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재태연령과 출생 체중에 따른 미숙아의 생존율과 사망원인에 관한 다기관 연구 (A Multicenter Study of Preterm Birth Weight and Gestational Age-Specific Neonatal Survival Rate and Causes of Death)

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0 최종저작일 2010.12
8P 미리보기
재태연령과 출생 체중에 따른 미숙아의 생존율과 사망원인에 관한 다기관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주산의학회
    · 수록지 정보 : Perinatology / 21권 / 4호 / 370 ~ 377페이지
    · 저자명 : 이명숙, 진현승, 심재원, 김민희, 임재우, 김천수, 이정주, 김은령

    초록

    목적 : 재태연령과 출생체중에 따른 미숙아의 생존율 및 사망율은 미숙아의 치료와 고위험 산모의 처치에 중요하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대부분 단일 의료기관의 연구가 대부분이고 특히 주로 초극소저체중출생아, 극소저체중출생아에 대한 생존율의 변화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으로 재태연령이나 출생체중에 따른 관점의 연구나 사망원인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다. 본 연구자들은 다기관 연구를 통해 최근 3년간 재태연령과 출생 체중에 따른 미숙아의 생존율및 사망원인을 알아보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2004년부터 2006년까지 3년간 7개 병원에서 분만되고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했던 23+0주에서 34+6주까지의 미숙아를 대상으로 1주일 이내에 타병원으로 전원된 미숙아를 제외하고 재태연령, 출생체중, 성별, 태아 수, 사망유무, 사망원인 등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그리고 재태연령, 출생체중, 성별, 태아 수, 극소미숙아, 저체중출생아,극소저체중출생아, 초극소저체중출생아에 따른 생존율의 차이를 비교하여 보았다. 또한 생존율을 각 재태연령과 출생체중에 따라 나누어서 각각의 출생체중에 따른 생존율, 누적 생존율, 그리고 사망원인을 알아보았다.
    결과 : 대상 환아들의 평균 재태 연령은 31±1.8주, 출생 체중은 1,775±530 g 이었다. 이 중 남아는 717명, 여아는683명으로 남여성비는 1.05 이었다. 대상 환아들의 생존율은 94.3% 이었고 남녀, 단태아와 다태아. 연도별 생존율의 차이는 없었다. 극소미숙아의 생존율은 87.6%, 저체중출생아의 생존율은 93.8%, 극소저체중출생아의 생존율은83.2%, 초극소저체중출생아의 생존율은 62.3% 였다. 사망 원인으로는 미숙아와 관련된 합병증이 67례(83.8%)로 가장 많았고 그 외로 선천성기형이 7례(8.8%), 주산기가사가 4례(5.0%), 기타가 2례(2.5%) 였다. 미숙아와 관련된 합병증으로 사망한 67례 중 폐출혈이 16례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패혈증 14례, 신생아호흡곤란증후군이 13례, 괴사성장염 및 장천공이 9례, 극단적 미숙이 8례, 중증 뇌실내 출혈이 6례, 만성폐질환이 1례 순이었다. 재태 연령별 생존율과 출생체중별 생존율은 모두 재태연령과 출생체중이 증가하면서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결론 : 본 연구의 재태 연령과 출생 체중에 따른 생존율 및 사망원인이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생존율과 사망원인이라고 할 수는 없으나 본 연구에 참여한 병원들이 우리나라의 평균에 가까운 시설 및 인력을 가지고 있는 병원이라 생각되므로 본 연구의 결과가 우리나라의 일반적인 신생아중환자실의 현실을 반영하는 연구라고 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영어초록

    Objectives : This multi-institutional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urvival rate of premature infants and the causes of death according to gestational age and birth weight during the past three years.
    Methods : This study retrospectively examined medical records of 1,400 premature infants who were born at 23 to 34 weeks gestation and were hospitalized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of seven hospitals from 2004to 2006. Gestational age, birth weight, gender, plurality, survival rate, and cause of death were examined, and the survival rate was measured according to gestational age and birth weight.
    Results : The average gestational age and the average birth weight of the subjects was 31±1.8 weeks and 1,775±530 g, respectively. The survival rate showed no difference by gender, plurality and years. The survival rate of very premature babies, low birth weight infants,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and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s were 87.6%, 93.8%, 83.2%, and 62.7% respectively. Causes of death were the complications of prematurity (83.8%), congenital anomalies (15.2%), birth asphyxia (5.0%) and others (2.5%). The survival rate increas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gestational age and also by the birth weight.
    Conclusions : Our data do not represent of the survival rate and the causes of death in Korea. However, our data may reflect the common survival rate and the causes of death in Korean NICU, because the 7 hospita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common facilities and manpower in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Perinatology”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