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변론종결 후의 계쟁물 승계인과 기판력에 대한 접근방식 (An Approach For The Successor Of Property At Issue After The Final Court Hearing And Res Judicata)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0 최종저작일 2017.06
25P 미리보기
변론종결 후의 계쟁물 승계인과 기판력에 대한 접근방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논총 / 34권 / 2호 / 149 ~ 173페이지
    · 저자명 : 김의석

    초록

    종래 변론종결 후의 계쟁물 승계인에게 기판력이 미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확정판결의 소송물이 물권적 청구권인지 또는 채권적 청구권인지 여부를 판단기준으로 적용하는 것이 지배적이었다. ‘물권적 청구권과 채권적 청구권 구분방식’은 계쟁물 승계인의 당사자적격을 판단하는 기준이다. 승소한 측이 집행하는 상황에서는 거의 대부분 위 기준만으로 정당한 결론에 이를 수 있지만, 패소한 측이 후소를 제기하는 상황에서는 위 기준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이 글은 위 각 상황에서 계쟁물 승계인에게 기판력이 미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포괄적이며 변론종결 전 소송물의 특정승계 법리와 일관성이 있는 접근방식을 탐구하였다. 이를 편의상 ‘단계적 접근방식’이라 칭한다.
    집행 상황에서는 첫 번째 단계로서 만일 계쟁물 승계인이 변론종결 전에 승계를 하였다면 당사자적격이 인정될 수 있었을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단계에서 ‘물권적 청구권과 채권적 청구권 구분방식’이 유용하게 적용된다. 이는 변론종결 후 계쟁물 승계인을 소송과 무관한 제3자가 아니라 소송의 당사자처럼 취급하기 위해 필요한 요건이다. 만일 위와 같은 가정적 상황에서의 당사자적격이 인정되면 계쟁물 승계인에게 변론종결 시점까지의 소송결과, 즉 기판력의 적용을 받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소송승계 법리와의 일관성 측면에서 보면 소송승계인에게 소송승계 시점까지의 소송결과에 구속되도록 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사실관계에 따라서는 두 번째 단계로서 집행하는 측과 계쟁물 승계인(예컨대, 동산 선의취득자) 사이의 실체법적 지위를 비교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있다. 이는 소송승계 법리와의 일관성 측면에서 보면 소송승계인은 소송승계 시점까지의 소송결과에 구속되지만 그것과 모순되지 않고 양립 가능한 새로운 주장(예컨대, 동산을 승계하였지만 선의라는 주장)을 할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후소 제기 상황에서는 첫 번째 단계로서 역시 계쟁물 승계인이 변론종결 전에 승계를 하였다면 당사자적격이 인정될 수 있었을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는 변론종결 후 계쟁물 승계인의(또는 계쟁물 승계인에 대한) 후소 제기를 전소와 무관한 제3자의 후소 제기가 아니라 전소 당사자의 후소 제기처럼 취급하기 위한 요건이다. 만일 그와 같은 가정적 상황에서의 당사자적격이 인정되면, 두 번째 단계로서 계쟁물 승계인이 제기한(또는 계쟁물 승계인에 대한) 후소가 전소의 결과와 모순 저촉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모순 저촉되는 후소는 허용되지 않는다. 이는 소송승계 법리와의 일관성 측면에서 보면 소송승계인은 승계 시점까지의 소송결과에 구속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모순 저촉되지 않는 후소는 허용된다. 이는 소송승계 법리와의 일관성 측면에서 보면 소송승계인은 승계 시점까지의 소송결과와 모순되지 않고 양립 가능한 새로운 주장을 할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끝으로 이 글은 위와 같은 단계적 접근방식을 집행 상황과 후소 제기 상황의 각 유형별로 판례의 사실관계에 적용하고 분석하였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plores a systematic approach for the issue whether res judicata reaches the person (“successor”) who acquires a property at issue from one party of action after the final court hearing in the specific case.
    Whether the claim of the original action is based on the law of property or on the law of obligation is the very useful standard in deciding on the issue of the assumed standing for action. However, the formalistic application of such standard is not enough to lead us to the right conclusion in situation of the following action by the defeated party where it is required to decide on the issue of conflict between the original action and the following action by the defeated party.
    This article classifies the cases involving the issue into two situations, one situation of execution by the winning party and the other situation of following action by the defeated party. Then this article tries to find a comprehensive approach in each situation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law of succession of action before the final court hearing.
    In situation of execution, it is necessary, as the first step, to decide whether the successor could have satisfied the requirement of standing for action if the succession had occurred before the final court hearing. In most cases involving the situation of execution, the right conclusion could be reached through the decision for assumed standing for action. In some cases, however, it is also necessary, as the second step, to compare the legal positions of the executing party and the counter part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ubstantive law such as civil law.
    In situation of following action by the defeated party, as the first step, the decision for assumed standing for action is also necessary as in situation of execution. If the defeated party is regarded as not satisfying the requirement of assumed standing for action, res judicata does not reach the successor irrespective of the claim of the following action by the defeated party. However, if the defeated party is regarded as satisfying the requirement of assumed standing for action, as the second step, it is required to decide whether the claim of the following action by the defeated party conflicts with the claim of the original action.
    This article applies the stepwise approach above to the facts of several cases of the Supreme Court involving the issue of the successor of party after the final court hearing and res judicata, and reviews their reasoning and conclusion. Some cases could have reached the same conclusion through the different reasoning. There could be a variety of approaches to the issue of the successor of party after the final court hearing and res judicata. This article is only one of them and on its way to more reasonable and flawless approa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