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비스테로이드 소염제 사용 후 나타난 독성 표피 괴사 융해증 1례 (A Case of Toxic Epidermal Necrolysis (TEN) Induced by Nonsteroidal Anti- Inflammatory Drug (NSAID))

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0 최종저작일 2009.05
4P 미리보기
비스테로이드 소염제 사용 후 나타난 독성 표피 괴사 융해증 1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응급의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응급의학회지 / 20권 / 2호 / 227 ~ 230페이지
    · 저자명 : 김선표, 김성중, 최연규, 조수형, 조남수

    초록

    A patient who was transferred to our Emergency Medical
    Center from a local clinic with a dermatologic disorder of
    unknown origin presented to us with TEN with a 40% skin
    slough. The patient was a 53-year-old women with complaints
    of erythematous rash and blisters on her trunk and
    both proximal extremities. She had taken NSAIDS, 1300 mg
    per oral, every 8 h for 5 days. Five days after administration
    of NSAIDS began, the doctors at the local clinic noted that a
    rash with blisters had begun on her back and progressed to
    her extremities. After 4 days of that progression she came to
    us. On physical examination, she had asymptomatic multiple
    clear filled bullae and erosion with brown- to black-colored
    hyperpigmentation on her trunk and proximal extremities
    involving 40% of the body surface. She was admitted to a
    private room to prevent secondary infections, and her management
    included fluid replacement, third-generation
    cephalosporin and corticosteroid administration, and intensive
    wound care. Fifteen days after admission, no further
    treatment was required, and only a small scar and a mild
    dispigmentation lesion could be seen.
    Emergency department physicians should think about TEN
    if the patient has extensive exfolating skin lesions.
    Treatment of patients with suspected TEN must be directed
    at minimizing fluid and electrolyte loss and preventing secondary
    infection, and an effort should be made to identify the
    suspicious drug and to educate patient to avoid the drug.

    영어초록

    A patient who was transferred to our Emergency Medical
    Center from a local clinic with a dermatologic disorder of
    unknown origin presented to us with TEN with a 40% skin
    slough. The patient was a 53-year-old women with complaints
    of erythematous rash and blisters on her trunk and
    both proximal extremities. She had taken NSAIDS, 1300 mg
    per oral, every 8 h for 5 days. Five days after administration
    of NSAIDS began, the doctors at the local clinic noted that a
    rash with blisters had begun on her back and progressed to
    her extremities. After 4 days of that progression she came to
    us. On physical examination, she had asymptomatic multiple
    clear filled bullae and erosion with brown- to black-colored
    hyperpigmentation on her trunk and proximal extremities
    involving 40% of the body surface. She was admitted to a
    private room to prevent secondary infections, and her management
    included fluid replacement, third-generation
    cephalosporin and corticosteroid administration, and intensive
    wound care. Fifteen days after admission, no further
    treatment was required, and only a small scar and a mild
    dispigmentation lesion could be seen.
    Emergency department physicians should think about TEN
    if the patient has extensive exfolating skin lesions.
    Treatment of patients with suspected TEN must be directed
    at minimizing fluid and electrolyte loss and preventing secondary
    infection, and an effort should be made to identify the
    suspicious drug and to educate patient to avoid the dru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응급의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