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가배상소송의 위법성 판단기준 및 실무상의 적용례에 관한 검토 - 항고소송에서 처분의 위법성이 확인된 사안을 중심으로 - (The Criteria of Illegality Judgement in State Compensation Lawsuit and Trends of State Liability Cases - Focusing on cases where the illegality of administrative disposition is confirmed in appeal lit)

5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24.06
51P 미리보기
국가배상소송의 위법성 판단기준 및 실무상의 적용례에 관한 검토 - 항고소송에서 처분의 위법성이 확인된 사안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행정판례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행정판례연구 / 29권 / 1호 / 81 ~ 131페이지
    · 저자명 : 장윤실

    초록

    대상판결은 항고소송에서 처분의 위법성이 인정되어 취소된 경우, 국가배상소송에서 항고소송과 동일하게 처분의 위법성을 인정할 수 있는지에 관하여 항고소송의 위법성과 국가배상소송의 위법성은 다르며, 국가배상소송에서 위법성이 인정되기 위해서는 부가적으로 객관적 정당성의 상실이라는 요건이 충족되어야 한다는 기존 대법원 판례의 입장을 다시 한 번 명확하게 확인하였다. 특히 대상판결을 포함하여 국가시험의 출제오류에 따른 불합격처분 등의 위법성이 문제 된 세 건의 사안에서 각 사안의 원심판결이 모두 국가배상책임을 인정하였던 것과 달리 대법원은 예외 없이 객관적 정당성이 상실되지 않았다고 보아 국가배상책임을 부정하였다. 이러한 대법원 판단은 위법한 것으로 인정된 처분의 특성을 주되게 고려하면서 특히 국가시험이라는 특성상 시험문항의 출제나 정답 결정 과정이 가지는 공익적인 특성, 법령과 절차의 준수 여부를 중요한 판단요소로 삼아야 한다고 본 것인데, 국가배상책임을 매우 제한적인 범위에서 인정하는 기존 판례의 태도를 그대로 반복했다는 점에서 다소 아쉬움이 남기는 한다.
    본 글에서는 항고소송에서 처분의 위법성이 인정된 이후 국가배상책임의 성립 여부가 다투어진 사안에서 국가배상소송의 위법성의 인정 여부 및 판단 기준을 검토하기에 앞서 국가배상책임의 성격과 성립 요건을 정리하고 항고소송과 국가배상책임의 위법성의 관계에 대해 살펴본 다음, 판례가 국가배상소송의 위법성 판단 기준으로 제시하는 ‘객관적 정당성’의 의미와 판단기준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나아가 대법원 판례와 관련 하급심 판결의 동향을 정리함으로써 구체적인 사례에서 객관적 정당성의 요건이 어떠한 방식으로 기능하고 있는지에 관해 논의하였다.
    국가배상책임의 위법성 판단에 있어서 요구되는 객관적 정당성이라는 요건은 현실적으로 국가배상책임의 인정 범위를 제한하는 기능을 하고 있다. 대법원은 행정처분이 선행하는 판결 등에 배치되는 것이거나 행정청이 사전에 상당한 수준의 신뢰를 부여하였음에도 그에 반하는 행정처분이 이루어진 경우에 한하여 예외적으로 국가배상책임을 인정하는 태도를 보여 왔고, 이러한 태도가 하급심에도 반영되어 있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인 사안에서는 주로 행정처분의 양태와 목적을 고려하여 처분의 종류와 처분이 이루어진 경위를 중심으로 객관적 정당성이 상실되는 정도에 이르지 않았다는 결론이 도출되는 양상을 보이고, 다만 일부 하급심에서는 처분으로 침해된 이익이 무엇이고 그로 인해 발생한 손해의 정도가 어떠한지의 측면에 초점을 두어 다소 적극적으로 국가배상책임을 인정하려는 시도가 행해지고 있다. 이처럼 객관적 정당성이라는 요건은 국가배상책임의 성립 범위를 적절한 범위에서 제한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되고 있는데, 그 판단에 있어서 위법성이 확인된 행정처분의 특성 및 그로 인해 침해된 이익과 손해의 측면을 보다 적극적으로 고려한다면, 국가배상책임의 인정 범위를 적절한 수준에서 확장하여 균형을 찾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In the judgment, the Supreme Court confirmed the existing precedent that the illegality of state compensation lawsuit is different from the illegality of appeal litigation and the 'objective justification' is required to admit state liability. In particular, the Supreme Court denied state liability without exception on the grounds that the objective justification was not lost in the case where the rejection disposition was a problem due to errors in the questions of the national examination. The Supreme Court's judgment is somewhat regrettable in that it repeats the attitude of existing precedents that recognize state liability to a very limited extent, especially considering the nature of the disposition recognized as illegal.
    This article reviewed the recognition of the illegality of state liability and the criteria for judging the illegality in cases where the illegality of administrative disposition is confirmed in appeal litigation. Prior to that, the nature and requirements for state liability were summari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llegality of appeal litigation and state compensation lawsuit was examined, and the meaning and criteria for judgment were reviewed. Furthermore, by organizing the trends of the Supreme Court precedents and related court judgments, the article discussed how the requirements for objective justification function in specific cases.
    The requirement of objective justification required in determining the illegality of state liability is functioning to limit the scope of state liability. The Supreme Court has shown an attitude of acknowledging state liability only when administrative dispositions are contrary to rulings that precede administrative dispositions or when administrative dispositions contrary to them are taken, even though the administrative agency has given a considerable level of trust in advance. Alto this attitude can be confirmed to be reflected in lower courts. In specific cases, the conclusion is drawn that objective justification has not reached the extent of loss, mainly focusing on the type of administrative disposition and how the disposition was made. However, some lower courts are attempting to actively recognize state liability by focusing on the aspect of profits infringed by the disposition and the extent of damage caused by it. This requirement of objective justification is used as a tool to limit the scope of state liability to an appropriate extent, and if the characteristics of administrative dispositions that have been confirmed to be illegal and the aspects of profits and damages infringed by them are more actively considered in its judgment, it can help to expand the scope of state liability to an appropriate level and find a bala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행정판례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