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羅聯添의 “韓愈 고문의 ‘起衰’와 ‘兼美’론” (Luo Lian-tian’s Comment on Hanyu’s Prose in Respect of His Writing Style Raising from Decline and Retaining Beauty)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0 최종저작일 2016.07
24P 미리보기
羅聯添의 “韓愈 고문의 ‘起衰’와 ‘兼美’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국어문논역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어문논역총간 / 39호 / 285 ~ 308페이지
    · 저자명 : 김지영

    초록

    본고는 羅联添(1927-2015)의 <論韓愈古文的幾個問題>(《唐代文學硏究》(第三輯), 1992)를 번역한 것이다. 나련첨은 한유의 고문과 관련된 문제를 1. 쇠락한 문풍을 일으켜 세움과 8대의 장점을 겸비함(‘起衰’與‘兼美’) 2. 이문위시와 이시위문(‘以文爲詩’與‘以詩爲文’) 3. 고문의 유폐(古文流弊) 4. 한유와 유종원이 문으로 서로 경쟁함(韓柳爲文相角)으로 장을 나누어 서술하였다. 본고에서는 지면 관계상 1장만을 번역하였다. 이 논문의 주지를 요약하면 한유의 문이 ‘8대의 쇠락함을 일으켰고(文起八代之衰)’ 또 ‘8대의 장점을 겸비했다(文兼八代之美)’는 것이다. 나련첨이 전개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한유가 쇠락함을 일으켰다고 한 ‘8대’ 란 과연 어느 시기인지, 그 시기 획정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의견을 정리하였다. 두 번째로 한유가 쇠락했던 문풍을 일으켜 세웠다는 말이 과연 타당한지를 살피고, 쇠락함을 일으켜 세웠다는 말의 함의 문제를 다루었다. 그는 8대 문풍의 쇠락은 문장이 대우에 구속된 文體의 쇠락, 경전의 주지를 담지 않은 내용의 쇠락, 사마천과 양웅의 문장 氣格을 갖추지 않은 기격의 쇠락 세 가지로 보았다. 세 번째로 한유의 문장은 8대의 장점을 겸비하기도 했는데, 한유가 지었던 비지류의 작품에는 동한 이래의 8대 문장의 장점을 겸비하였다. 비지의 문체는 동한 이후에 성행하고 발전하였는데, 한유 역시 이러한 비지 문체의 도움을 받지 않을 수 없었다. 한유는 비지문 작품에서 8대 문장의 수사와 구법을 취하고 그 氣格을 활용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translation of Luo Lian Tian’s book titled <Comments on Hanyu’s prose in respect of several aspects (論韓愈古文的幾個問題)>. Luo Lian-tian appreciates in his book that Hanyu’s role “raising the writing style from the last eight dynasties decline (文起八代之衰)” and “taking advantage of the good aspects for the past era (文兼八代之美).” His book can be summarized mainly in three aspects.
    First, the definition of the eight dynasties and the controversial definition of the eight dynasties among scholars. And secondly, the real meaning of HanYu’s role of prose-raising from its’ decline for the past era since East-Han (東漢) dynasty and the validity of the contention. The last but not the least, the evaluation of Hanyu’s prose in that it embraces the advantages of the past era, especially more remarkable in his beizhiei (碑誌類). The writing style of beizhi (碑誌) was very popular and further developed since the East-Han and HanYu is obliged to get some help from it. HanYu takes this beizhi (碑誌) rhetorical writing style and makes good use of its wiring spir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어문논역총간”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