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억의 「지새는밤」(1930)과 서사시적 상상력의 가능성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Epic Imagination on Kim Eok’s “A Sleepless Night (지새는밤)” (1930))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0 최종저작일 2023.08
32P 미리보기
김억의 「지새는밤」(1930)과 서사시적 상상력의 가능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논총 / 80권 / 3호 / 293 ~ 324페이지
    · 저자명 : 조은주

    초록

    본 연구는 김억의 「지새는밤」에서 ‘당대성’과 ‘동시대성’, ‘공동체적 운명에 관한사유’ 등이 확인된다는 점에서 한국의 근대 서사시로 규정하고 내용 및 주제론적 차원에서 작품을 면밀히 검토함으로써 그 구체적 양상을 살펴본 것이다. 김억의 「지새는밤」은1930년 12월 9일부터 29일까지 『동아일보』에 ‘長篇抒情敍事詩’라는 부제 아래 연재된 작품으로 두 남녀 주인공 명순(明順)과 영애(永愛)의 사랑과 이별, 이후 유랑과 고난들, 그리고 마지막 재회까지를 기본 플롯으로 삼고 있다. 그런데 「지새는밤」에서 많은 분량을차지하고 있는 것은 두 집안이 ‘몰락’하는 과정과 ‘유랑’ 그 자체다. 사포촌의 몰락은 토지조사사업으로 가속화된 농촌의 몰락과 조선 전역의 상황을 알레고리화하며 ‘고향 상실의식’으로 이어진다. ‘고향 상실의식’은 ‘부재와 상실’을 성찰하게 만든다는 점에서 적극적 의식으로 해석할 수 있다. 명순네 가족은 사포촌을 떠나 만주로 이주했으나 가난과부모의 죽음 등으로 ‘낙토’(樂土) 만주에 대한 기대가 무너지는 과정을 보여 준다. 영애는 남동생의 실종, 아버지의 죽음 등을 겪으며 홀어머니와 함께 평양으로 이주하지만 결혼에 실패하고 기생으로 전락하는 등 남성적 존재가 사라진 세계에서 여성으로서의 열악한 삶을 보여 준다. 명순은 1920-30년대 몰락한 농촌과 조선 농민의 삶을 함축하고 있는 존재이며 영애는 식민주의와 자본주의에 의해 이중적 타자로서의 위치에 있는 여성의 삶을 함축하고 있는 존재다. 즉 명순과 영애는 공동체적 주체로서의 개인이며 이들의삶의 여정은 당대 조선의 민족적 운명에 관한 사유를 내장하고 있다. 특히 만주 체험은공동체적 운명에 관한 사유를 견인하는 원동력이라는 점에서 근대시에서 서사시적 상상력의 핵심 요소로 조명할 가능성이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Kim Eok’s “A Sleepless Night” as a Korean modern epic poem that encompasses themes of contemporaneity, communal destiny, and introspective reflections. It provides a detailed analysis of the poem’s content and semantics, shedding light on its specific aspects. “A Sleepless Night” was serialized in Donga Ilbo from December 9 to 29, 1930, under the subtitle of ‘lyrical epic poem’. The narrative revolves around themes of love, separation, wandering, hardships, and eventual reunion. Notably, the poem extensively explores the themes of ‘downfall’ and ‘wandering’ experienced by two families. The collapse of Sapo village serves as an allegory for the demise of rural areas due to the Land Survey Project and the overall situation in Joseon.
    The resulting ‘consciousness of loss of hometown’ triggers reflections on absence and loss. Myeong-soon’s family relocates to Manchuria with dreams of a prosperous life but faces continuous poverty and death of his parents, fading their expectations. Similarly, Young-ae experiences the disappearance of her younger brother, her father’s death, and subsequent struggles as gisaeng (korean geisha) after failed marriage. Myeong-soon symbolizes the life of a farmer in 1920s and 1930s Joseon, while Young-ae represents the life of a woman in a marginalized position due to colonialism and capitalism.
    These characters, as communal subjects, embody thoughts on the national destiny of Joseon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Particularly, the experiences in Manchuria serve as a pivotal element of epic imagination, propelling contemplation on communal destiny in other modern poe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