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武漢 熊家嶺 東晉墓 출토 銙帶金具의 제작 고찰 (A Study on the Jin-style Belt Plaques of Xiongjialing Tomb in Wuhan)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0 최종저작일 2022.02
26P 미리보기
武漢 熊家嶺 東晉墓 출토 銙帶金具의 제작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백제문화 / 66호 / 119 ~ 144페이지
    · 저자명 : 劉德凱

    초록

    武漢 熊家嶺 東晉墓 출토 金銅銙帶金具는 帶扣金具, 圭形銙, 琵琶形銙, 帶先金具로 이루어진 東晉 전기 의 대장식구이다. 금속공예품의 제작이라는 시각으로써 매크로 사진 촬영 방법을 이용하여, 가공 흔적으로부 터 이 자료의 製作工程은 설계→ 모형 제작→ 雙范 제작→ 合范→ 녹여 넣기→ 鎔范 제거→ 硏磨→ 彫金→ 鍍 金→ 組立이라는 프로세스를 복원한다. 鑄造로 과대금구의 부품을 생산한 것이 밝혀지고 소위 晉式帶金具의 제작 기술에 대하여 새로운 인식을 제기하고자 한다. 또 조금 기법의 가공 흔적은 집계적으로 분석하여 분업 화된 생산 체제를 추정할 수이 있다. 웅가령 과대금구는 서울 夢村土城 출토품과 형태, 문양, 제작 기술 등 방 면을 비교하여 양자의 유사성이 분명히 보인다. 동아시아 진식대금구의 제작 양상으로써 관찰하면 우한 웅가령, 몽촌토성 출토품은 단기간에 동일한 공인집단이 생산될 가능성이 크다. 요컨대 웅가령 동진묘, 몽촌토성 출토 과대금구는 제작지가 마찬가지로 연구사가 지적되었을 것이 같이 몽촌토성 과대금구는 대중교섭을 통하 여 한성기 백제가 동진에서 이입된 유물이라는 견해를 방증할 수이 있다.

    영어초록

    The production and circulation of metal artefacts led by the Jin-style belt plaques in the 3rd to 4th centuries, represents an important and not negligible stage in the development of East Asian regional exchanges. Current research demonstrates they could significantly enhance our understanding about ancient metalworking, here the method of macro photography was used to investigate a set of gilded copper belt plaques, unearthed from the tomb in Xiongjialing “熊家嶺” site, Wuhan City, China and dated at the Eastern Jin Dynasty (317-420AD). It approaches production process involved in metal forming, processing of carving and assembly method through the observation of metal surface's trace phenomenon. This research suggests a kind of production process of the Jin-style belt plaques, namely Design →Make model→ Make mold→ Casting→ Remove mold→ truing→ carving patterns→ gilding→ assembly.
    It was revealed that the parts of belt's plaque were produced by the method of casting, which intended to provide a new view about the manufacturing technology of the so-called Jin-style belt plaques(晉式帶金具).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division of labor system by analyzing the data of processing traces collectively.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Xiongjialing and Mongchontoseong's belt plaques are clearly visible by comparing the shape, pattern, and manufacturing technology. It is highly probable that the same worker's group and produced in a short period of time for items excavated from Xiongjialing and Mongchontoseong through the observation of the Jin-style belt plaques in terms of East Asian. In short, as research history has pointed out that the belt plaques unearthed from Mongchontoseong was a relic imported from China mainland during Eastern Jin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백제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