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애장왕대 ‘新創佛寺’ 금지령과 그 의미 (The prohibition of ‘shinchangbulsa(building a new temple)’ in the King Ejang period and its meaning)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0 최종저작일 2020.08
30P 미리보기
애장왕대 ‘新創佛寺’ 금지령과 그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논총 / 75호 / 157 ~ 186페이지
    · 저자명 : 이민주

    초록

    9세기 초반은 신라 하대가 시작된 지 얼마 되지 않은 시기로 사회 전반의정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시기였다. 하대를 실질적으로 개창한 원성왕은 비정상적으로 즉위하였기 때문에 태자를 책봉하여 왕권을 강화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그의 바람과는 달리 당시의 신라 사회는 정치적으로 매우 혼란스러웠다.
    정치적 상황과는 별개로 이 시기의 불교계에는 특이한 현상이 나타났다.
    원성왕系를 중심으로 사찰을 창건하거나 고승을 추모하는 碑들이 건립된 것이다. 원성왕의 아버지와 어머니는 원성왕 즉위 전에 무장사와 갈항사를 중창하였고, 그 후손들은 왕위에 오른 뒤에도 꾸준히 佛事활동을 하였다. ‘新創佛 寺’ 금지령을 내린 애장왕 역시 재위 3년(802)에 海印寺를 창건하였고, 이보다한 해 앞서 애장왕의 어머니인 桂花夫人도 남편의 명복을 빌기 위해 무장사에아미타불을 조성하였다.
    원성왕의 선조들은 중대 내내 주류에서 밀려난 세력이었다. 중대는 무열왕의 직계 자손들을 중심으로 권력을 공고히 하였던 시대였기 때문에 주류에서밀려한 세력들이 생겨났다. 김경신(원성왕)은 혜공왕대의 혼란한 틈을 타 중대 왕실과 혈연적으로 가까운 김양상(선덕왕)을 먼저 왕위에 올려 자신의 즉위를위한 과도기를 설정하였다. 선덕왕이 후사 없이 죽자 김주원을 제치고 결국스스로 왕위에 올랐다. 때문에 원성왕은 이전 시대와는 다른 새로운 신라 사회의 비전을 제시해야만 했다.
    원성왕이 새로운 사회의 비전으로 제시한 것은 불교였다. 원성왕系는 하대가 중대와는 다르다는 점을 표방해야만 했고, 그 방법으로 중고기로의 지향을추구하였다. 그 점이 잘 드러나는 것이 이차돈과 아도, 원효, 신행에 대한 추모 현상이다. 애장왕 7년(806)의 ‘新創佛寺’ 금지령 역시 원성왕의 정책과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新創佛寺’ 금지령을 내리는 시기와 이차돈, 아도, 원효, 신행에 대한 추모가 이루어진 시기가 일치하고 있다.
    또한 ‘新創佛寺’ 금지와 함께 사치품 사용에 대한 규제를 한 것은 진골귀족들의 경제적 기반을 통제하고자 하였던 목적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 점은 원성왕을 비롯한 하대의 왕들이 공통적으로 겪었던 즉위 정당성에 대한 부족으로 인한 것이었다. 그들은 모두 각기 다른 이유로 왕권을 위협받았기 때문에자신의 왕위를 위협하는 세력들이 존재하였다. 그들에 대해 규제를 함으로써왕과 진골귀족들을 구분하여 왕의 권위를 높이려는 의도였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e early 9th century was a period when the late Silla era(下代) had just begun, and it was a time when the whole society was not properly maintained. King Wongseong, who practically reformed the late Silla era (下代), tried to strengthen his kingdom by serving his prince because he was abnormally crowned. However, unlike his willing, Silla society in the late 8th c entury to early 9th c entury was politic ally very c onfused.
    Apart from the political situation, there was a peculiar phenomenon in Buddhism at this period. Monuments were built to establish temples or memorials of the ancient monarchs around King Wonseong. Before the crowning of King Wonseong, the father and mother of King Wonseong built Mujang Temple(鍪藏寺) and Galhang Temple(葛項寺), and their descendants continued to do Buddhist activities even after they came to the throne. King Ejang, who banned Shinchangbulsa(新創佛寺), also founded Haein Temple in his third year of reign(802). A year earlier, Gyeonghwa(桂花夫人), the mother of King Ejang, also built Amitabha in the Mujang Temple(鍪藏寺) worship her husband.
    The ancestors of King Wonseong were the forces that were pushed out of the mainstream throughout the middle period of Silla(中代). The middle period of Silla(中代) was a period in which power was secured around the direct descendants of King Muyeol, and the forces that were pushed out of the mainstream were born.
    Kim Kyungshin(King Wongseong) set up a transitional period for his ascension by placing King Yangsang(King Seondeok), who is close to the royal family at that time, in the confused gap of the King Hyegong. King Seondeok dies without aftermath and defeated Kim Joowon, eventually himself became the king. Therefore, King Wongseong had to present the vision of a new Silla society different from the previous era.
    It was Buddhism that King Wongseong presented as a vision of a new society. King Wongseong had to claim that the late period of Silla(下代) was different from the middle period of Silla(中代) and in that way, he pursuit the Middle-Ancient period of Silla(中古期). It is a remembranc e phenomenon of Lee Chadon, Ado, Wonhyo and Shinheng. So, the prohibition of Shinchangbulsa(新創佛寺) in the 7th year of King Ejang (806) can also be understood in the same context as the policy of King Wonseong. The time of prohibition of Shinchangbulsa(新創佛寺) and the time when remembrance was made about Lee Chadon(異次頓), Ado(阿道), Wonhyo(元曉) and Shinheng(神行) were same period.
    In addition, the ban on the usage of luxury goods, along with the prohibition of the Shinchangbulsa(新創佛寺), was intended to control the ec onomic base of the Jingol aristoc rats. This was due to the lac k of justification for the right of kings who had suffered in common with kings of the late period of Silla(下代) including King Wonseong. Because they were all threatened by kingship for different reasons, there were forces that threatened their throne. By regulating them, we can see that the intention was to increase the king's authority by distinguishing the king from the Jingol(眞骨) aristocra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