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의 지배력 남용행위와 경쟁법적 대응 (Abuse of Dominance by Online Platform Operators and Competition Law)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0 최종저작일 2025.01
23P 미리보기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의 지배력 남용행위와 경쟁법적 대응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법학논고 / 88호 / 302 ~ 324페이지
    · 저자명 : 황태희

    초록

    온라인 플랫폼은 다면시장적 성격을 갖고 있고, 고착효과로 인하여 경쟁법의 집행에 있어서 특별한 취급을 받고 있다. 특히, 이른바 빅테크라 불리는 거대 플랫폼들이 어느 정도 시장을 지배하고 있는 측면이 있어서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여러 나라의 경쟁당국에서도 이들의 시장지배력에 대한 우려를 표하고 있다.
    그런데 새로운 입법 또는 기존의 공정거래법을 적용하여 지배적인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를 규제할 것인지에 관한 문제는 결국 플랫폼 사업자의 시장지배력 내지 남용 행위의 판단기준이 기존의 공정거래법과 어떤 차별성이 있는지에 대한 치열한 논증으로 해결하여야 할 것이다. 공정위의 입법 개선 노력이 과연 기존 경쟁법이나 소비자법으로 해결할 수 없는 것에 국한된 것인지, 아니면 시장지배적 사업자의 추정을 강화하되 입증책임을 전환시키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집행의 용이성만을 강조하는 것은 아닌지 등의 우려는 그러한 논증이 부족한 결과라 볼 수 있다.
    공정위가 2023년 온라인 플랫폼 심사지침을 제정한 이유도 공정거래법 상 시장지배적 지위남용행위 규정 적용시 기존 시장지배적 지위남용행위의 심사기준을 보완하는 세부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었기 때문에 무엇보다 그에 따른 여러 사례를 축적시키고 플랫폼 규제의 법리를 형성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국민경제 전체적으로는 작은 부분이지만, 개별시장에서도 남용행위 가능성이 있으므로 어떠한 범위의 플랫폼 규제가 필요한지에 관한 공감대 형성이 중요하다고 본다.
    무엇보다 국내의 온라인 플랫폼이 다른 나라의 플랫폼과 경쟁하고 있는 상황에서 시장의 기능을 최적화하며, 그 폐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도모하여야 할 것이며, 무분별한 국내 플랫폼에 대한 규제는 자칫 역차별의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고, 국내의 중소 스타트업이나 소비자에게 불리한 결과가 수도 있음을 주의하여야 할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규제의 방식과 효율성에 관한 진지한 학문적 논의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며, 정부와 국회는 이러한 논의의 장을 보장하여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application of competition law to digital platforms necessitates distinct analytical frameworks owing to their inherent characteristics as multi-sided markets and the presence of lock-in effects. The increasing market concentration among dominant digital platforms, colloquially termed "big tech," has emerged as a focal point of regulatory scrutiny across multiple jurisdictions, including Korea. This has precipitated varied regulatory responses, with some nations pursuing novel legislative frameworks while others opt for the modification and enhancement of existing competition statutes.
    The regulatory dichotomy between implementing new platform-specific legislation versus adapting conventional antitrust frameworks necessitates rigorous debate regarding the differentiation of market power determinants and abusive conduct in platform economies. The apparent lacuna in such theoretical discourse may explicate concerns regarding the Korea Fair Trade Commission's (KFTC) legislative enhancement initiatives, particularly whether these remain constrained by traditional competition and consumer protection paradigms, or whether they prioritize enforcement efficacy through modified presumptions of dominance and burden-of-proof allocations.
    The KFTC's promulgation of the 2023 Guidelines for Online Platform Screening, designed to augment existing market dominance abuse criteria under the MRFTA, underscores the imperative for systematic case law development in platform regulation. Critical to this development is the establishment of consensus regarding appropriate regulatory parameters, particularly given the potential for market-specific anticompetitive conduct, notwithstanding platforms' relatively modest contribution to aggregate economic output.
    This consideration assumes heightened significance in contexts where domestic platforms engage in direct competition with international counterparts. Such scenarios demand careful calibration between market efficiency optimization and disruption minimization. Indeed, an overly restrictive regulatory approach toward domestic platforms, characterized by undifferentiated oversight mechanisms, risks impeding innovation trajectories and growth potential within the secto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논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