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唐의 喪葬令을 통해 본 고구려·백제 遺民의 喪葬禮 (The funeral order of the Tang Dynasty and the funeral service of Goguryeo and Baekje refugees)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0 최종저작일 2021.12
47P 미리보기
唐의 喪葬令을 통해 본 고구려·백제 遺民의 喪葬禮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대사연구 / 104호 / 337 ~ 383페이지
    · 저자명 : 정호섭

    초록

    지금까지 발견된 고구려와 백제 유민 墓誌銘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주로 출자를 비롯한 정체성 문제, 그리고 당에서의 행적 등에 집중되어왔다. 그러나 묘지명의 내용이 단편적이라고 하더라도 묘지명을 당대인의 삶과 죽음을 이해하는 사료로서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해볼 필요성이 있다. 본고는 이러한 차원에서 고구려와 백제 유민들 묘지명을 통해 관인으로 살았던 그들의 상장례를 집중해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喪葬令이나 喪葬禮와 관련하여 주로 賻物, 官給, 護喪, 解官, 勅葬, 服喪, 贈諡 등과 관련하여 검토하였다. 이들 묘지명에 단편적인 내용들을 통해서라도 상장례의 실상을 이해하고 당나라 관인들과의 차별성도 밝혀보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당나라 관인으로서의 주류 사회에 동화, 편입되기를 갈구했던 존재들로 관품에 따른 상장령이나 황제의 조칙에 의한 상장례를 하였기 때문에 큰 차별성을 발견하기 어렵다. 이러한 측면에서 보면 유민 연구가 정체성에 집중되고 있는 점은 민족주의적 입장에서의 접근이라 할 것이다. 다만 본고에서 당의 상장령과 상장례의 대강을 이해하고 고구려와 백제 유민 묘지명을 통해 상장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서 다각도로 묘지명 자료에 접근하는 길을 모색해본 것은 의미있는 작업이라 생각한다. 전체적으로 보면 당에서는 상장령이 실제적으로는 조항대로 운영된 것은 아니었다. 황제의 詔勅, 別勅이 더욱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비록 일면적이나마 율령을 통한 국가 지배의 실상을 이해하는 데 있어 음미해 볼 사항이다.

    영어초록

    The literature on the epitaph of Goguryeo and Baekje refugees has paid attention to their identity, including their claim of origins and records in the Tang Dynasty. However, this paper suggests the need for extensive use of epitaphs, despite the incomplete information, as historical records to address the life and death of the time. In this regard, it sheds light on the funeral service of Goguryeo and Baekje refugees, who were officials of the Tang Dynasty, by examining their epitaphs. In addition, it analyzed funeral gifts(賻物), government issue(官給), funeral director(護喪), dismissal from government post(解官), execution of burial(勅葬), wearing mourning(服喪), and posthumous title(贈諡) and their relations with funeral order and funeral service. From the incomplete information, it also sought to understand the state of funeral service and the difference between refugees and officials of Tang. However, owing to the refugees’ intention towards assimilation and integration into the mainstream society of Tang by contributing, it is hard to find a substantial difference; such a result implies that the study on the identity of Goguryeo and Baekje refugees has assumed a nationalist approach. Still, this paper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examining the outline of the funeral order and service of Tang and seeking ways to approach the epitaphs of Goguryeo and Baekje refugees with concrete cases of funeral service. Overall, this paper finds that the funeral order was not executed as stipulated but subject to Royal edicts(詔勅) and special proclamations(別勅) from the Emperor; it opens a way to appreciate the funeral order and service in light of the state’s rul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대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