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재심심판절차의 본질과 기판력, 후단 경합범의 성립 (The Nature of Reopening Procedure, Res Judicata and the Establishment of Retrospective Concurrent Crimes)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9 최종저작일 2019.12
34P 미리보기
재심심판절차의 본질과 기판력, 후단 경합범의 성립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법발전재단
    · 수록지 정보 : 사법 / 1권 / 50호 / 575 ~ 608페이지
    · 저자명 : 홍은표

    초록

    재심절차와 관련해서 기판력과 후단 경합범의 성립이 문제 된다. 이를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서 검토할 수 있다. 우선 제1유형(재심판결 확정형)은 상습범(선행범죄)으로 공소가 제기되어 판결(재심대상판결)이 확정되고 동일한 습벽에 의해 후행범죄를 저질렀는데 선행범죄에 대하여 재심이 개시되어 재심판결이 먼저 확정된 유형이다. 이 경우 후행범죄에 대하여 공소가 제기되었다면 후행범죄 심판법원은 ① 선행범죄에 대하여 확정된 재심판결의 기판력이 후행범죄에 미치므로 면소를 해야 하는지, ② 재심판결이 확정되기 전에 범한 후행범죄는 판결이 확정된 선행범죄와의 관계에서 후단 경합범으로 보아야 하는지 문제 된다. 이는 현시점에서 후행범죄를 심리하는 일반법원이 재심확정판결에 대해서 어떤 효력을 인정하는지의 문제이다.
    제2유형은 상습범(선행범죄)으로 공소가 제기되어 판결(재심대상판결)이 확정되고 동일한 습벽에 의해 후행범죄를 저질렀는데 후행범죄에 대한 판결이 먼저 확정된 유형이다. 이 경우 선행범죄에 대해서 재심이 개시되었다면 재심심판법원은 ① 후행범죄에 대하여 확정된 판결의 기판력이 선행범죄에 미치므로 면소를 해야 하는지, ② 판결이 확정되기 전에 범한 선행범죄는 판결이 확정된 후행범죄와의 관계에서 후단 경합범으로 보아야 하는지 문제 된다. 이는 현시점에서 선행범죄를 심리하는 재심심판법원이 후행범죄 확정판결에 대해서 어떤 효력을 인정하는지의 문제이다.
    재심절차의 특수성을 고려하면 재심대상사건과 일반사건을 병합하여 심리하거나 공소장 변경 등을 통해 함께 심판할 수 없다. 재심개시결정만으로 재심대상판결의 효력이 상실되지 않으므로 확정 판결을 전후하여 범한 선행범죄와 후행범죄의 일죄성은 분리되고 각각의 주문을 선고해야 하므로 동시심판의 가능성이 없다. 그렇게 보지 않으면 피고인에게 지나치게 유리하거나 처벌의 공백이 생길 뿐만 아니라 선행범죄에 대한 재심판결이 먼저 확정되었는지 후행범죄에 대한 판결이 먼저 확정되었는지에 따라 처벌이 달라지는 불합리도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제1유형(재심판결 확정형)에서 후행범죄를 심리하는 일반법원과 제2유형(후행범죄 확정형)에서 선행범죄를 심리하는 재심심판법원은 다른 절차에서의 확정판결을 이유로 면소를 하거나 후단 경합범 성립을 인정하지 않아야 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will examine the effect of res judicata and the establishment of retrospective concurrent crimes in relation to reopening procedure by dividing the relevant cases into two categories.
    The first category deals with the cases where a judgment of reopening procedure (hereinafter “new judgment”) is pronounced for a habitual crime, for which a criminal defendant received a sentence that became final and conclusive (the earlier offense), which was followed by a similar habitual crime (the later offense). With regard to the first type of cases, two questions need discussion: ① whether a trial court adjudicating the later offense shall pronounce the acquittal of prosecution on the grounds that res judicata of a new judgment for the earlier offense that became final and conclusive extends to the later offense; and ② whether the court shall mitigate or exempt the sentence for the later offense by deem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arlier offense and the later offense (which was committed before a judgment of reopening procedure for the earlier offense became final and conclusive) as constituting concurrent relationship in retrospective term (hereinafter “retrospective concurrent crimes”).
    The second category deals with the cases where a new judgment is pronounced for the later offense before a judgment for the earlier offense becomes final and conclusive. If the reopening procedure has been initiated for the earlier offense, a trial court adjudicating on the earlier offense must determine: ① whether to pronounce the acquittal of prosecution on the grounds that res judicata of a final judgment for the later offense extends to the earlier offense; and ② whether the court shall mitigate or exempt the sentence for the earlier offense by deeming the relationship of the earlier offense (which was committed before a judgment of reopening procedure for the later offense became final and conclusive) and the later offense as constituting retrospective concurrent crimes.
    These matters are highly related to the nature of reopening procedure. Considering the distinctive nature of the reopening procedure, the court may not adjudicate simultaneously on the case subject to reopening procedure and the regular case by conducting joint oral proceedings or granting permission of amendment of the bill of indictment.
    The reopening procedure is intended to benefit a criminal defendant who has been found guilty only under exceptional circumstances. For this reason, a trial court adjudicating on the later offense in the first category and the court in reopening procedure adjudicating on the earlier offense in the second category ought not to pronounce the acquittal of prosecution on the grounds of a final judgment in other proceedings or recognize the establishment of retrospective concurrent crim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법”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6 오전