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약용 經世書의 鄕禮 규정과 공동체 운영의 특징 - 『경세유표』 및 『목민심서』의 鄕禮 문제를 중심으로 - (The Characteristic of Hyangnye (鄕禮) Regulation and Community Operation which are Stated in Chŏng Yak-yong (丁若鏞)'s Statecraft Publications - focusing on the Contents about Hyangnye in the Kyŏngse yup’y)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0 최종저작일 2014.07
36P 미리보기
정약용 經世書의 鄕禮 규정과 공동체 운영의 특징 - 『경세유표』 및 『목민심서』의 鄕禮 문제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양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철학 / 41호 / 197 ~ 232페이지
    · 저자명 : 백민정

    초록

    이 글은 茶山 丁若鏞의 經世書에 나타난 ‘鄕禮’에 관한 규정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조선후기 유학자가 꿈꿨던 이상적인 인륜 공동체의 모습과 특징이 어떠했는지 분석한 것이다. 단독 저술이 없었기 때문에 향례에 대한 다산의 관심이 士家禮, 王朝禮, 邦國禮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었다고 평가받았다. 하지만 『경세유표』, 『목민심서』 등 다산의 경세서에는 향례에 관한 발언이 적지 않게 등장한다.
    정약용은 16세기 이래 주자학 이념에 근거한 지방 사족층의 향례 운영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한다고 비판했다. 그렇다고 다산이 향례의 가치를 무시하거나 중앙에서 파견된 목민관의 법치적 통치로 향례 전통을 대체해야 한다고 본 것은 아니다. 그는 『경세유표』에서 『주례』의 ‘考工記’ 분석을 통해 서울의 ‘六鄕制’를 복원했고, 육향의 鄕官(敎官)이 시행했던 향례의 내용과 절차를 소개했으며, 이를 준거로 지방 목민관이 각 지역 향교에서 정기적으로 鄕射, 鄕飮酒, 饗孤 등의 향례를 시행하도록 향례의 상세한 기준과 절차를 마련했다.
    다산이 생각한 이상적 공동체는 선생ㆍ선배에 의한 후생ㆍ후배의 敎化, 양자 사이의 신분등급의 구별과 차등성을 전제로 한 것이다. 정약용도 일반 유학자처럼 정치와 도덕을 동일한 원리로 이해했고, 정치를 아직 도덕적 인격에 이르지 못한 백성을 지도해서 감화시키는 교육 행위와 같다고 보았다. 이 때문에 특히 선생과 후생 사이에 엄격한 구별이 있어야 하며, 이 구별에 합당한 차등적인 사회적 대우와 禮制가 실행되어야 한다고 믿었다. 18세기 후반 家禮와 鄕禮 등의 무분별한 시행을 보면서 禮의 변별 정신을 상실했다고 본 다산은, 보수적으로 보일 만큼 정교하게 차별화된 禮治 시스템을 제안했다.
    차별적인 예제를 준수하면서도 공동체 구성원 모두 동일한 ‘孝弟慈’의 이념을 추구한다고 본 점에서 정약용은 자기 철학의 보편성, 정당성을 확보하려고 했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동일한 도덕이념의 추구가 유교사회의 신분적 제약과 차별을 얼마나 상쇄시켰고, 공동체 구성원의 공존과 협업을 가능하게 했는지도 비판적으로 분석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essay examines the regulations about Hyangnye (鄕禮, rituals of a community) which appeared in Chŏng Yak-yong (丁若鏞)'s statecraft publications and analyzes the figure and characteristic of an ideal of ethical community what a scholar in late Joseon dynasty dreamt of. Chŏng Yak-yong has been evaluated that his interest in Hyangnye was relatively little than the interest in Sakarye (士家禮, rituals of a gentry and family), Wangjeorye (王朝禮, rituals of a royal family), and Pangkungnye( (邦國禮, rituals of a state), because he had no exclusive publication which is only written about Hyangnye. However, he often mentioned about Hyangnye in his statecraft publications such as the Kyŏngse yup’yo (經世遺表) and the Mongmin simsŏ (牧民心書).
    Chŏng Yak-yong criticized that the community operation which was conducted by the local-gentry class, who were based on neo-Confucian ideology since the 16th century, was not functioning well. However, this fact does not mean that he discounted the value of Hyangnye or thought that Hyangnye should be displaced to governor‘s ruling by law. In the Kyŏngse yup’yo, he restored Seoul's yuk’yangche (六鄕制) by analyzing kokongki (考工記), a chapter in the Rites of Chou (周禮), introduced the content and procedure of Hyangnye which were conducted by yuk’yang (六鄕)'s hyangguan (鄕官, 敎官), and arranged the detailed standard and procedure of Hyangnye to make a local governor possible to carry out Hyangnye, such as hyangsha (鄕射), hyangyemju (鄕飮酒), and hyanggo (饗孤), regularly in local school.
    The ideal community that Chŏng Yak-yong dreamt of was based on the younger and protege's edification, which is led by older and senior, and the distinction and difference (辨等, pyongtun) of their social hierarchy. He understood, as another Confucian scholars did, that politics and morality are in a same principle and considered that politics is an educational act which edifies and directs the people. Therefore, he believed that strict distinction between younger and older should be exist, and based on it, a graded social treatment and ritual system should be followed. As observing the thoughtless implement of Karye (家禮) and Hyangnye (鄕禮), he thought that rituals lost it's discrimination. Thus, he suggested a elaboratively graded Yechi (禮治) system which looks conservative.
    Chŏng Yak-yong respected the discriminative ritual system and also emphasized the ideology of ‘filial piety (孝)‧brotherly love (弟)‧compassion (慈)’, which all community member pursued as equal. This fact shows that he seems to have tried to obtain the universality and legitimacy of his philosophy. However, it is necessary to evaluate and analyze with a critical eye how much his pursuing an equal-moral ideology offset the restriction and discrimination caused by Confucian social hierarchy and made the community member's coexistence and cooperation possib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