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노동조합법 제26조·제27조의 해석과 노동조합법 시행령의 위헌성 해소방안 (Interpretation of Articles 26 and 27 of the Trade Union Act and Measures to Addressthe Unconstitutionality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Trade Union Act)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0 최종저작일 2025.02
41P 미리보기
노동조합법 제26조·제27조의 해석과 노동조합법 시행령의 위헌성 해소방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서강법률논총 / 14권 / 1호 / 7 ~ 47페이지
    · 저자명 : 김명종

    초록

    단결권을 보장하는 「ILO 제87호 협약」이 발효된 상태에서 정부는 노동조합법 제27조를 위반하여 재정에 관한 장부와 서류의 비치·보존 여부를 보고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노동조합에 과태료를 부과하였다. 그리고 노동조합법 시행령의 개정으로 회계공시시스템을 통한 결산결과 공표 등 재정운영에 관한 큰 변화가 발생하였는데 이러한 사항이 「ILO 제87호 협약」에 위반되는 것은 아닌지, 권리제한·의무부과에 관한 사항을 법률이 아닌 행정입법으로 규정할 수 있는지에 대한 현실적·학문적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동조합법 제14조 제5호를 적용함에 있어 제26조와 제27조의 적용 범위에 관한 해석 문제이다. 노동조합법 제26조의 조합원에 대한 열람·공표 대상과 제27조의행정관청의 보고 대상에 ‘결산결과와 운영상황’이라는 동일한 문구를 사용하고 있는데 그 의미가 같은 것인지, 제14조 제5호에 따라 노동조합이 비치·보존하는 ‘재정에 관한 장부와 서류’의 열람·공표·보고 범위가 어디까지인지에 대한 다툼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해석이 필요하다.
    헌법과 노동조합법은 노동조합의 자주성과 민주성을 보장하고, 법률의 개별 조항은 법률 전체를 고려하여 종합적·유기적으로 해석해야 한다는 것을 고려한다면, 노동조합법 제26조의 ‘열람’은 노동조합 대표자가 노동조합의 민주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조합원에게 알려주는 것이므로 그 대상 범위를 최대한 확대할 필요가 있고, ‘공표’는 노동조합 대표자가 조합원에게는 민주성을 확보하되 대외 공개가 부적절하다고 판단되는 것은 자주성 차원에서 제한을 둘 필요가 있으므로 공표의 대상 범위는 열람보다는 좁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제27조의 ‘보고’는 노동조합의 자주성 측면에서 행정관청의 확인이 필요한 최소한의 사항을 보고하는 것이므로, 보고의 대상 범위는 공표보다는 좁다고 할 것이다. 결국, 노동조합법의 취지·목적 등을 고려한다면 ‘결산결과와 운영상황’의 열람·공표·보고 범위는 열람>공표>보고의 순으로 그 범위가 달라진다고 해석할 수 있다.
    둘째, 노동조합법 시행령과 「ILO 제87호 협약」과의 충돌 문제이다. 노동조합법 시행령으로 정부가 재정에 관한 사항 중 조직사업비, 교섭·쟁의사업비 등을 확인하는 것은 노동조합에 통상적인 자료제출을 요구하는 것이라 볼 수 없고, 노동조합의 조합가입 활동, 쟁의행위 등의 전략이 정부에 전부 노출될 수 있는 사항이다. 이는 행정관청의 과도한 개입으로 노동조합의 합법적인 권리행사를 저해할 수 있어 단결권의 침해를 넘어 단체행동권의 침해에 해당할 수 있는 문제이므로 「ILO 제87호 협약」 제3조와 ILO 결사의자유위원회의 결정에 위반될 수 있다.
    셋째, 노동조합법의 위임근거 없이 권리제한·의무부과를 규정한 노동조합법 시행령의 위헌성 문제이다. 권리제한·의무부과에 관한 사항은 법률에 직접 규정하거나 최소한 법률의 위임에 따라 규정하여야 하나 이를 위반하여 노동조합법 시행령에 규정하였고, 이로 인해 노동조합의 단결권이 제한되어 헌법이 보장하는 노동조합의 자주성과 민주성을 침해한 것으로 인정될 수 있다. 따라서, 노동조합법 시행령이 「ILO 제87호 협약」과 조화를 이루고 위헌성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시행령에 규정된 사항을 노동조합법에 직접 규정하거나 최소한 노동조합법에 법적 근거를 두되, 「ILO 제87호 협약」의 내용과 취지에 맞게 해당 사항을 규정하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With the ratification of ILO Convention No. 87, which guarantees the right to freedom of association, the government imposed fines on trade unions for failing to report on the maintenance and preservation of financial books and documents as required by Article 27 of the Trade Union Act. Furthermore, the government amended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Trade Union Act to introduce significant changes in financial management, such as the disclosure of financial statements through an accounting disclosure system. This has raised practical and academic concerns about whether these measures violate ILO Convention No. 87 and whether it is permissible to regulate matters that restrict rights and impose obligations through administrative legislation rather than statutory law. The specific issues under discussion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n issue of interpretation regarding the scope of application of Articles 26 and 27 in applying Article 14, Paragraph 5 of the Trade Union Act. Both Article 26, concerning disclosure and publication to union members, and Article 27, concerning reporting to administrative authorities, use the same phrase “financial statements and operational status.” It is necessary to interpret whether this phrase has the same meaning in both contexts, and to determine the extent of inspection, publication, and reporting of “financial books and documents” that trade unions must maintain and preserve according to Article 14, Paragraph 5.
    Considering that the Constitution and the Trade Union Act guarantee the autonomy and democracy of trade unions, and that individual provisions of the law should be interpreted comprehensively and organically in light of the entire law, the interpretation could be as follows: The “inspection” in Article 26 of the Trade Union Act should be interpreted broadly, as it is meant for trade union representatives to inform members to ensure democracy. “Publication” should be more limited than inspection, as representatives may need to restrict some information from external disclosure to maintain autonomy while ensuring internal democracy. “Reporting” in Article 27 should be interpreted most narrowly, as it involves reporting only the minimum necessary information to administrative authorities to maintain union autonomy. Thus, considering the intent and purpose of the Trade Union Act, the scope of inspection, publication, and reporting of “financial statements and operational status” can be interpreted in descending order as inspection > publication > reporting.
    Second, there is a conflict between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Trade Union Act and ILO Convention No. 87. The government's verification of organizational business expenses, negotiation and dispute expenses, etc., through the Enforcement Decree cannot be considered a routine request for information. It could expose all of the union's strategies for membership activities and industrial actions to the government. This excessive administrative intervention could hinder the legitimate exercise of union rights, potentially violating not only the right to organize but also the right to collective action, which may contravene Article 3 of ILO Convention No. 87 and the decisions of the ILO Committee on Freedom of Association.
    Third, there is an issue of unconstitutionality in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Trade Union Act, which stipulates restrictions on rights and imposes obligations without legal basis in the Trade Union Act. Matters concerning the restriction of rights and imposition of obligations should be directly stipulated in the law or at least regulated based on legal delegation. The Enforcement Decree violates this principle and may be recognized as infringing on the autonomy and democracy of trade unions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by restricting the right to organize. Therefore, to harmonize the Enforcement Decree with ILO Convention No. 87 and resolve its unconstitutionality, the matters stipulated in the Enforcement Decree should be directly incorporated into the Trade Union Act or at least given a legal basis in the Act. Furthermore, these matters should be regulated in a manner consistent with the content and intent of ILO Convention No. 87.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강법률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