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기 중국불교에 나타난 여성의 문해력 - 『比丘尼傳』을 중심으로 - (Female Literacy in Early Chinese Buddhism - Focused on Biqiuni zhuan -)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0 최종저작일 2016.09
32P 미리보기
초기 중국불교에 나타난 여성의 문해력 - 『比丘尼傳』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학 / 79호 / 99 ~ 130페이지
    · 저자명 : 손진

    초록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의 전통 문화뿐 아니라 전근대사회에서는 시대와지역을 막론하고 여성의 문자 생활, 여성의 교육은 노골적으로 폄하되었고 여성이 교육을 받는 것에 대해서 부정적인 의견이 피력되었다. 중국의 전통사회에서 이러한 여성적 삶의 특징을 고려해볼 때, 보창이 기록한『비구니전』은 다음과 같은 점을 시사한다.
    첫째, 357년에서 519년 사이에 활약했던 주로 사회적인 엘리트 출신의 비구니들 65명에 대한 전기에서 보듯이 중국의 비구니 승가는 초기에 주로 사회적인 주도 계층에서 시작되었다. 둘째, 종교수행자로서 필요한 교육과 활동은 초기 중국불교의 비구니에게 이론적으로는 비구들만큼이나 개방되어 있었다. 불교 의례나 수행에 있어서 비구니들을 배제할 수는 없었던 것으로 보이며, 이는당시의 비구니들이 갖는 문해력을 기반으로 한다. 셋째, 『비구니전』에 수록된80% 이상의 비구니들이 문헌을 활용할 수 있었다는 사실은 초기 중국 불교 안에서뿐만 아니라 당시의 중국 사회에서 여성인 비구니들이 자신의 재능을 개발하고 활용하는 데 있어서 자유와 기회를 누릴 수 있었다는 점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5~6세기의 여성들이 중국에서 어떤 문자 생활을 영위했는지를 여러 각도에서 조망할 수 있게 해준다는 점에서『비구니전』은 큰 의미를 갖는다. 이를 통해 가정에서 비공식적으로 이루어지는 교육 이외에 여성들의 교육이 이루어진 ‘공간’으로서 불교 사원에 대해서도 고찰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Similar to other societies, women in traditional Chinese society have been disadvantaged in terms of education. This has not only affected individual women, but has also had an impact on women′s relationships with the realms of thought and history. For a significant period of time, only a few women from certain classes were educated; a number of talented women had to make every endeavor to prove, to themselves and to others, that they also had the ability to think independently for themselves.
    The characteristics of women′s lives and education in traditional Chinese society, as suggested in historical documents and other literature, differ slightly depending on the time period. In general, however, their lives were limited to the home, isolated from the decision-making processes in society, and educated only in preparation for their domestic duties.
    These characteristics of women′s lives in traditional Chinese society clearly suggest the form that women′s education took at the time. From ancient to modern times, women’s education was limited to the homemaking skills required for family life and the virtues needed to maintain the patriarchal family system.
    As such, the fact that women′s intellectual and affective development was basically sought only as a means to cultivate homemaking skills and womanly virtues in traditional societies is common throughout East Asian traditional societies in different eras. Women′s education allowed women to develop their abilities only insofar as they were related to homemaking, which was perceived to have socially inferior value, and not to develop their intellectual abilities related to the pursuit of theoretical knowledge.
    What is more, women were made to think of themselves as subjects with relatively inferior abilities. This caused them to consider their subordination to, and dependence on, men as a matter of fact, and thus did not offer them an opportunity to grow as autonomous subjects.
    From this perspective, in the end, traditional women′s education in East Asia reproduced and reinforced women′s subordinate position. It was far from the kind of education that could enable women to develop their human consciousness as independent individuals who seek self-awareness, dignity, freedom, and happiness.
    Bhikkhuni temples that women (that is, bhikkhunis) created, handed down, and developed for themselves nevertheless served as places where women learned to write and were able to study in traditional Chinese society. The educational functions of bhikkhuni temples indicate that women had the power to provide themselves with systematic education. This demonstrates the power of women who can create and take charge of influence cul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