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국민 재정이해력 조사 및 공공재정 교육의 기대효과 (The National Fiscal Literacy Survey and the Impact of Fiscal Education)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9 최종저작일 2024.12
39P 미리보기
전국민 재정이해력 조사 및 공공재정 교육의 기대효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경제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경제교육연구 / 31권 / 3호 / 23 ~ 61페이지
    · 저자명 : 박원익

    초록

    최근 재정의 지속가능성, 투명성, 시민참여의 중요성이 국제적으로 부각되면서 재정이해력 증진 방안 및 재정교육에 대한 관심이 덩달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청소년, 대학생,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국민의 전반적인 재정이해력 수준과 재정에 대한 관심 및 참여의지를 파악하고 재정교육의 긍정적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했다. 조사 결과, 주요 재정용어에 대한 인지도와 재정에 대한 궁금증은 과거에 비해 높아졌지만, 재정교육 경험률은 10-20%대의 낮은 수준이며, 주요 재정분야에 대한 퀴즈 정답률 역시 성인과 청소년이 각각 46% 및 32%에 그쳤다. 반면, 재정교육 수강의사에 대한 긍정응답 비율은 모든 계층에서 55-63%로 나타나 재정교육에 대한 폭넓은 수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평소 재정정보에 대한 접근성과 활용도가 제한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참여예산제도, 예산낭비신고 등 재정참여제도에 대한 참가의지는 평균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 대학 및 공공기관 재정교육은 재정지식 뿐만 아니라 재정에 대한 관심 및 참여의지에 뚜렷한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일부 종속변수에서는 공공기관 교육이 더 큰 효과를 보였다. 분석결과의 정책적 시사점으로는 재정교육 커리큘럼 개발 및 재정정보 접근성 개선, 평생교육 과정 속 재정교육 기회의 확대, 재정 참여제도와 재정교육의 연계, 맞춤형 교육 콘텐츠 개발 등이 있다.

    영어초록

    In recent years, the significance of fiscal sustainability, transparency, and civic involvement has been highlighted globally, leading to a rise in interest in fiscal literacy and education. This study surveyed Korean youth, college students, and adults to assess their fiscal literacy levels, interest in and desire to engage in fiscal affairs, and to quantify the beneficial impacts of fiscal education. The findings indicated that while awareness of fiscal terminology and curiosity in fiscal matters have risen compared to previous years, the rate of fiscal education experience remains low, between 10-20%. Additionally, the quiz correctness rates on main fiscal topics are merely 46% for adults and 32% for youth. The proportion of positive responses about the intention to take fiscal education ranged from 55% to 63% across all demographics, showing a widespread demand for such education. Moreover, despite limited access to and utilization of fiscal information, the willingness to take part in fiscal policy participation programs such as participatory budgeting and budget waste reporting was high on averag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university and public institution’s fiscal educ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fiscal knowledge, as well as interest in and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fiscal affairs, with public institution’s education having a stronger effect on some dependent variables. The analysis suggests policy implications such as the development of fiscal education curricula, enhancement of access to fiscal information, expansion of fiscal education opportunities within life-long learning programs, integration of fiscal participation initiatives with fiscal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tailored educational cont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