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南靈傳」 연구 (A Study on Namryeongje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0 최종저작일 2013.08
25P 미리보기
「南靈傳」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학연구 / 46호 / 183 ~ 207페이지
    · 저자명 : 김향남

    초록

    「南靈傳」은 담배를 의인화한 假傳으로 소품문에 경도되었던 李鈺 문학의 실상과 심리적 지향성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되는 작품이다.
    이옥이 「남령전」을 지은 동기는 애연가로서의 일차적 관심과 무료한 시간을 보내기 위한 유희의 수단, 혹은 문장 수련의 한 방편에서였다고 볼 수 있지만 새로운 문체, 즉 假傳에 대한 관심도 한 몫을 차지한다고 본다. 가전은 답답하고 울적한 나날을 보내던 과거 준비생 이옥에게 자신의 내면을 투사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문체로 주목되는 한편 자신의 욕망을 표현하는 데도 용이하게 판단되었을 것이다.
    「남령전」은 담배의 의인체인 남령이 秋心(근심)을 몰아내고 권세를 획득한 영웅담의 구조를 취한다. 그런데 남령이 몰아낸 추심의 정체는 무엇인가. 추심의 실체를 파악한다는 것은 사실상 여의치 않다. 그러나 남령의 이야기가 이옥 자신의 이야기이고 또 이옥 자신의 근심과 욕망을 이야기한 것이라면 근심의 정체는 보다 분명해진다. 근심은 욕망에서부터 비롯되는 것이며 이옥의 욕망은 다름 아닌 입신출세에 있었기 때문이다.
    「남령전」에서 추심의 정체에 대한 언급은 ‘도적’이라는 단어가 전부일 뿐 구체적인 내용은 없다. 그런데 같은 시기에 쓴 「蟬告」는 당시 이옥의 고민이 어디에 있었는지를 선명하게 보여주는 글로써 근심에 대한 구체적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이옥은 자신이 세상에 쓰이지 못할 것임을 자탄하고 고향으로 돌아갈 것을 부르짖는다. 이러한 탄식은 오랫동안 과거 준비를 해 온 이옥에겐 더없이 참혹한 절망이요 근심이었다. 「祭文神文」은 「남령전」과 같은 시기의 것은 아니지만 이옥의 문장에 대한 고민을 보다 실감할 수 있는 글이다. 과거에 뜻을 둔 지 16년, 수많은 글을 지었지만 ‘唐의 詩도 아니고 明의 文도 아니요, 杜甫의 詩도 아니고 蘇東坡의 文章도 아닌’ 문장을 씀으로써 현실의 요구에 따르지 못하는 자신을 힐책한다. 출사의 길은 오직 과시를 치르는 것밖에 없는데 자신의 글쓰기는 자꾸 어긋나는 데다 눈에 보이는 현실 또한 만만치가 않다. 고민은 끝이 없다.
    이옥은 탈주를 꿈꾼다. 이옥이 행하는 탈주의 노력은 상상의 글쓰기이다. 「남령전」은 내용상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 남령이 반란을 진압하는 장면과 천군의 책문이 그것이다. 그런데 이 책문은 전체적인 사건의 진행에서 꼭 필요한 것보다 훨씬 확대되어 있으며 책문의 내용 역시 남령에 대한 치하와 포상품에 대한 묘사로 가득하다. 이는 욕망충족을 적극적으로 확대하여 행복한 상태를 최대한으로 즐기려는 작가의 의도를 반영한 결과이다. 동일구문의 반복적 나열 및 묘사의 핍진함 등은 그러한 효과를 적극 뒷받침하는 역할을 한다. 이렇듯 이옥은 표현의 묘미를 통해 욕망이 실현된 순간의 기쁨을 최대치로 끌어올려 근심으로부터의 탈주를 도모한다. 문제는 이 모든 것이 상상 속에서 일어나는 일이라는 것이다. 상상의 글쓰기는 이옥 문학에서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써 근심에 찬 현실로부터 벗어나 기쁨과 만족을 느낄 수 있는 또 다른 세계를 경험하는 것이다. 이는 한편 자신의 내면에 잠재한 욕망의 표출이며 동시에 탈주의 언어가 된다.

    영어초록

    Namryeongjeon is a Gajeon work that personifies tobacco and noteworthy in that it offers a peek at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literature of Lee Ok devoted to Sopummun and at his psychological orientation.
    Lee wrote Namryeongjeon as a pastime to express his interest, to kill time as a habitual smoker, or a means of writing training. What is more important is, however, his interest in Gajeon. A fictional genre of literature that personified an object, Gajeon must have been the most appropriate literary style for Lee, who was spending suffocating and gloomy days in preparation of the state examination, to project his inner self. His experi- mental spirit for literary styles cannot be ignored, either.
    Namryeongjeon is in the structure of heroic epic about Namryeong, the personification of tobacco, and his adventure of driving away Chushim (apprehension) and seizing authority. Then what is the identity of Chushim driven away by him? It is not easy to delve into its identity, but it becomes clearer considering that his story is Lee Ok's story about his apprehension and desire. Apprehension derives from desire, and Lee's desire was oriented toward success in life.
    There is no specific content about the identity of Chushim in Namryeongjeon only with the word "thief." Written in the same period as Namryeongjeon, Seongo clearly shows where Lee's worries were situated and offers some clues to check the specific patterns of his apprehension. He grieves over the possibility that he would not be utilized in the world and cries out his return to his home. His lamentation is the ultimate form of despair and apprehension to him, who had long prepared himself for the state exami- nation. Jemunshinmun offers a more solid sense about his worries over his sentences even though it was not written in the same period as Namryeongjeon. He reprimands himself in not being able to follow the needs of the times by writing sentences "that are not the poetry of Ting, the composition of Ming, the poetry of Du Fu, or the sentences of Su Dongpo" even though he composed a lot of writings for the 16 years he prepared himself for the state examination. The only way to go into government service was to pass the state examination, but his writings kept deviating from it and the reality before his eyes was far from soft. There was no end to his worries.
    Lee dreams of escape. He makes efforts to escape in the form of imaginary writing. The content of Namryeongjeon can be divided into two major parts: they are Namryeong's suppression of the revolt and Cheongun's criticism, which is much more expanded than necessary in the development of the overall event and filled with descriptions about the praises and rewards for Namryeong. It reflects the author's intention of actively expanding desire fulfillment and enjoying a state of happiness as much as possible. Repetitive enumeration of the same phrases and truthful depictions all support such effects actively. Lee attempts to escape from his apprehension by maximizing the happiness of the moment when his desire is realized through the beauty of expressions. The problem is that it all happens in his imagination. Imaginary writing is repeatedly used in Lee's literature and helps him escape from the reality full of worries and experience another world filled with joy and satisfaction. It is the expression of his desire latent inside and, at the same time, the language of escap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