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상징과 이미지로 본 鮮卑 神話의 세계 (Study of the Mythological World of Xianbei through Symbols and Images)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24.03
33P 미리보기
상징과 이미지로 본 鮮卑 神話의 세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대사연구 / 113호 / 191 ~ 223페이지
    · 저자명 : 강준영

    초록

    신화와 그 안에 담긴 이미지와 상징 연구를 통해 우리는 민족 문화와 관점의 본질을 파악하고, 사회상과 시대상을 통찰할 수 있으며 민족 본연의 면모를 고찰할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신화와 그 안에 담긴 이미지와 상징에 대해 주목하여, 선비족의 신화에 등장하는 각기의 상징과 이미지가 어떠한 의미를 담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우선 단석괴(檀石槐) 탄생 신화는 천강신화(天降神話) 혹은 천손강림신화(天孫降臨神話) 의 전형적인 서사로 그의 신성성을 강조하기 위해 꾸며졌다. 일광감응(日光感應)의 구조를지닌 이 신화에 등장하는 천둥과 벼락은 천의(天意)를 들었다는 것으로 이해되며 또한, 그가대장장이 신이나 샤만이었음을 암시하는 상징일 수도 있다. 『후한서』에서는 그 모친의 입안으로 우박이 들어왔다고 했는데, 이는 난생신화(卵生神話)와 연결해 볼 수 있다. 더불어 이신화는 전 세계적으로 널리 퍼져있는 아기 추방 모티프와 비슷하나 스스로의 위기 극복 과정이 두드러지지 않는다. 그리고, 단석괴가 외가로 보내 키워지며 영웅적 인물로 성장했다는 점에서 당시 선비족 사회에 모계사회(母系社會)의 유산이 보존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있다.
    Ⅲ장에서는 모용선비(慕容鮮卑)의 신화와 관련 기록 속에 보이는 색채에 주목하여 백색, 흑색, 주색(적색)의 상징성에 대해 분석했다. 이를 통해 백색은 하늘, 길상, 길조, 신성 등의의미가 있었을 뿐 아니라 최강, 최고, 건장 등을 상징하는 색채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흑색은 길상과 신성을 상징하는 색채였고, 주색(적색)은 죽음의 상징으로 사용되었거나 신을상징하는 색채였음을 확인하였다.
    Ⅳ장에서는 탁발선비(拓拔鮮卑)의 남천(南遷) 신화에 있어 등장하는 신수(神獸)가 사슴토템으로 연결되며, 모계 토템으로도 연결됨을 확인했다. 또한, 탁발역미(拓拔力微)의 탄생신화는 천녀지자(天女之子)형 시조 신화로, 모계사회 전통이 강한 가운데 미약한 처가(외가) 세력으로 인해 권력을 찬탈당할 여지가 있었기에 이를 탈바꿈하여 세력을 공고히 하고, 그권력 계승의 당위성을 마련하기 위해 꾸며졌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확인했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오환의 장례 풍속에 등장하는 개(늑대)의 상징을 확인하고, 토욕혼에 전해진 교훈을 통해 몽골과 선비의 관련성에 대해 유추해보았다. 이를 통해 벽사(辟邪) 와 신성한 역할을 담당하는 개가 몽골 신화에서 늑대의 완곡한 표현으로 사용되었음을 확인했다. 또한, 토욕혼의 아시가 자식 형제간의 우애를 강조하기 위해 한 행동은 몽골의 알란 미인이 그 다섯 아들에게 했던 행동과 동일함을 통해 화살 꺾기 유형의 교훈적 이야기가 상당히 이른 시기에 형성되어 오랫동안 이어져 왔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rough the study of myths and the images and symbols in those stories, we can understand the essence of national culture and perspective, and gain insight into society aspect and the phases of the times. Additionally, I can examine the original aspects of the nation. In this article, focused on mythology and the images and symbols contained within it, and examined the meaning of each symbol and image in Xianbei mythology.
    Myth of Tanshihuai(檀石槐)’s birth is a typical narrative of the myth of descent from heaven(天降神話) or the myth of descent of the heavenly grandson(天孫降臨神話), and is designed to emphasize his divinity. The thunder and lightning in this myth is understood to be a sign that he’s mother has heard the will of the heavens, or perhaps a symbol that suggests he was a blacksmith god or shaman. In the Book of the Later Han, it is recorded that a hailstorm entered the mouth of the mother of the Tanshihuai, which can be connected to oviparous myth. Furthermore, this myth is similar to the motif of the exposed baby that is prevalent around the world, but without the prominent representation of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 crisis on one’s own. In addition, The fact that Tanshihuai was sent to an old home of he’s mother, where he grew up to become a heroic character, shows that the legacy of matriarchy was preserved in the society of the time.
    In Chapter III, I paid attention to the colors in the myths and records of Murong Xianbei and analyzed the symbolism of white, black, and red. From this, I can see that white was not only the color of the sky, lucky omensign, auspiciousness, and divinity, but it was also the color of the strongest, best, and strongest. Also, I found that black was the color of auspiciousness and divinity, while red was used as a symbol of death or to represent the gods.
    In Chapter IV, I saw that the mythical beast that appear in the myths of the southern migration of the Tuoba Xianbei are related to the deer totem and the matriarchal totem.
    In addition, the myth of the Tuoba Liwei(拓拔力微)’s birth was created to prevent the risk of power being taken away by others due to a weak wife’s family(mother’s family) in a Tuoba Xianbei with strong maternal power. This myth was also used to consolidate their power and explain the legitimacy of their succession.
    Finally, in Chapter V, I identify the symbol of the dog(wolf) in the funerary customs of the Wuhuan, and infer the connection between Mongolia and Xianbei through the lessons taught in the Tuyuhun. This confirmed that dogs had a sacred role in warding off evil spirits and were used as a euphemism for wolves in Mongolian mythology. Furthermore, the stories that have come down to us from the Tuyuhun show that the type of didactic narrative that emphasizes brotherly friendship was formed fairly early on and continued for a long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대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