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순자(荀子)』에서 수행성과 禮에 관한 일고찰 (Performativity and li in Xunzi)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0 최종저작일 2014.02
30P 미리보기
『순자(荀子)』에서 수행성과 禮에 관한 일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방학 / 30호 / 229 ~ 258페이지
    · 저자명 : 고은강

    초록

    본 연구는 버틀러의 수행성 개념을 통해 『荀子』의 禮 개념에 대한 재해석을 시도한다. 버틀러의 수행성 개념은 인간 본성의 일부로서 禮를 해석하거나 사회제도의 관점에서 禮를 이해하는 기존의 관점에서 벗어나, 禮를 '행동의 통제'라는 기본적인 관점에서 재조명하는 데 도움이 된다. 『荀子』에서 禮란 행동을 '적절'하게 통제하는 수단이다. '반복의 과정'을 통해 체현되는 수행성에 주목하는 버틀러의 관점은 『荀子』의 禮 개념에서 강조되는 수행성과 일치한다. 禮에서 강조되는 '반복의 과정을 통해 체현되는 수행성'은 『荀子』의 첫 장에 나타난 學 개념에 함축되어 있다. 단지 일회적인 앎에 그치지 않고 연습과 훈련을 거쳐 익숙해 진 결과물이 몸에 축적되는 과정을 강조하는 學 개념은 몸에 쌓여 몸을 통해 표현되는 버틀러의 수행성이 주목하는 바다. 學에서 몸의 중요성은 禮의 실천과 연결되어 있다. 小人과 차별화된 인격을 갖춘 君子는 禮를 단지 능숙하게 실천할 수 있는 지식을 갖추는 데 그치지 않고 禮가 '몸에 밴' 사람이다. 『荀子』에서 몸은 인간의 욕망을 긍정하고 윤리의 출발점으로 삼는 『荀子』특유의 관점과 관련하여 더욱 중요하다. 禮는 몸의 欲을 적절히 부양하기 위해 필요하다. 禮가 몸의 欲을 적절히 부양할 수 있는 이유는 心이 있기 때문이다. 心이 欲을 제어(止)하고자 하는 시도와 긴장 속에 행동(行)이 위치할 때라야만 몸의 욕망을 부양하며(養體) 살아갈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일상에서 禮의 수행성이 포착되는 장'이다. 禮의 실천을 통해 몸을 구성하고, 몸의 구성을 통해서 인격을 구성하는 과정이『荀子』에서 ‘반복의 과정’으로서 禮의 실천, 즉 禮의 수행성이 의미하는 바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focuses on the Confucian concept of li using Judith Butler's term, performativity. Performativity is the process of self-construction through repetitive behavior. The concept of li in Confucian philosophy,the system of right behavior that Confucian saints established, can be explained through performativity. Performativity provides a useful lens to examine the concepts of learning, body, and mind, which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process of self-construction in Xunzi.
    Since Confucius stressed the significance of practice in Confucian Analects, applied learning has been established as one of the core concepts in Confucian philosophy. Learning is not simply acquiring knowledge. It includes the process of putting that knowledge into practice. The concept of applied learning is elaborated in Xunzi. In Xunzi, learning is the process of constructing personhood. After acquiring knowledge about something, a person puts what he has learned into practice. Whether his practice is successful or not, the result of his practice affects his behavior and his personhood in the future. Thus, a person tries to prepare himself for right behavior. In Xunzi, the ideal person has the appropriate body for li, the system of correct behavior. He is able to realize li through his behavior at any place and anytime. This is because he always maintains a placid and tranquil heart. Since the mind-body distinction is not clear in Xunzi, the appropriate body includes the placid and tranquil state of heart. The placid and tranquil state of the heart is a necessary condition of realizing l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