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방송법 시행령 제43조 제2항의 합헌성 여부에 대한 헌법적 검토 (Überprüfung der Verfassungsmäßigkeit von § 43 Absatz 2 der Verordnung zum Rundfunkgesetz)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0 최종저작일 2024.03
42P 미리보기
방송법 시행령 제43조 제2항의 합헌성 여부에 대한 헌법적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헌법학회
    · 수록지 정보 : 헌법학연구 / 30권 / 1호 / 197 ~ 238페이지
    · 저자명 : 장영수

    초록

    한국방송공사(KBS)의 수신료 논란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수신료 납부 자체에 대한 거부운동이 있었는가 하면, 수신료 인상에 대한 논란도 여러 차례 있었다. 그리고 최근에는 수신료 분리징수가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방송법 시행령 제43조 제2항의 개정을 둘러싼 논란은 KBS가 헌법재판소에 헌법소원심판 및 가처분을 청구함에 따라 정책의 문제가 아닌 헌법해석의 문제로 확산되었다. 방송법 시행령 제43조 제2항의 합헌성 여부에 따라 향후 공영방송의 장래가 크게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판단은 매우 중대한 의미를 갖는다.
    방송법 시행령 제43조 제2항과 관련하여 논란되고 있는, 정부와 여당이 수신료 분리징수를 통해 공영방송에 대한 정치적・행정적인 탄압 및 공영방송 길들이기를 하고 있다는 주장은 명확한 근거가 없다. 방송법 시행령 제43조 제2항의 규정이 그러한 의도에 따른 것임을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없고, 동 조항의 해석에 비추어 볼 때, 불합리하고 불공정한 것이라고 볼 수 없기 때문이다.
    수신료의 분리징수가 공영방송의 표현의 자유, 직업수행의 자유 등 기본권을 침해한다는 주장도 타당하지 않다. 수신료 분리징수로 인한 수신료의 감소가 예상되고, 그로 인하여 여러 가지 파생적 효과를 예상할 수 있지만, 그것이 KBS의 기본권에 대한 직접적이고 중대한 침해라고는 보기 어렵기 때문이다. 정부 정책의 정당한 범위 내에서의 변경에 의해 발생한 사실상의 불이익이 기본권의 침해로 보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역사적으로도 결합징수의 문제점이 분리징수의 문제점보다 큰 것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검토를 종합해 볼 때, 개정된 방송법 시행령 제43조 제2항은 정부의 방송정책의 범위 내에서 충분히 허용될 수 있는 것이며, 이는 영국의 BBC나 일본의 NHK 사례에 비추어 보더라도 그렇게 판단된다. 내용상으로도 단지 징수방법과 관련하여 결합징수를 분리징수로 변경한 것이기 때문에 모법인 방송법의 제67조 제2항 등에 위배되는 것으로도 볼 수 없다.
    방송법 시행령 제43조 제2항의 해석론으로서뿐만 아니라, 향후 KBS가 공영방송으로서 제 자리를 찾기 위한 방향을 찾는 입법론적 측면에서 보더라도 방송법 시행령 제43조 제2항에 따른 분리징수는 결합징수에 비해 더 합리적인 대안이라고 판단되며, 방송법 시행령 제43조 제2항의 위헌성을 인정할 뚜렷한 근거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Die Kontroverse um die Lizenzgebühren des Korea Broadcasting System (KBS) ist nicht neu. Einst wurde die Bezahlung der Rundfunkgebühr selbst boykottiert, gab es auch mehrere Kontroversen über eine Erhöhung der Rundfunkgebühr. Und in letzter Zeit ist die getrennte Zahlung von Rundfunkgebühren Gegenstand von Kontroversen.
    Die Kontroverse um die Überarbeitung von § 43 Absatz 2 der Verordnung zum Rundfunkgesetz weitete sich aus einer Frage der Politik zu einer der verfassungsrechtlichen Auslegung, als KBS beim Verfassungsgericht einen Antrag auf Verfassungsbeschwerde und einstweilige Verfügung einreichte. Das Urteil des Verfassungsgerichts in dieser Angelegenheit ist von großer Bedeutung, als sich die Zukunft des öffentlich-rechtlichen Rundfunks je nach Verfassungsmäßigkeit von § 43 Abs. 2 der Verordnung zum Rundfunkgesetz erheblich ändern kann.
    In Bezug auf Artikel 43 Abs. 2 der Verordnung zum Rundfunkgesetz gibt es keine eindeutige Grundlage für die Behauptung, dass die Regierung und die Regierungspartei den öffentlichen Rundfunk politisch und administrativ unterdrücken und den öffentlich-rechtlichen Rundfunk durch die getrennte Zahlung von Rundfunkgebühren zähmen. Dies liegt daran, dass objektiv nicht bestätigt werden kann, dass die Bestimmungen von § 43 Abs. 2 der Verordnung zum Rundfunkgesetz dieser Absicht entsprechen, und dass sie angesichts der Auslegung der Bestimmungen nicht als unangemessen und ungerecht angesehen werden können.
    Auch die Behauptung, dass die getrennte Zahlung von Rundfunkgebühren Grundrechte wie die Meinungs- und Berufsausübungsfreiheit des öffentlich-rechtlichen Rundfunks verletze, ist unberechtigt. Obwohl durch die getrennte Erhebung der Rundfunkgebühr mit einer Senkung der Gebühr zu rechnen ist und dadurch verschiedene Folgewirkungen zu erwarten sind, kann hierin kaum ein unmittelbarer und schwerwiegender Verstoß gegen die Grundrechte der KBS gesehen werden. Es ist nicht nur schwierig, die faktischen Nachteile, die durch Änderungen im legitimen Rahmen der Regierungspolitik entstehen, als Verletzung von Grundrechten zu betrachten, sondern historisch gesehen scheinen die Probleme bei der kombinierten Zahlung größer zu sein als bei der getrennten Zahlung.
    In Anbetracht dieser Überprüfungen ist § 43 Absatz 2 des überarbeiteten Verordnung zum Rundfunkgesetz im Rahmen der Rundfunkpolitik der Regierung hinreichend zulässig, und dies wird auch im Lichte der Fälle der britischen BBC und des japanischen NHK als zutreffend erachtet. Inhaltlich kann darin kein Verstoß gegen § 67 Abs. 2 Rundfunkgesetz etc. gesehen werden, da es sich lediglich um einen Wechsel von der kombinierten zur getrennten Zahlung im Hinblick auf die Zahlungsmethode handelt.
    Nicht nur aus der Perspektive der Auslegung von § 43 Abs. 2 des Verordnung zum Rundfunkgesetz, sondern auch aus gesetzgeberischer Sicht, um eine Richtung zu finden, damit KBS in Zukunft seinen Platz als öffentlich-rechtlicher Rundfunkveranstalter finden kann, getrennte Zahlung gemäß § Art. 43 Abs. 2 der Verordnung zum Rundfunkgesetz ist wirksamer als die kombinierte Zahlung. Sie wird als sinnvolle Alternative angesehen und es scheint keine eindeutige Grundlage für die Anerkennung der Verfassungswidrigkeit von § 43 Abs. 2 der Verordnung zu geb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헌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