previous generations of Chinese character-based worldviews. The text blurs the boundaries of authorship by altering the writer's identity, creating intentional ambiguity between the narrator and the subject being described. The metafictional elements in 『Tosa Nikki』 become more pronounced in 『Kagero Nikki』 and 『Sarashina Nikki』. These works demonstrate heightened reader awareness, stronger authorial self-reflection, and a clear sense of individuality and autonomy. The narrative often highlights the process of its own creation, with characters recounting their stories in a manner that blends introspection with narrative construction. By borrowing or parodying images and structures from established genres, these authors composed works that expanded textual diversity and appealed to a broader readership.
    『Tosa Nikki』, 『Kagero Nikki』, and 『Sarashina Nikki』 embody the blending of fantasy and realism, disassembling the distinctions between fact and fiction, novel and critique, history and autobiography. They display a dual nature of parody, simultaneously creating new works and critiquing existing genres, reflecting a core metafictional tendency. While elements of metafiction can be identified in varying degrees across literary works, these three texts stand out as quintessential examples in classical liter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日本語敎育”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