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초기 해인사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복장 후령통 연구 (The Throat-Bell Container (huryŏngt’ong) Recovered from the Wooden Seated Vairocana Buddha of Early Chosŏn in Hainsa)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0 최종저작일 2022.12
33P 미리보기
조선 초기 해인사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복장 후령통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316권 / 316호 / 5 ~ 37페이지
    · 저자명 : 이헌석

    초록

    해인사 비로전에는 2존의 통일신라 9세기 목조비로자나불좌상이 봉안되어 있으며 불상 내부에서 거의유사한 1490년에 안립한 복장물이 발견되었다. 특히, 오보병을 후령통에 안립하고 그 위에 사리합(통)과 심주를 둔 후 원경으로 덮는 방식과 뚜껑에 진심종자를 쓰던 형식은, 고려시대의 전통을 계승한 것이었다. 그러나오륜종자를 오보병에 쓰고 오보병을 오경의 형태로 제작한 점, 팔엽연화봉으로 오보병을 덮은 점, 오륜종자혹은 사방주를 쓴 황초폭자를 도입한 점, 청초주서에 원문을 쓰도록 한 점 등은 새로운 혁신이었다. 또한 긴후혈을 갖춘 후령통은 상원사 문수동자상에서 처음 시작되어 해인사 복장물에서 정연한 체계를 갖추게 된다.
    중요한 점은 그 제작 배경에 교리와 사상에 밝으면서 당시 불사를 이끈 신미대사와 학조대사의 영향이 크게 작용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용천사판 『조상경』 (1575)과 해인사 필사본 『聖像塑畵腹藏儀』는 복장물의 구성과 관련된 중요한 경전이다. 특히 복장물 가운데 오시화, 오채번, 오산개는 『묘길상대교왕경』의 영향으로 16세기 용천사판 『조상경』의출간 즈음 복장물에 포함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특히, 1490년 해인사 목조비로자나불좌상의 복장물 안립 형식인 후령통 내부에 오보병을 안립하고, 팔엽개, 양면원경을 두는 방식은 16세기 정리된 용천사판 『조상경』에그대로 반영되었다. 이런 측면에서 해인사 목조비로자나불좌상의 후령통은 조선시대 후령통의 전형적 범본이 되었다.

    영어초록

    In the Vairocana Hall of Haeinsa, there are two Vairocana statues made in the 9th century,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In 1490, the statues were filled with sacred objects whose specific contents were almost identical to each other. Following the practice passed down from the Koryŏ period, five treasure bottles were put inside an offering container termed “throat-bell container” which was then topped with a sarira reliquary and a bead. It was covered with a round mirror and true-mind syllables(chinsim chongja 眞心種子) were written on the lid. There are also innovations made in the Chosŏn period: namely, five-wheel syllables(oryun chongja 五輪種字) written on the five treasure bottles that take the shape of five mirrors, bottles covered with eight-petal lotus bud, the use of yellow fabric wrappers with the written spells of the four directions(sabangju 四方呪) or five-wheel syllables and the votive inscription written in red ink on blue textile. The earliest example of the offering container with a long breathing hole was found inside the Manjushri statue of Sangwŏnsa. A well-organized system had been established by the time the offering containers at Haeinsa were prepared. As the Great Preceptors Sinmi and Hakcho, renowned Buddhist monk scholars were in charge of enshrining the offering container, it is likely that they exerted a considerable influence on the organization of the sacred objects.
    The Yongch’ŏnsa edition of Chosang kyŏng (Sutras on a manuscript entitled Sŏngsang sohwa pokchang ŭi (Manual on the pokchang of sculpted and painted sacred icons) preserved at Haeinsa are two important texts that dictate how to prepare the sacred objects for offerings. Inclusion of five flowers, five flags, and five parasols were the influence of Myogilsang taekyowang kyŏng (Sutra on the king of the great teaching which is sublime and auspicious) and likely began around the time the Yongch’ŏnsa edition of Chosang kyŏng was published in the sixteenth century. In conclusion, the throat-bell container from the Vairocana Buddha statues of Haeinsa can be considered as a prototype for offering containers made during the Chŏs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