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2차 교육령 시기 일제초등교육의 실태 및 ‘중등학교’ 유치 운동: 馬山府를 중심으로 (The Actual Condition of Japanese Colonial Primary Education in the Period of the 1st and 2nd Education Decrees and the Campaign to Attract Secondary Education Courses: Focusing on Mayama)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0 최종저작일 2021.03
36P 미리보기
1·2차 교육령 시기 일제초등교육의 실태 및 ‘중등학교’ 유치 운동: 馬山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경남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경계 / 118호 / 79 ~ 114페이지
    · 저자명 : 김성윤

    초록

    저자는 석사 논문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마산부 내의 고등보통학교 설립운동과정과 결과를 확인하였다. 본고는 마산부의 고보 유치 전 교육현황과 1920년대 고보 유치 과정 및 결과를 정리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1) 1차 교육령으로 3面 1敎制, 복식학제가 적용된 마산부 내의 학교 현황을 살펴보았다. 공립의 경우는 주로 일본인을 대상으로 하였고 중등학교 역시 일본인의 이주와 본국 귀환에 따른 학업 공백을 메꾸기 위한 목적으로 실과학교가 존재했다. 조선인 내부에서의 보통학교에 대한 거부 의식도 작용하였으나 이는 곧 보통학교의 필요성으로 대체되었다. 하지만 물리적 거리와 학비의 부담으로 보통학교에 다니는 것 자체가 어려운 일이었다. 사립학교로 진학하는 것이 대안이었으나 학적을 인정받지는 못했다. 또한 마산부내에 고등과정이 없었으므로 학업을 위한 지역 이탈이 일어날 수밖에 없었다.
    (2) 삼일운동은 그 동안 다양한 부문에서 내재한 불만이 터져 나온 사건으로 해석한 일제가 통치노선을 변경하면서 2차 교육령이 내려진다. 마산부내에서는 유치원이 개원하고 보통학교의 입학생이 대폭 증가한다. 이에 따라 보통학교 이후의 고등과정에 대한 요구도 증가한다. 고등보통학교의 입시경쟁률은 치열했으며 이에 따라 고등보통학교를 유치하려는 지자체의 경쟁 또한 심화된다.
    (3) 1920년대 공립고등보통학교 유치경쟁이 일어났다. 마산부에서도 고보유치 기성회가 조직되고 고보유치 운동이 전개되었다. 또한 공립보통학교 학제가 4년에서 6년으로 승격되고 敎舍가 신축되었다. 사립학교로서 호신학교는 고등보통학교로서의 역할을 하기 위해 설립되었으나 총독부의 인가를 받지 못한 상황에서 어려움을 겪다 결국 폐교하였다. 마산부 고보 유치 기성회를 중심으로 상업학교를 설립했다. 다만 일본인 비율 할당제와 인문계형이 아닌 실업계형 고보로써 한계를 지녔다. 고보기성회를 중심으로 고보 유치 운동을 지속하였으나 결과적으로 일본인을 대상으로 한 마산 중학교가 설립된다. 다만, 일본인만을 받은 것이 아니라 조선인과 일본인의 비율이 같은 학교로 고보설립운동을 통한 마산부내의 움직임에 어느 정도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결국 고보유치에는 실패하지만 상업학교 설립과 마산중학교의 설립으로 어느 정도 성과를 이루었다.

    영어초록

    I have verified the process and results of the movement to establish a secondary school in Masan district while investigating the master's thesi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m up the education status of Masan district before it engaged in competition to attract establishment of a secondary school and the process and results of such competition in the 1920s.
    Through this, the paper has investigated the status of schools in Masan district where (1) the policy of placing one primary school in three myeons (townships) and boksik school system were in place as part of the first educational ordinance. The public school was mainly intended to educate the Japanese while the secondary school also has a practical curriculum intended to fill in the academic vacuum temporarily caused during the period of the Japanese migration and returning to their homeland. Korean people developed a sense of rejection for the primary school before it was soon replaced by the need for one. However, physical distance and financial burden of tuition made it difficult for parents to send their kids to a primary school. One of the alternatives was to send their kids to a private school although their educational accomplishments were not recognized. The absence of secondary schools in Masan district forced people to leave the district for advancement to a higher school.
    (2) The March 1st Movement, which was interpreted by the Japanese colonial authorities as an incident of exploding discontent and rage in various sectors of the society, made them change the direction of their governance and issue the second education ordinance. Masan district saw the opening of kindergartens with a sharp increase of students entering a primary school, which led to a rising demand for advancement to a higher school. Masan district also saw a fierce competition to enter a secondary school among eligible students and local governments’ competition to attract the establishment of secondary schools intensified as well.
    (3) The 1920s saw a competition to attract the establishment of public secondary schools. The local government of Masan district organized a school supporting association to attract secondary schools and rolled out the attraction campaign. In addition, the four-year public primary school system was promoted from to six-year system with the number of teachers adjusted accordingly. Hosin School was established to serve as private school but experienced difficulties in obtaining an approval from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resulting in closure eventually. A commercial school was established centering on the school supporting association of Masan district but with limitations of the quota to allow Japanese people and of being a vocational secondary school instead of an academic one. Despite the concerted effort between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school supporting association to attract a public secondary school, they failed to go any further than establishing Masan Middle School for Japanese students. It accepted both the Korean and Japanese students with the same ratio instead of Japanese students only, which seemed to be affected, to some extent, by the movement of the local government to establish a secondary school. In the end, although the Masan local government failed to attract the establishment of a secondary school, it achieved some success with the establishment of a vocational school and Masan Middle Schoo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경계”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