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상 시의 공백으로서의 '거울'과 地圖的 글쓰기의 상상력 (The Meaning of 'Mirror' as a Blank and the Cartographical Imagination in Lee Sang's Poems)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0 최종저작일 2008.08
30P 미리보기
이상 시의 공백으로서의 '거울'과 地圖的 글쓰기의 상상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현대문학연구 / 25호 / 111 ~ 140페이지
    · 저자명 : 김예리

    초록

    이 글은 이상의 시에서 근대적 주체로서의 자아 정체성 탐구와 라캉적 거울 단계의 순간이라고 할 수 있는 주체 분열의 순간들과 연결되는 ‘거울’ 기호를 중심으로 이상의 글쓰기의 특징과 관련지어 논의한다. 이 글은 거울에 사영된 상에서 시작하여 이상의 ‘거울’ 기호를 해석하는 일반적인 방향을 역전시켜, 순수 표면으로서의 ‘거울’ 기호에 집중한다. 거울은 모든 것을 반사하므로 순수 표면으로서의 거울은 표상될 수 없다. 그러나 이상의 <오감도 시제7호>와 「자화상> 등의 텍스트에서 순수 표면으로서의 ‘거울’, 혹은 ‘얼굴’ 기호가 상상되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다. 특히 <시제7호>에서 상상되고 있는 ‘거울’은 공백으로서의 ‘거울’이고, <자화상>에서 이상은 공백으로서의 얼굴을 스스로의 얼굴과 동일시한다. 그리고 이 공백으로서의 ‘거울’ 혹은 ‘얼굴’은 이상 텍스트에서 글쓰기판으로 은유되고 있다. 즉, 이상 텍스트에서 ‘거울’은 생성의 지점이며, 이상 문학을 지탱하는 바탕이라고 할 수 있다. 공백으로서의 주체를 의미하는 공백으로서의 ‘얼굴’은 순수 거울 표면과 등치되고 있다.
    공백으로서의 주체가 글을 쓰는 방식은 지도적 글쓰기와 타이포그래피적 글쓰기의 형식을 취한다. 일반적으로 이상의 <오감도>를 건축설계적 상상력인 조감의 시선으로 읽어왔다. 그러나 <오감도>는 까마귀라는 이 세계에 배제된 대상이 응시하는 지도라 보는 것이 적절하다. 조감도는 일개의 개별적 시점을 전체적 시점으로 착각한 착시의 결과물이다. 반면 지도에서는 통상적으로 말하는 의미에서의 ‘시점’이라는 것이 존재하지 않는다. 지도를 보는 시점은 지도의 평면 전체 위에 편재하고 있다. 지도에서 공간을 내려다보고 있는 시점은 특정의 ‘누군가’에게 귀속하는 시점이 아니다. 조감도가 시점의 주인, 즉 주체의 시선으로 사물을 포획해서 시선 안에 들어오지 못하는 것들을 배제해버리는 것이라면, 지도는 시점을 포갬으로써 조감도에서 배제되었던 것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조감도가 전체성을 지향한다면 지도는 일종의 ‘비-전체not-whole’의 집합이다. 시점이 포개짐으로써 구성된 지도는 조감도의 관점에 의해 배제되었던 것을 볼 수 있게 된다. 조감도와 지도의 이러한 구분법에 비추어본다면, 이상의 <오감도>는 다분히 지도적 세계이다. 지도는 이미 구성된 전체라는 것이 있어서 그것이 그 안의 내용들을 규정해내는 것이 아니라 ‘비-전체’의 집합이 지도가 초월적 가상으로 작동할 수 있게 만들어준다. 그리고 지도 제작에 중요한 것은 무수한 시점의 포개짐이고, 그 시점에 의해 수합된 정보의 배치이다. 이상의 글쓰기에는 이러한 지도적 상상력과 배치의 상상력이 작용하고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traits of Lee Sang's writing, especially is connected with the mirror related to modern identity and the fundamental split of Lacanian subject. In Lee Sang' s text, the mirror symbolizes his desperation, on the same time symbolizes escapeway from the despera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sign of mirror as pure-surface. Because of the feature of mirror which reflects everything, the mirror cannot be represented as pure-surface. But in <Crow's eye-view No 7>(오감도 시제7호), <Self-portrait>(자화상) and others, Lee imagines the mirror and the face as pure-surface. Expecially in <Self-portrait>, Lee identities the face as the void with his face. And this void mirror and void face are a metaphor for the writing board. In other words, the mirror is the generable spot and the face in Lee Sang's text. And the void face is on equal terms the mirror as pure surface.
    The subject as the void is a cartographer and a typographer. In general <Crow's eye-view> are comprehended by the bird's eye-view of the architectural imagination. But 'Crow eye-view' have to be comprehended by the cartography that the eliminated object in our world gaze at. The bird's eye-view is outcome of an optical illusion, that is, mistaking the individual view for the whole view. Whereas a map has not a visual point but widespread visual point. The map's visual point is not restored to someone. A bird's eye-view points to the wholeness, on the other hand a map points to not-whole. Through a map we can look at the thing which was excluded by the one visual point of a bird's eye-view. In this context, Lee Sang's <Crow's eye-view> are in cartographical system. And the focus of cartogtaphy is the overlapping with lots of visual points and the arrangement of informations which gather together by overlapped visual points. In Lee's writing, therefore we must focus on the cartographical imagination and the imagination of arrange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현대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